여래의 마지막 유훈, 自燈明法燈明

https://www.youtube.com/watch?v=m1yoC0VzTEs 

 

 

김용옥 - 제09강 숫타니파타

https://www.youtube.com/watch?v=6SUVZHE-W94&t=1465s

 

*코뿔소의 외뿔처럼 혼자서 가라! 시각바 39: 00 

- 獨覺(원시불교의 理想)/ 시각바  42:00 

 

붓다 오도송 [悟道頌]

 김용옥 / 시각바 46:55

 

나는 모든 것을 이겼고 모든 것을 알았다.

나는 일체의 제법(諸法)에 물들여지지 않았고 모든 것을 버렸다.

갈애 [渴愛]가 다하고 해탈을 얻었다.

스스로 깨달았으니 누구를 스승으로 칭하랴?

나에게 스승이 없다. 나와 비견할 자도 없다.

천신을 포함하여 이 세상에 나와 같은 자는 없다.

어떤 자도 나와 동등하지 못하다.

나는 이 세상에서 존경받아야 할 사람이다.

나는 無上의 스승이다.

나는 홀로 모든 것을 바르게 깨달아 청정하고 적정한 경지에 이르렀다.

나는 법륜을 굴리기 위해 카시의 도성으로 간다.

어두운 이 세상에 불멸의 북을 울리기 위해.

 

https://m.blog.naver.com/nelect/40016835433

 

부처님의 오도송(悟道頌)

부처님의 오도송(悟道頌)       차례 - 부처님의 오도송 - 법정스님 번역 - 부처님의 오도...

blog.naver.com

 

서산대사 禪詩 "朴上舍 草堂"/ 홍순지 노래

https://www.youtube.com/watch?v=--3WPnqeB_c

 

신영옥 - 비목

https://www.youtube.com/watch?v=ew0G09K1Ix4

정유경 - 꿈

https://www.youtube.com/watch?v=SMOcgyX9WfU 

https://www.youtube.com/watch?v=VZXnuMBQyvY

 

김용옥 - 법구경 

https://www.youtube.com/watch?v=1s-Sh2tq76w

 

김용옥 - 숫타니파타

https://www.youtube.com/watch?v=JpzNdwbXwMg

 

김용옥 - 제09강 숫타니파타

https://www.youtube.com/watch?v=6SUVZHE-W94&t=1465s

 

*코뿔소의 외뿔처럼 혼자서 가라! 시각바 39: 00 

- 獨覺(원시불교의 理想)/ 시각30 바 42:00 

 

붓다 오도송 [悟道頌] - 김용옥 / 시각바 46:55

나는 모든 것을 이겼고 모든 것을 알았다.

나는 일체의 제법(諸法)에 물들여지지 않았고 모든 것을 버렸다.

갈애 [渴愛]가 다하고 해탈을 얻었다.

스스로 깨달았으니 누구를 스승으로 칭하랴?

나에게 스승이 없다. 나와 비견할 자도 없다.

천신을 포함하여 이 세상에 나와 같은 자는 없다.

어떤 자도 나와 동등하지 못하다.

나는 이 세상에서 존경받아야 할 사람이다.

나는 無上의 스승이다.

나는 홀로 모든 것을 바르게 깨달아 청정하고 적정한 경지에 이르렀다.

나는 법륜을 굴리기 위해 카시의 도성으로 간다.

어두운 이 세상에 불멸의 북을 울리기 위해.

 

나옹선사 - 토굴가 /법진스님

https://www.youtube.com/watch?v=A42f__kfBBA

 

서산대사 - 해탈시(인생)

https://www.youtube.com/watch?v=v_0zsU0RS78

 

Sutta-nipata 숫타니파타 :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김종욱 교수)

https://www.youtube.com/watch?v=11DOCSYJ-Io&t=462s

*Sutta-nipata  Sutta는 經, nipata는 모음. 곧 經모음, 經集임

경전의 결집1차 불멸후 제자들의 암송2차 불멸후 100년경 계율 심의(미얀마 점심후 결식 등)3차 BC 250년경 아쇼카왕(인도통일) 구전에서 문자로 정착되기 시작하여 부파불교시대에 많은 경전들이 다투어 결집됨.

 

전의 구성과 내용

Sutta-nipata  Sutta는 經, nipata는 모음. 곧 經모음, 經集임

《숫타니파타》는 팔리 삼장(三藏) 내, 경장(經藏)에 해당하는 5부(部)
 중 가장 많은 양 을 차지하고 있는 소부(小部) 에 포함되어 있으며


, 구성으로는〈사품(蛇品)〉, 〈소품 (小品)〉,〈대품(大品)〉,〈의품(義品)〉,〈피안도품(彼岸道品)〉의 5장(藏) 으로 되어 있다. 

 이들 중 〈의품〉과 〈피안도품〉은 다른 장보다 먼저 성립된 것으로,
 〈의품〉은 지겸 (支謙) 에 의해 《의족 경(義足 經)》-2권, 남아 있다.
그리고 〈사품〉은 12경, 〈소품〉은 비교적 짧은 14경, 〈대품〉은
약간 긴 12경이 수록되어 있고,〈의품〉은 8편의 게(偈)로 이루어져
 '8게품'이라고도 하는데, 육체에 대한 지나친 집착을 버리라는 가르침을
 설한 2경이나, 말싸움을 일삼는 철학자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12경처럼
, 8게로 구성된 경이 많다.
예로부터 16경의 구성을 유지하며 전해져 왔는데, 한역 《의족 경》
大4-174, K 19-1012 도 이에 해당되며, 마찬가지로 16경으로 되어 있다.
〈피안도품〉은 다른 품들과는 달리 전체가 통일성을 지니고 있는데,
 16학동과 부처님의 문답형식 16절에 서게(序偈)와 결어(結語)를 합해
모두 18절로 되어 있다.

