讚耆婆郞歌

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 -삼국유사 紀異 제2


[주]삼국유사의 성담론을 다시 소개한다.

지철로왕 때도 얘기한 바이지만 향가 설화 화자들은 왕의 음경 길이를 애기하는 걸 예사로 여겼던 듯하다.

말하자면 그 정도의 성담론은 금기사항이 아니었던 시대였다. 八寸이나 되는 음경 길이는 지증왕의 一尺五寸에

비하면 겨우 절반이 넘는 길이지만 결코 작은 고추가 아니다. 왕비가 無子하여 폐위한 걸 보면 굳이 그 길이를

따진 것은 후사(後嗣) 문제와 연결시키려 한 것으로 보인다. 지증왕 얘기에서도 음경이 너무 커서 배우자를

구하기 어렵웠다고 한 기록도 참고하기 바란다.


그런데 충담사를 불러들여 <안민가>를 받은 걸 보면 경덕왕대는 극도의 혼란기였고, 각간의 딸을 후비로

맞아야 할 만큼 왕권도 흔들렸다. 그러나 경덕왕은 행복했다. 하늘의 천제와 소통하는 표훈대덕과 충언을

아끼지 않는 충담사도 그의 신하가 아닌가?


서술 순서로 보면 <안민가> 다음에 바로 <찬기파랑가>를 소개하고바로 경덕왕의 "王玉莖長八寸"로 들어간다.

<안민가>는 아래창에 소개한 바 있다.

http://blog.paran.com/kydong/27235049


讚耆婆郞歌曰,

찬기파랑가에 이르기를,


咽-嗚-爾-處-米

露 -曉-邪-隱-月-羅-理

白-雲 -音-逐-于-浮-去-隱-安-攴-下

沙-是-八-陵-隱-汀 -理-也-中

耆-郞-矣-皃-史-是-史-藪-邪

逸-烏-川 -理-叱-磧 -惡-希

郞-也-持 -以-支 -如-賜-烏-隱

心 -未-際-叱-肹-逐-內-良-齊

阿-也, 栢-史-叱-枝 -次-高-攴 -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열치매 ‘구름을 열치매

나토얀 리 나타난 달이

흰구룸 조초 떠가는 안디하 흰 구름 쫓아 떠가는 것 아닌가?‘

새파란 나리여해‘새파란 냇물에

耆郞애 즈시 이슈라 기파랑의 모습이 잠겨 있네!‘

일로 나리ㅅ* 재벽해일오(逸烏) 냇가 조약돌에서

郞애 디니다샤온 기파랑이 지니시던

마으매갓흘 좇누아져 ‘마음의 끝’을 좇으려 하네‘

아으, 잣가지 노파 아, 잣가지 드높아

서리 몯누올 花判이여. 서리를 모를 그대 모습이여!


王玉莖長八寸.

왕은 옥경(玉經)의 길이가 여덟치나 되었다.

無子廢之 封沙梁夫人.

아들이 없어 왕비를 폐하고 사량부인에 책봉했다.

後妃滿月夫人 諡景垂太后 依忠角干之女也.

후비인 만월부인의 시호는 경수태후이며 의충 각간의 딸이었다.

王一日 詔表訓大德曰

왕이 어느날 표훈대덕에게 말했다.

「朕無祜 不獲其嗣

“내가 복이 없어 아들을 얻지 못했으니

願大德請於上帝而有之.」

원컨대 대덕은 상제께 청하여 아들을 두게 하여 주오.”

訓上告於天帝.

표훈은 하늘에 올라가 천제께 고했다.

還來奏云

돌아와 아뢰었다.

「帝有言 求女則可 男則不宜.」

“상제께서 말씀하시기를, 딸을 구하면 가능하지만 아들이라면 불가하다 하옵니다.”

王曰「願轉女成男.」

왕: “원하건대 딸을 바꾸어서 아들이 되게해 주오.”

訓再上天請之.

표훈이 다시 하늘에 올라 상제께 청하니

帝曰「可則可矣 然有男則國殆矣.」

상제께서 말하기를,

“가능하기는 하지만 그렇게 하면 나라가 위태로울 것이다.”라고 하였다.

訓欲下時 帝又召曰

표훈이 하계로 내려오려고 할 때 상제가 불러 말하기를,

「天與人不可亂.

“하늘나라는 인간세상과 어지럽힐 수 없다.

今師往來如隣里 漏洩天機

지금 대사가 왕래하기를 이웃 마을처럼 하여 천기를 누설하니

今後宜更不通.」

오늘 이후로는 의당 다시는 교통하지 말라.”

訓來以天語諭之.

표훈은 지상으로 돌아와 천제의 말로 깨우쳤다.

王曰「國雖殆得男而爲嗣足矣.」

왕: “나라가 비록 위태로울지라도 아들을 얻어 후사를 삼으면 족하리라.”

於是 滿月王后生太子. 王喜甚.

그 후 만월왕후가 태자를 낳으니 왕이 기뻐하였다.

至八歲王崩. 太子卽位 是爲惠恭大王.

태자가 여덟살 때 왕이 세상을 떠나니 왕위에 올랐다. 이가 바로 혜공대왕이다.

幼沖故太后臨朝

왕의 나이가 어렸으므로 태후가 임조(臨朝)하였는데

政條不理 盜賊蜂起 不遑備御

정사를 잘 다스리지 못하여 도둑이 벌떼처럼 일어나 막아낼 수 없었다.

訓師之說驗矣.

표훈대사의 말이 증험이 있었다.

小帝旣女爲男

왕은 여자로서 남자가 되었으므로

故自期晬至於登位 常爲婦女之戱.

돌날부터 왕위에 오르는 날까지 언제나 부녀자의 놀이를 하였다.

好佩錦囊 與道流爲戱

비단주머니 차기를 좋아하고 도류(道流-도사)와 어울려 희롱하였으므로

故國有大亂

나라가 크게 어지러웠다.

修(註,終)爲宣德與金良相*所弑. *金良相:37대 선덕왕이 됨.

마침내 선덕왕과 김양상에게 죽음을 당하였다.

[주]삼국사기 신라본기 혜공왕 16년조에 의하면, 이찬 김지정이 반란을 일으키자 상대등 김양상이 이를

진압하고 또한 혜공왕은 난병에게 화를 당하였다고 한다.

自表訓後 聖人不生於新羅云.

표훈은 이후로 신라에는 성인이 출생하지 않았다고 한다.


4.讚耆婆郞歌 해설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북과 토끼 이야기  (0) 2011.10.21
원숭이와 자라 이야기  (0) 2011.10.20
지철로왕 설화  (0) 2011.06.01
여근곡 설화  (0) 2011.05.31
구토설화의 발생과 변용  (0) 2011.05.19

 

https://www.youtube.com/watch?v=XkZ4JUkF3WQ 

 

 

[주]삼국유사의 성담론을 다시 소개한다.

설화의 세계에는 금기가 없다. 현대판으로 고치면 이 설화는 대물왕 강쇠와 대물왕비 옹녀의 이야기이다.

그런데 , 무엄하게도 왕의 음경 길이를 기록하고 왕비의 똥자루 크기를 기록하다니.

그것도 지증왕이라면 4년 10월에 '王'이라는 왕호를 최초로 사용하고, 나라이름도 국제표준어를 사용하여

‘新羅'로 고치고 시호도 처음으로 쓴 국제화, 세계화를 표방한 신라의 위대한 왕인데...

시호 지증은 “지절로” 내지 "지대로"의 한자 표기로 추정된다. 한자로 표기한 "지철로"도 역시 고유어

"지절로"의 음사로 보인다.

현대어로는 부사 "저절로 " 또는 “제대로”이다.

 

 

보통 사람들의 음경은 해면체에 혈액이 충혈되어 있어야 발기하지만 이 지절로왕은 한 자 다섯 치 되는

대물이 언제나 그 모양이 그 모양인가 보다.

이 설화 서술자의 위대성 표현방법 또한 기이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하긴 고래로 성기숭배는 오로지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신앙이니, 성기라면 오로지 쾌락만을 연상하는 편협한 사고를 강요하는 현대인의 안목으로만 볼 일은 아닌 것 같다. 오히려 엄밀한 의미에서 이 서술자의 태도에는 경탄과 찬사와 희열과 진지함으로 충만해 있었을 것이다.

신라 삼대 중 국가의 표준을 갖춘 중대의 문을 열고 보니 새로운 시대에 대한 기대감 또한 높았을 것이다 이에 호응하여 왕과 왕비의 성기가 월등하게 크다는 점을 강조하여 -사실은 알 수 없음- 성기신앙에 기대어 국가의 다산과 풍요를 기원한 신라인들의 발상은 특기할 만하다.

 

중국에서는 사천성 단샤[단하]산의 양원석(陽元石)과 음원석(陰元石) 을 관광자원화하였는데, 양원석은 높이 28m, 직경이 7m 되는 암석이고, 음원석은 길이 10m, 너비 4m 되는 암벽인데, 음원석 동굴의 길이는 4.8m, 가장 넓은 틈이 74cm, 동굴의 깊이는 4m라고 한다.