이처럼 이 경은 1,149수의 시를 72경으로 정리하여 전체 5장으로 나누고 있다.
 처음에는 각 장이 독립된 경전으로 전해져오다가 기원전 3세기를
 전후하여 하나의 《경집》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숫타니파타》는 5장 72묶음 1,149편의 시로 짜여져 있다.
그러나 각 장을 이루고 있는 72개의 묶음들을 보면 내용의
일관성이 전혀 없고 묻는 상대에 따라, 또는 그때그때의 상황과
 사정에 알맞게 즉흥적으로 읊어진 시들이 그 대부분이다.
 그래서 다른 여타의 불경들처럼 그 내용에 알맞는 어떤 특정한
제목을 붙이지 않고 그저 막연하게 '말(Sutta)의 모음(Nipata)'이라고
 일컫게 된 것이다.  이경은「사품(蛇品)」,「소품(小品)」,「대품(大品)」
,「의품(義品)」,「피안도품(彼岸道品)」의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제4장인 「의품」만이 지겸에 의해 한역되어
 「의족경(義足經)」(2권)으로 남아 있다.

 제1장「사품」에는 12개의 경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제1경에
『수행자는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다 버린다.
마치 뱀이 허물을 버리는 것처럼』이라는 구절이 되풀이 되어 있기 때문에
「사경(蛇經)」이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또 제 3경에는 『코뿔소처럼 혼자서 걸어가라』고 설하는 유명한
시구(詩句)가 들어 있기도 하다.  제2장 「소품」에는 비교적 짧은
14개의 경으로 되어 있다. 제11경은 석존이 아들인 라후라를 위해
설한 것인데, 부처의 아들이라 해서 함께 있는 현자(賢者)들을
가볍게 보거나 교만한 마음을 지녀서는 안 된다고 간곡하게 타이르고 있다.

  제3장은 「대품」은 약간 긴 12개의 경으로 수록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출가경(出家經)」(제1경) 「정근경(正勤經)」(제2경),
 그리고 「나이라카경」(제11경)의 3경은 석존의 전기에 관한 가장
 오래된 자료이고, 「바이세타경」(제9경)에서는 사성평등 이치를 설하고,
 「이종수관경(二種隨觀經)」(제12경)에는 소박한 연기(緣起)이 이치가
 설하여져 있다. 

제4장 「의품(義品)」은 「8게품」이라고도 할 수 있을 만큼 8편의
게(偈)로 이루어진 경전이 많다. 옛부터 16개의 경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에 해당하는 한역의「의족경(義足經)」도 역시 16경으로 되어 있다.


   제5장「피안도품(彼岸道品)」은 앞의 품들과는 달리 전체가
 통일성을 지니고 있다.


16명의 학동(學童)이 석존에게 질문을 하면 석존이 대답해 주는 문답
 16절과 맨 앞의 서게(序偈), 그리고 마지막 결어의 2절을 합해 도합
 18절로 구성되어 있다.

◎ 경전의 내용제 1. 처음의 장(Uragavagga)12묶음 220편의 시로  짜여져 있다. 
첫째 묶음(1.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 → 17편의 시로 되어 있다.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 수행자는 이 헛된 집착과 욕망에서
벗어나라는 가르침이다. 
둘째 묶음(2. 소치는 사람) → 16편의 시로 되어 있다
. 소유지향적인 삶을 사는 소치는 다니야와 존재 지향적인 삶을 사는
 부처님의 삶을 비교하므로 우리가 진정 추구하여야 할 삶은 무엇인가에
 서술한다. 
셋째 묶움(3. 광야를 가고 있는 코뿔소의 외뿔처럼) → 41편의 시로 되어 있다.
 수행자는 가족적인 집착의 삶과 불필요한 인간관계로부터 멀리
 떠나라는 가르침이다. 
 
넷째 묶음(4. 밭가는 사람) → 7편의 시로 되어 있다.
 '진정한 농부는 누구인가?', 이 문제를 놓고 바라드바쟈와 부처님 사이에
 오고간 대화이다.
 바라바쟈는 결국 부처님께서 진정한 농부다라고 인정, 부처님께 귀의한다.
 
다섯째 묶음(5. 금속세공인, 춘다) → 7편의 시로 되어 있다.
 네 종류의 수행자에 대하여 즉 '도의 승리자', '도를 말하는 사람'
 '도에 의해 사는 사람' '도를 더럽히는 자' 에 대해 금속세공자인
 춘다가 부처님께 질문하였는데 그에 대해 부처님의 답변과 우리가
 추구하여야 할 삶의 모습을 서술하고 있다. 
여섯째 묶음(6. 파멸) → 25편의 시로 되어 있다.
열한가지의 파멸에 대하여 신과 부처님 사이에 오고간 대화이다.
 이와 같은 파멸의 모습을 통해 우리가 주의하여야할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일곱째 묶음(7. 비천한 사람) → 27편의 시로 되어 있다.
사람을 천하게 만드는 조건에 대하여 브라만 바라드바쟈와 부처님 사이에
오고간 대화이다.
이러한 조건을 통해 우리가 지양해야 할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여덟째 묶음(8. 자비에 대하여) → 10편의 시로 되어 있다.
자비로운 마음과 좋은 생각을 갖게 되면 축복은 도처에 있다는 가르침이다. 
 