 

 

 

지철로왕 智哲老王

第二十二智哲老王, 姓金氏,

제 22대 지철로왕의 성은 김씨이며

名智大路, 又智度路,

이름은 지대로 또는 지도로라 하였다.

諡曰智證, 諡號始于此.

시호는 지증이라고 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 시호를 쓰는 법은 이 때부터 시작하였다.

又鄕稱王爲麻立干者, 自此王始.

우리말로 왕을 마립간이라고 한 것은 이 왕 때부터 시작하였다.

 

[은자주]마립간을 처음 사용한 왕은 第十七奈勿麻立干이다. 왕통이 김씨로 자리잡고 새시대를 연 것을 공포한 것이다.지증마립간/지증왕 4년 10월 마립간에서 왕으로 바뀐 것을 설화[역사]기술자가 착각한 듯하다. 일연이 주석을 달지 않고 그냥 넘어간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 麻立干과 王의 위치를 맞바꾸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한다.

 

王以永元二年庚辰卽位.(或云辛巳則三年也.)

왕은 영원 2년(500년)에 왕위에 올랐다.

王陰長一尺五寸, 難於嘉耦,

왕은 음경(陰莖)의 길이가 한 자 다섯 치가 되어 배필을 구하기가 힘들었다.

發使三道求之, 使至牟梁部 冬老樹下,

그래서 사자를 三道에 보내어 배필을 구하였는데, 사자가 모량부 동로수(冬老樹) 아래에 이르니

見二狗嚙一屎塊如鼓大, 爭嚙其兩端.

개 두 마리가 북만큼 큰 똥 한덩어리 하나를 물고 있는 것을 보았는데,개들은 양끝을 물고 싸웠다.

 

訪於里人, 有一小女告云:

그 마을 사람들에게 물으니 한 소녀가 말했다.

「此部相公之女子洗澣于此, 隱林而所遺也.」

"이것은 모량부 상공의 딸이 빨래를 하다가 숲속에 숨어서 누고 간것입니다."

 

其家檢之, 身長七尺五寸.

사자가 그 집을 찾아가 보니 그녀의 신장이 일곱자 다섯치나 되었다.

具事奏聞, 王遣車邀入宮中,

이 사실을 왕께 아뢰었더니 왕은 수레를 보내어 그녀를 궁중으로 불러들여

封爲皇后, 群臣皆賀.

책봉하여 황후로 하니 여러 신하들이 모두 경하했다.

 

又阿瑟羅州(今溟州)東海中, 便風二日程有于陵島(今作羽陵),

또 아슬라주 동쪽 바다에 순풍으로 이틀 걸리는 거리에 우릉도가 있었다.

周廻二萬六千七百三十步,

이 섬은 둘레가 2만6천7백30보였다.

島夷恃其水深, 驕傲不臣,

섬에 사는 오랑캐들은 그 바닷물이 깊은 것을 믿고 교만하여 조공하지 아니했다.

王命伊喰朴伊宗將兵討之,

왕은 이찬 박이종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토벌하게 하였다.

宗作木偶師子, 載於大艦之上, 威之云

박이종(신라장군 이사부)은 나무로 사자를 만들어서 그들을 위협했다.

「不降則放此獸」,

"너희가 항복을 하지 않으면 이 사자를 놓아 버리겠다."

島夷畏降. 賞伊宗爲州伯.

섬의 오랑캐는 두려워서 항복을 하였다. 이에 왕은 이종에게 상을 내리고 그 주의 장관인 주백으로 삼았다.

 

http://egloos.zum.com/tntv/v/895734

 

세계에서 가장 큰 거시기와 머시기

알려지기를세상에서 가장 큰 거시기라고 합니다.중국 사천성 단샤[단하]산의양원석[陽元石, 즉 남성의 근본]인데요,높이 28m, 직경이 7m라고 합니다.이 바위는세상에서 가장 큰 여성생식기라고

egloos.zum.com

 

중국 사천성 단샤[단하]산의 양원석(陽元石).

높이 28m, 직경이 7m라고 합니다.

 

 중국 사천성 단샤산의 음원석(陰元石).

바위에 난 틈이 마치 생식기처럼 생겼다고 해서 음원석이라 한다.
길이 10m, 너비 4m, 동굴의 길이는 4.8m,

가장 넓은 틈이 74cm, 동굴의 깊이는 4m란다.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숭이와 자라 이야기  (0) 2011.10.20
경덕왕 설화  (0) 2011.06.01
여근곡 설화  (0) 2011.05.31
구토설화의 발생과 변용  (0) 2011.05.19
사복불언  (0) 2011.05.19

[주]여근곡 설화를 국한문대역으로 다시 정리한다.