아홉째 묶음(9. 눈덮인 산에 사는 야차) → 28편의 시로 되어 있다.
깨달은 분에 대한 의문을 두 명의 야차(귀신)가 부처님을 찾아가 묻고
 그 가르침을 듣고 제자가 된 이야기이다.
구리가 추구하여야 할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열번째 묶음(10. 알라바까이야기) → 12편의 시로 되어 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값진 재산은 무엇인가 / 어떤 일을 하면 마음이
 편안한가 / 맛 중에 가장 좋은 맛은 무엇인가 / 어떻게 사는 것이
 최상의 삶인가' 야차 알라바까의 이네가지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한번째 묶음(12. 성자) → 15편의 시로 되어 있다.
종회무진으로 얽히는 이 인간 관계에서 벗어나 외롭게 진리의 길을 가라는
가르침이다. 
제 2. 짧은 장 (Kulavagga)14묶음 183편의 시로 짜여져 있다.
첫째 묶음(1보배) → 17편의 시로 되어 있다.
깨달음 불(佛), 그의 가르침(法), 그리고 그 가르침대로 살아가는
이들(僧), 이 셋을 통해서 구제(구원)는 가능하다는 가르침이다.
 둘째 묶음(2. 불결한 음식) → 14편의 시로 되어 있다. 인간을
 정화시키는 것은 형식적인 계율이 아니라 생각과 행위의 정화에
 있다는 가르침이다. 
셋째 묶음(3. 진실한 우정에 대하여) → 5편의 시로 되어 있다.
 진실한 우정에 대한 가르침이다.
 넷째 묶음(4. 덧없는 행복) → 12편의 시로 되어 있다.
최상의 행복에 대한 가르침이다. 
다섯째 묶음(5. 수킬로마 야차) → 4편의 시로 되어 있다.
 탐욕에 대한 가르침이다.
 여섯째 묶음(6. 진리에 맞는 삶) → 10편의 시로 되어 있다.
수행자의 삶에 대한 가르침이다.
 일곱째 묶음(7. 진정한 수행자) → 32편의 시로 되어 있다.
 부(富)와 권력 때문에 진정한 수행자들이 어떻게 타락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여덟째 묶음(8. 나룻배) → 8편의 시로 되어 있다.
진정한 스승에 대한 가르침이다. 
아홉째 묶음(9. 최상의 목적) → 7편의 시로 되어 있다.
최고의 목표에 이르려면 어찌해야 되는가에 대한 가르침이다.
 열번째 묶음(10. 부지런히 노력하라) → 4편의 시로 되어 있다.
수행자는 게으르거나 무기력해서는 안 된다는 충고이다.
 열한번째 묶음(11. 나훌라여, 듣거라) → 8편의 시로 되어 있다.
당신의 아들 나훌라에게 주는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열두번째 묶음(12. 수행자 반기사) → 16편의 시로 되어 있다.
'이 육체가 죽으면 그것으로서 모든 게 끝인가. 아니면 다시 또
 어떤 것이 남아 있는가' - 이에 대한 가르침이다. 
열세번째 묶음(13. 구도자의 길) → 17편의 시로 되어 있다.
구도자의 길에 대한 가르침이다. 
열네번째 묶음(14. 제자 담미까 물음) → 29편의 시로 되어 있다.
구도자의 삶과 이 세상의 삶에 대한 가르침이다. 
제 3.큰 장(Mahavagga)12묶음 326편의 시로 짜여져 있다.
 첫째 묶음(1. 집을 버리다.) → 20편의 시로 되어 있다.
빔비사라 왕과 부처님의 대화로 출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둘째 묶음(2. 최선을 다하라.) → 25편의 시로 되어 있다.
마라(악마)의 유혹을 물리친 부처님의 고행담(苦行譚)이다.
셋째 묶음(3. 말을 잘하는 비결) → 5편의 시로 되어 있다.
말을 지혜롭게 하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이다. 
넷째 묶음(4. 불을 섬기는 사람, 순다리까) → 33편의 시로 있다.
불을 섬기는 사람 순다리까와 부처님과의 대화로서 "누구에게
공양하여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섯째 묶음(5. 젊은 마가의 물음) → 23편의 시로 되어 있다.
자선사업가인 마가의 물음, "누구에게 어떻게 베푸는 것이 옳은 것이가"에
하는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여섯째 묶음(6. 방랑하는 구도자, 사비야) → 38편의 시로 되어 있다.
 방랑하는 구도자 사비야의 물음, "수행승, 눈뜬이"에 대한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일곱째 묶음(7. 브라만 셀라 이야기) → 26편의 시로 되어 있다.
브라만 셀라와 부처님이 만나 스승에 관해 이야기 한 것이다. 
여덟째 묶음(8. 화살) → 20편의 시로 되어 있다. 인생은 짧고

이 세상은 덧없지만 그러나 진리를 찾아가는 이에게는 축복이 있다는가르침이다.
 아홉째 묶음(9. 젊은이 바세타) → 63편의 시로 되어 있다.
'진정한 브라만이란 누구인가' - 이에 대한 가르침이다.
열번째 묶음(10. 비난하는 사람, 꼬칼리야) → 22편의 시로 되어 있다.
 남을 이유없이 비난하는 자의 말로에 대한 가르침이다. 
열한번째 묶음 (11. 홀로 가는 수행자, 날라까) → 45편의 시예언자
 아지타의 조카인 날라까에게 주는 부처님의 말이다.
열두번째 묶음(12. 두 가지 고찰) → 42편의 시로 되어있다.
 이 세상의 모든 고통과 고뇌는 우빠디(물질)로부터 비롯된다는 가르침이다.


 
제 4장 시(時) 의 장 (Atthakavagga)16 묶음 210편의 시로 짜여져 있다.
  첫째 묶음(1. 욕망) → 6편의 시로 되어 있다.
 너무 감각적인 기쁨에만 매달리지 말라는 가르침이다.
 둘째 묶음(2. 동굴) → 8편의 시로 되어 있다.
 육체에 대한 지나친 집착을 버리라는 가르침이다. 
셋째 묶음(3. 악의) → 8편의 시로 되어 있다.
구도자는 칭찬과 비난에 무관심하라는 가르침이다. 
넷째 묶음(4. 청정) → 8편의 시로 되어 있다.
어떠한 주의 주장이나 관념에도 붙잡히지 말라는 가르침이다. 
다섯째 묶음(5. 최상) → 5편의 시로 되어 있다.
수행자는 절대로 말싸움(논쟁)에 끼여들지 말라는 가르침이다.
여섯째 묶음(6.늙음) → 10편의 시로 되어 있다.
수행자는 자기 자신을 통해서 스스로를 정화시키면서 집 없이 살아가야
된다는 가르침이다.
일곱째 묶음(7. 구도자 티샤메티야) → 10편의 시로 되어 있다.
독신 수행자는 방사(房事)를 멀리하라는 가르침이다. 
여덟째 묶음(8. 파수라) → 11편의 시로 되어 있다.
그 어떤 말싸움(논쟁)을 통해서도 우리는 우리 자신을 정화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말싸움에서 떠나 묵묵히 니르바나(진리)의 길을 가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아홉째 묶음(9. 마간디야) → 13편의 시로 되어 있다. 
마간디야와 부처님의 대화. 마간디야는 그의 딸을 부처님의 아내로
삼아달라고 데리고 왔다.
그러나 부처님은 이 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대신 이것이 계기가 되어 두 사람 사이에 진지한 대화가 오고갔다. 
열번째 묶음(10. 죽음이 오기 전에) → 14편의 시로 되어 있다.
현자(깨달은 이)란 누구인가? 이에 대한 가르침이다. 
열한번째 묶음(11. 투쟁) → 16편의 시로 되어 있다.
투쟁과 말싸움의 발단에 대한 가르침이다. 
열두번째 묶음(12. 문답, 그 첫째) → 17편의 시로 되어 있다.
 말싸움을 일삼고 있는 철학자들에 관한 언급이다.
 열세번째 묶음(13. 문답, 그 둘째) → 20편의 시로 되어 있다.
논쟁과 철학을 통해서는 결코 깨달음에 이를 수 없다는 가르침이다. 
열네번째 묶음(14. 빠름) → 20편의 시로 되어 있다.
 수행자가 해야 할 것과 삼가야 할 것에 대한 가르침이다.
 열다섯번째 묶음(15. 무기에 대하여) → 20편의 시로 되어 있다.
깨달은 이에 대한 언급이다. 
열여섯버재 묶음(16. 사리불) → 21편의 시로 되어 있다.
제자 사리불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제5. 피안(彼岸)의 장(18묶음 174편의 시로 짜여져 있다. 
첫째 묶음(1. 서시) → 56편의 시로 되어 있다.
 브라만 바바리가 그의 제자 16명을 부처님에게 보내어 <머리가
일곱 조각으로 부서지는 것>에 대하여 묻게 했다는 이야기이다.
 둘째 묶음(2. 구도자 아지타의 물음) → 8편의 시로 되어 있다.
아지타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셋째 묶음(3. 구도자 티샤메티아의 물음) → 3편의 시로 되어 있다.
 티샤메티아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넷째 묶음(4. 구도자 푼나까의 물음) → 6편의 시로 되어 있다.
 푼나까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다섯째 묶음(5. 구도자 메타구의 물음) → 12편의 시로 되어 있다.
 메타구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여섯째 묶음(6. 구도자 도따까의 물음) → 8편의 시로 되어 있다
.도다까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일곱째 묶음(7. 구도자 우파시바의 물음) → 8편의 시로 되어 있다.
우파시바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여덟째 묶음(8. 구도자 난다의 물음) → 7편의 시로 되어 있다.
 난다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아홉째 묶음(9. 구도자 헤마까의 물음) → 4편의 시로 되어 있다.
 헤바까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번째 묶음(10. 구도자 토테야의 물음) → 4편의 시로 되어 있다.
토테야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한번째 묶음(11. 구도자 깝빠의 물음) → 4편의 시로 되어 있다.
 깝빠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두번째 묶음(12. 구도자 가투칸니의 물음) → 5편의 시로 되어 있다.
가투칸니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세번째 묶음(13. 구도자 바드라부다의 물음) → 4편의 시로 되어 있다.
바드라부다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네번째 묶음(14. 구도자 우다야의 물음) → 7편의 시로 되어 있다.
우다야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다섯번째 묶음(15. 구도자 포살라의 물음) → 4편의 시로 되어 있다.
 포살라에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여섯번째 묶음(16. 구도자 모가라쟈의 물음) → 4편의 시로 되어 있다.
 모가라쟈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일곱번째 묶음(17. 구도자 핑기야의 물음) → 4편의 시로 되어 있다.
늙은 핑기야의 물음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열여덟번째 묶음(18. 열여섯 명의 물음에 대한 총정리) → 27편의 시로
되어 있다.
 열여섯 명의 물음에 대한 졍전 기록자의 언급과 선생 바바리와 핑기야의
 대화이다.
◎ 경전의 내용 소개   첫째, 사장(蛇章)의 제1경에서는, "수행자는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버리듯이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다 버린다"는
구절의 반복이 되풀이 되어 있기 때문에 사경(蛇經)이라 부른다.
               
1 .뱀의 독이 몸에 퍼지는 것을 약으로 다스리듯 분노가 일어나는 것을
제압하는 사람은 이 언덕과 저 언덕을 모두 떠났다.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
 제3경에서도 이와 같이, 독신 수행자를 위해 모든 집착을 버릴 것을
권고하는 유명한 반복 구절이 있다.


1. 살아 있는 것들에게 폭력을 쓰지 마라.
살아 있는 것들을 괴롭히지 말라.
  너무 많은 자녀와 친구를 갖고자 하지도 말고,
저 광야를 가고 있는 코뿔소의 외뿔처럼 혼자 가거라... 
인도의 경우, 뱀은 영적인 기운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뱀의 비유는 인도인들에게 있어서는 대단히 신성시 되어지는
 분위기를 주므로,지금 여기에서도 <뱀이 묶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
이라는 사구가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 소품(소품)의 11경을 보면, 부처님께서 아들인 라훌라를 위해
말씀하신 것으로, 부처님의 아들이라 해서 승단의 선배들을 가볍게 보거나,
교만한 생각을 가져서는 안된다고 타이르는가 하면,
다시는 세속에 돌아가지 말라고 간곡히 당부를 한다.

셋째, 큰 章(大品)은 약간 긴 열두 개의 경을수록, 제1 <출가경>
제2<정진경> 제11<나라카경>등 세 경은 불타의 傳記에 대한 가장 오래된 자료다

. 제9<바셋타경>에서는 출신 성분에 의해 바라문(제1계급)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그가 하는 행위에 의해 바라문도 될 수 있다고,
四姓 평등의 이치를 여러 가지 비유를 들어서 설명한다.
그리고 제 12<두 가지 관찰>은 소박한 형식으로 緣起의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넷째, 여덟 편의 時, (義品)는 제2<동굴> 제3<분노> 등

여덟 편의 時로 이루어졌다. 일찍부터 16經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한역(漢譯) <義足經>은 바로 이 경이다.


다섯째, ?岸에 이르는 길<?岸道品>은 앞의 경전들과는 달리 전체가
 통일성을 지니고 있다. 열여섯 바라문의 학생들이 한 사람씩
부처님께 물으면 대답해 준 문답 16절과 序와 結을 합해 18절로 되어 있다.

 5. 경전의 중요 사상

"초기 원시경전의 중요사상이 무엇이다! " 라고
한마디로 정의 내릴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초기 불교에서는
 명상 수행의 정신적 경지를 나타내는 사무색정(四無色定) 에 역점을 두어
 '육바라밀' 중의 하나인 '선정' 을 닦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사상적인 면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보니,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숫타니파타에는 ' 선정 ' 의 길이 제시되어 있다.이는 곧 초기
원시경전의 '중심 사상' 이라고도 평가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수행으로
 가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사무색정' 인 것이다.특히,
 '무소유처' 와 '비상비비상처' 에 대한 설명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잘 정신차려 무소유(無所有)를 기대하면서 거기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함으로써 번뇌의 흐름을 건너라 "( 숫타니파타, 1069 ) " 있는
 그대로 생각하는 자도 아니고, 잘못 생각하는 자도 아니며, 생각이 없는 자도
 아니고, 생각을 소멸한 자도 아니다.
이렇게 행하는 자의 형태는 소멸한다. 무릇 세계가 확대되는 의식은
생각을 조건으로 하여 일어나기 때문이다.
"( 숫타니파타, 874 ) 등에서 우리는 '무소유처' 와 '비상비비상처' 의
 사상이 단편적으로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는 중생들에게 아집과 욕심을 버릴 것을 권고하게 되고, 회의적인
 삶으로부터의 해방이며, 평온함의 세계로의 길이 되었다.소유하지
 않음(無所有)은 곧 '공(空)이다.그리고 이러한 '공'은 후대에 이르러
'대반야경'의 중심이 되면서 대승불교의 핵심 사상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염두해 더어야 할 것은, 숫타니파타에서는
 대승의 중심이 되는 '공(空)'이 주(主)가 아닌, 단지 '선정'에 이르기 위한
 도구였다는 것이다.

둘째, 일체의 사물은 여러 가지 인연이 합쳐짐으로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항상 변화하며 머무르지 않는다. 숫타니파타에는 이러한
 '무상(無想)" 이 있다. 현상계의 모든 사물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존재는
 연속되는 변환 과정 속에 있으며, 그 밑바닥에 잠겨 있는 확정적인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간의 존재는 무상한 것이다.
우리들이 경험하는 모든 것이 괴로움인 까닭은 그것이 모두 무상하기
 때문이다."
 아아! 사람의 생명이란 &#48234;기도 하여라.
 백년도 채 못되어 죽어야 한다니. 설령 그 이상 산다고 해도 늙고
 병들어 죽는 것은 마찬가지다.
" (숫타니파타 804)이 세상의 모든 사물은 여러 가지 인연이 합쳐짐으로써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항상 변하고, 또 잠시라도 머물러 있는 일이 없다.
이 경우의 '행'이란 '지어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들은 무엇인가를 '내 것' 이라고 한다거나, '내가 소유한다.'
는 등의 관념을 버려야만 한다.무릇 자기의 소유라고 생각되는 것은
항상 변화하고 소멸하기 때문에 영원히 자기에게만 속해 있을 수는 없는 것이다

. 세째, 숫타니파타는 대승사상의  연유가 되었다.

 .이것은, " 그들도 나와 마찬가지이며, 나도 그들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하고
 내 몸에 비추어 살아 있는 것을 죽여서는 안 된다.
 또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죽이게 해서도 안 된다."
에서 찾아 볼 수 가 있는데, 여기서 ' 내 몸을 비추어 ' 라는 것은
자비의 원점이라 할 수 있겠다.자기와 타인의 자기가 결국은 하나라는
 생각이 주장될 수 있었던 것이다.이는 불교의 기본적 관념의 하나로,
대승불교에서의 보살의 이타행의 토대로 이어지게 된다.
이것이 바로 대승의 뼈대가 되는 사상이자, 불교에 있어 가장 큰
 깨달음이라 할 수 있는 '이타자리' 인 것이다.


 6. 경전의 중요성  숫타니파타 가운데는 발전 수정되기 이전의 소박하고
 단순한 초기 불교가 그대로 흘러 들어 있다.
여기서는 후기에 이루어진 경전처럼 현학적이고 번거로운 교리는 찾아볼 수 없다. 부처님은 그와 같이 단순하고 소박한 인간으로서 가야 할 길을, 모순과 갈등으로 이루어진 세속에서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길을 말씀하신 것이다. 이러한 숫타니파타 안에서의 석존의 말씀은 아직까지도 몇몇 불교국가에서 자비경, 보배, 길상경 이라는 실천적 생활윤리로써 자리 매워지고 있다.
오늘날에 이르러 특히 숫타니파타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것은 이러한 사상 뿐 아니라, 그러한 사상을 통해, 유추해 낼 수 있는 【 초기 불교 사상의 발전사 】, 그리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어렵고 깊게만 느껴져 가는 불교를 좀더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출처:(www.compassion.buddhism.org)


 

道窓스님의 목록

詩句번호 1149까지 전체가 정리되었습니다. 제목을 클릭하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48 ★숫 타 니 파 타★경전의 구성과 내용   道窓스님 2005-01-03 983
 
147 ★숫 타 니 파 타★ 1. 경전의 개요   道窓스님 2005-01-03 1028
 
146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1. 뱀 [2]   道窓스님 2005-01-03 1763
 
145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2. 다니야 [2]   道窓스님 2005-01-03 1157
 
144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3. 무소의 뿔 [2]   道窓스님 2005-01-03 962
 
143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4. 밭을 가는 바아라드바아자 [2]   道窓스님 2005-01
142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5. 춘다 [2]   道窓스님 2005-01-03 732
 
141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6. 파멸 [1]   道窓스님 2005-01-03 568
 
140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7. 천한 사람 [1]   道窓스님 2005-01-03 829
 
139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18 자비(慈悲) [1]   道窓스님 2005-01-03 615
 
138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9 설산(雪山)에 사는 사람 [1]   道窓스님 2005-01-03 619
 
137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10 아알라바카 야차(夜叉) [1]   道窓스님 2005-01-03 833
 
136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11 승리 [1]   道窓스님 2005-01-03 756
 
135 ★숫 타 니 파 타★1장 사품〓12 성인(聖人) [1]   道窓스님 2005-01-03 759
 
134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1. 보배 [1]   道窓스님 2005-01-03 688
 
133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2. 비린 것 [1]   道窓스님 2005-01-03 804
 
132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3. 부끄러움 [1]   道窓스님 2005-01-03 595
 
131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4. 위 없는 행복 [1]   道窓스님 2005-01-03 639
 
130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5. 수우칠로오마 야차(夜叉) [1]   道窓스님 2005-01-03 994
 
129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6. 이치에 맞는 행복 [1]   道窓스님 2005-01-03 625
 
128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7. 바라문에게 어울리는 일 [1]   道窓스님 2005-01-03 874
 
127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8. 배(船) [1]   道窓스님 2005-01-03 713
126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9. 어떠한 도덕(道德) [1]   道窓스님 2005-01-03 548
 
125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10. 정진(精進) [1]   道窓스님 2005-01-03 599
 
124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11. 라아훌라 [1]   道窓스님 2005-01-03 668
 
123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12. 방기이사 [1]   道窓스님 2005-01-03 668
 
122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13. 올바른 편력(遍歷) [1]   道窓스님 2005-01-03 584
 
121 ★숫 타 니 파 타★2장 소품〓14. 담미카   道窓스님 2005-01-03 707
 
120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1. 출가(出家)   道窓스님 2005-01-03 623
 
119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2. 힘써 닦는 일 3. 훌륭하게 말해..   道窓스님 2005-01-03 765
 
118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4. 순다리카 바아라드바아자   道窓스님 2005-01-03 909
 
117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5. 마아가   道窓스님 2005-01-03 719
 
116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5. 사비야   道窓스님 2005-01-03 712
 
115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6. 세에라   道窓스님 2005-01-03 771
 
114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7. 화살(矢)   道窓스님 2005-01-03 680
 
113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8. 바아셋타   道窓스님 2005-01-03 766
 
112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9. 코오카알리야   道窓스님 2005-01-03 807
 
111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11. 나아라카   道窓스님 2005-01-03 709
110 ★숫 타 니 파 타★3장 대품〓12. 두 가지 관찰   道窓스님 2005-01-03 595
 
109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1. 욕망(慾望)   道窓스님 2005-01-03 569
 
108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2. 동굴(洞窟)   道窓스님 2005-01-03 695
 
107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3. 분노(憤怒)   道窓스님 2005-01-03 486
 
106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4. 청정(淸淨)   道窓스님 2005-01-03 521
 
105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5. 으뜸가는 것   道窓스님 2005-01-03 561
 
104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6. 늙음   道窓스님 2005-01-03 452
 
103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7. 팃사 멧테야   道窓스님 2005-01-03 427
 
102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8. 파수우라   道窓스님 2005-01-03 695
 
101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9. 마아간디야   道窓스님 2005-01-03 434
 
100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10. 죽기 전에   道窓스님 2005-01-03 398
 
99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11. 투쟁(鬪爭)   道窓스님 2005-01-03 543
 
98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12. 잇닿은 응답 -소편(小篇)   道窓스님 2005-01-03 510
 
97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13. 잇닿은 응답 -장편(長篇)   道窓스님 2005-01-03 548
 
96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14. 신속(迅速)   道窓스님 2005-01-03 603
 
95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15. 몽둥이를 드는 일   道窓스님 2005-01-03 434
94 ★숫 타 니 파 타★4장 8편의시〓16. 사아리풋타   道窓스님 2005-01-03 553
 
93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 서(序)   道窓스님 2005-01-03 744
 
92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 서(序)...설법   道窓스님 2005-01-03 618
 
91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2. 학생과의 문답   道窓스님 2005-01-03 474
 
90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3. 학생 아지타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606
 
89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4. 학생 팃사 멧테야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520
 
88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5. 학생 푼나카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503
 
87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5. 학생 멧타구우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435
 
86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6. 학생 도오타카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653
 
85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7. 학생 우파시이바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700
 
84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9. 학생 헤마카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684
 
83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0. 학생 토오테야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540
 
82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1. 학생 캄파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456
 
81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2. 학생 자투칸닌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585
 
80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3 학생 바드라우다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603
 
79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4. 학생 우다야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555
78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5. 학생 포오사아라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487
 
77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6. 학생 모오가라아자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548
 
76 ★숫 타 니 파 타★5장 피안〓17. 학생 핑기야의 질문   道窓스님 2005-01-03 489
 
75 ★숫타니파타★5장 피안〓18. 열 여섯 학생들의 질문에 대한 결론..   道窓스님 2005-01-03 597

 

저명한 외뿔소의 뿔 부분을 한번 낭송해 봅니다

 

Sutta-nipata 숫타니파타  

1장 사품(蛇品)

1.뱀 1-17

2. 다니야 18- 34

3. 무소의 뿔 35- 75

 


(35) 모든 생물에 대해서 폭력을 쓰지 말고,

모든 생물을 그 어느 것이나 괴롭히지 말며,

또 자녀를 갖고자 하지도 말라.


하물며 친구이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36) 서로 사귄 사람에게는 사랑과 그리움이 생긴다.

사랑과 그리움에는 괴로움이 따른다.
연정에서 우환이 생기는 것임을 알고,

물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37) 친구를 동정한 나머지 마음이 얽매이면 손해를 본다.
가까이 사귀면 이런 우려가 있는 것을 알고,

물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38) 자식이나 아내에 대한 애착은 마치 가지가 무성한 대
나무가 서로 엉켜 있는 것과 같다.
죽순이 다른 것에 달라붙지 않도록,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39) 숲속에서 묶여 있지 않는 사슴이 먹이를 찾아 여기 저기 다니듯이,

지혜로운 이는 독립과 자유를 찾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40) 동반자(同伴者)들 속에 끼면,

쉬거나 가거나 섰거나 또는 여행하는 데도 항상 간섭을 받게 된다.
남이 원치 않는 독립과 자유를 찾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 서 걸어가라.

(41) 동반자들 속에 끼면 유희와 환락이 있다. 또 자녀들에 대한 애정은 매우 크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은 싫지만,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42) 사방으로 돌아다니면서 남을 해치려는 생각 없이 무엇이나 얻은 것으로 만족하고,

온갖 고난을 이겨 두려움 없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43) 출가한 몸으로 아직 불만을 품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집에 사는 재가자(在家者)도 그러하다.

남의 자녀에게 집념하지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44) 잎이 떨어진 코오빌라아라 나무처럼,재가자의 표적을
없애 버리고 집안의 굴레를 벗어나, 용기있는 이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45) 만일 그대가 현명하고, 일에 협조하고,예의 바르고,
총명한 동반자를 얻는다면 어떠한 난관도 극복하리니, 기쁜
마음으로 생각을 가다듬고 그와 함께 걸어가라.

(46) 그러나 만일 그대가 현명하고, 일에 협조하고, 예의
바르고, 총명한 동반자를 얻지 못하면 마치 왕이 정복한
나라를 버리고 가듯,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47) 우리는 참으로 친구를 얻는 행복을 기린다.
자기보다 뛰어나거나 동등한 친구와는 가까이 친해야 한다.
이러한 친구를 만나지 못할 때에는 허물을 짓지 말고, 무소
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48) 금공(金工)이 잘 만들어낸 두 개의 황금 팔찌가 한 팔
에서 서로 부딪치는 소리를 듣고, 무소의 뿔처 럼 혼자서
걸어가라.

(49) 이와 같이, 두 사람이 같이 있으면 잔소리와 말다툼 이
일어나니라.
장차 이런 일이 있을 것을 잘 살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50) 욕망은 실로 그 빛깔이 곱고 감미로우며 즐겁게 하고,
또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마음을 산산이 흩으러 놓는다.
욕망의 대상에는 이러한 우환이 있다는 것을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51) 이것이 내게는 재앙이고 종기이고 화이며, 병이고 화살
이고 공포다.
이렇듯 모든 욕망의 대상에는 그러한 두려움이 있는무것을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52) 추위와 더위,굶주림,갈증,바람, 그리고 뜨거운 햇볕과
쇠파리와 뱀,이러한 모든 것을 이겨 내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53) 마치 어깨가 떡 벌어진 코끼리가 그 무리를 떠나 마음
대로 숲속을 거닐 듯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54) 모임(集會)을 즐기는 이에게는 잠시 동안의 해탈에 이를
겨를이 없다.
태양의 후예(부처님)가 한 말씀을 명심하여,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55) 서로 다투는 철학적 견해를 초월하고 깨달음에 이르 는
결론에 도달하여 도(道)를 얻은 사람은 `나는 지혜를 얻었
으니, 이제는 남의 지도를 받을 필요가 없다'하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56) 탐내지 말고 속이지 말며, 갈망하지 말고 남의 덕을
가리지도 말며, 혼탁과 미혹을 버리고, 세상의 온갖 애착
에서 벗어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57) 의롭지 못한 것을 보고 그릇되고 굽은 것에 사로잡 힌
나쁜 벗을 멀리 하라.

탐욕에 빠져 게으른 사람에게 가까이 하지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58) 널리 배워 진리를 아는, 고매하고 총명한 친구와
사귀라.
온갖 이로운 일을 알고 의혹을 떠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59) 세상의 유희나 오락이나 쾌락에 만족하지 말고 관심
도 가지지 말라.
꾸밈없이 진실을 말하면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60) 처자도 부모도 재산도 곡식도, 친척이나 모든 욕망
까지도 다 버리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61) `이것은 집착이구나. 이곳에는 즐거움도 상쾌한 맛도
적고 괴로움뿐이다.
이것은 고기를 낚는 낚시이다' 라고 깨닫고, 현자(賢者)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가라.

(62) 물속의 고기가 그물을 찢는 것처럼, 또는 불이 다 탄
곳에는 다시 불 붙지 않는 것처럼, 모든 번뇌의 매 듭을
끊어 버리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63) 우러러 보거나 헤매지 말고, 모든 감관(感官)을 막아
마음을 지켜 번뇌가 일어나는 일 없이, 번뇌의 불에 타지도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64) 잎이 저버린 파아리찻타 나무처럼, 재가자(在家者)
의 모든 표적을 버리고 출가하여 가사를 걸치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65) 모든 맛에 탐착하지 말고, 욕구하거나 남을 양육하 지
말라.
문전마다 밥을 빌어 가정에 매이지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
자서 걸어 가라.

(66) 마음의 다섯 가지 덮개를 벗겨 버리고, 모든 수번뇌
(隨煩惱)를 잘라 버려 의지하지 않으며, 애욕의 허 물을
끊어 버리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67) 전에 경험했던 즐거움과 괴로움을 버리고, 또 쾌락과
우수를 버리고 맑은 고요와 안식을 얻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68) 최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 정진하고, 마음의
해이를 물리치고 행동하는 데에 게으르지 말며, 힘 차게
활동하여 몸의 힘과 지혜의 힘을 갖추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69) 홀로 앉아 선정(禪定)을 버리지 말고, 모든 일에 늘
이치와 법도에 맞도록 행동하며, 살아 가는 데 있 어 우환
을 똑똑히 알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70) 애착을 없애기 위해 게으르지 말고, 벙어리도 되지
말고, 학식이 있고 마음을 안정시켜 이치(理法)를 확실히
알며 자제하고 노력해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71)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같이, 물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같이, 무소의 뿔 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72) 이빨이 억세어 뭇짐승의 왕이 된 사자가 다른 짐승을
제압하듯이,종벽한 곳에 살기를 힘쓰라.무소의 뿔처럼 혼
자서 걸어 가라.

(73) 자비와 고요와 동정과 해탈과 기쁨을 때에 따라 익히
고, 모든 세간(世間)을 저버림이 없이, 무소의 뿔처럼 혼
자서 걸어 가라.

(74) 탐욕과 혐오와 헤매임을 버리고, 매듭을 끊어 목숨을
잃어도 두려워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걸어 가라.

(75) 사람들은 자기의 이익을 위해 벗을 사귀고 또한 남에
게 봉사한다. 오늘 당장의 이익을 생각지 않는 벗은 보기
드물다.
자신의 이익만을 아는 사람은 추하게 보인다. 무소의 뿔처
럼 혼자서 걸어 가라.

 

[참고]

無心德智 08.10.05 (765까지 읽기에는 편리함)

숫타니파타1~348(全) / 완(完譯)

숫타니파타349~404(全) / 완역(完譯)

숫타니파타549~765(全) / 완역(完譯)

 

道窓스님의 목록에는 3장 대품 피안편은 1149 까지 나오네요. 무심덕지스님의 "완역"은 실상 뒷부분이 누락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위 道窓스님의 목록의 제목에 준거하여 보는 것이 기준이 되겠지만 참고로 숫자가 보이는 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숫타니파타(全) / 완역(完譯)
 
http://cafe.daum.net/jungjin37

제1장 사품(蛇品)

1.뱀 1-17

2. 다니야 18- 34

3. 소의 뿔  35- 75

4. 밭을 가는 바아라드바아자 76- 82

5. 춘다 83- 90

6. 파멸 91- 115

7. 천한 사람 116- 142

8.자비 143- 152

9.설산에 거주하는자 153-  180

10.아알라바카 야차(夜叉) 181- 192

11.육체에 대한 가르침 193- 206

12.성자 207- 221

 

제2장 소품(小品)

1.보물 222- 238

2. 비린 것 239- 252

3. 부끄러움  253- 269

5. 수우칠로오마 야차(夜叉) 270- 272

6. 이치에 맞는 행복 274- 283

7. 바라문에게 어울리는 일 284

8. 배(船)  316- 323

9. 어떠한 도덕(道德) 324- 330

10. 정진(精進) 331- 334

11. 라아훌라 335- 343

12. 방기이사 344- 348 [다음 포스트에 계속됨]


 숫타니파타349~404(全) / 완역(完譯)|

http://cafe.daum.net/jungjin37/64sT/19

12. 방기이사 349- 358[위포스트의 연장임]

13. 올바른 편력(遍歷) 359- 375

14. 담미카 376- 404

 

숫타니파타549~765(全) / 완역(完譯)

http://cafe.daum.net/jungjin37/64sT/21

 

549-

8. 화살(矢)  574-

 

3장 대품〓11. 나아라카

11. 나아라카  679- 723


 12. 두 가지 관찰 724-

 

https://m.blog.naver.com/seniorsports/220890496522

 

큰스님들의 오도송悟道頌

온갖 힘을 다 들여 고생한 끝에 겨우 찾아냄을 이르는 사자성어. 窮思覓得 궁사멱득, 窮心...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nelect/40016835433

 

부처님의 오도송(悟道頌)

부처님의 오도송(悟道頌)       차례 - 부처님의 오도송 - 법정스님 번역 - 부처님의 오도...

blo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