善德王知幾三事

-三國遺事1卷-1紀異

第二十七, 德曼[一作万], 諡善德女大王, 姓金氏, 父眞平王.

제 27대 덕만의 시호는 선덕왕으로 성은 김씨이며 아버지는 진평왕이다.

以貞觀六年壬辰卽位, 御國十六年, 凡知幾有三事.

정관 6년(632년)에 왕위를 올라 나라를 다스린 지 16년 동안에 미리 안 일이 세 가지 있었다.

初, 唐*<大,太>宗送畵牧丹, 三色紅紫白, 以其實三升,

그 첫째가 당 태종이 홍색, 자색, 백색의 세 가지 색으로 그린 모란과 그 씨 석 되를 보내왔다.

王見畵花曰: “此花定無香.”

왕이 그 그림을 보고 말하기를,

"이 꽃은 향기가 없을 것이다." 하였다.

仍命種於庭, 待其開落. 果如其言.

그리고 씨를 뜰에 심도록 하였는데 과연 꽃이 피었다가 떨어질 때까지 왕의 말과 같이 향기가 없었다.

二, 於靈廟寺玉門池, 冬月衆蛙集鳴三四日,

둘째는 영묘사 옥문지에 겨울인대도 많은 개구리가 모여서 3-4일 동안이나 울어 댄 일이 있었다.

國人怪之, 問於*王. *<王>急命角干閼川弼呑等,

나라의 사람들이 이를 괴이하게 생각하여 왕께 고한 즉 왕은 급히 각간 알천, 필탄 등을 시켜

鍊*{揀}精兵二千人, 速去西郊, 問女根谷, 必有賊兵, 掩取殺之.

정병 2천을 뽑아 속히 서교로 나아가 여근곡을 수색하면 필히 적병이 있을 것이니

엄습하여 죽이라고 하였다.

二角干旣受命, 各率千人問西郊, 富山下果有女根谷,

두 각간이 명을 받들어 각각 군사 1천명씩을 거느리고 서교에 가서 물으니 부산 아래에

과연 여근곡이 있고

百濟兵五百人, 來藏於彼, *<幷,並>取殺之,

백제의 군사 5백명이 거기에 와서 숨어 있으므로 이들을 모두 죽여버렸다.

百濟將軍*<亐>召者, 藏於南山嶺石上, 又圍而射之殪.

백제의 장군 오소란 자가 남산 고개 바위 밑에 숨어 있으므로 이를 포위하고 활로 쏘아

죽였다.

又有後兵一千二百人來, 亦擊而殺之, 一無孑遺.

또 뒤에 군사 1,200명이 따라오고 있었는데, 또한 공격하여 죽여 한 사람도 남기지 않았다.

三, 王無恙時, 謂群臣曰: “朕死於*其{某}年某月日, 葬我於忉利天中.”

그리고 셋째는 왕이 아무런 병도 없는데 여러 신하에게 이르기를,

"나는 아무 해 아무 날에 죽을 것인즉, 나를 도리천 속에 장사를 지내도록 하여라."

群臣罔知其處, 奏云: “何所?” 王曰: “狼山南也.”

여러 신하들이 그 곳의 위치를 몰라 물으니 왕이 말하기를

"낭산 남쪽이다." 하였다.

至其月日, 王果崩, 群臣葬於狼山之陽.

그 달의 그 날에 이르니 과연 죽었으므로 신하가 낭산의 남쪽에 장사지냈다.

後十餘年, 文*虎{武}大王創, 四天王寺於王墳之下.

그 후 10여년이 지난 뒤 문무대왕이 사천왕사를 왕의 무덤아래에 세웠다.

佛經云: 四天王天之上, 有忉利天, 乃知大王之靈聖也

불경에 사천왕천의 위에 도리천이 있다고 하였으니 그제야 대왕의 신령하고

성스러움을 알 수 있었다.

當時群臣啓於王曰: “何知花蛙二事之然乎?”

당시에 여러 신하가 왕에게 물었다.

“어떻게 모란꽃과 개구리 우는 소리를 듣고 일이 그렇게

될 줄을 알았습니까?“

王曰: “*<畵,畫>花而無蝶, 知其無香, 斯乃唐帝欺*{譏}寡人之無耦也.

왕이 대답했다.

"꽃을 그렸는데 나비가 없으니 향기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당나라의 임금이

나의 배우자가 없음을 희롱한 것이다.

蛙有怒形, 兵士之像, 玉門者, 女根也,

그리고 개구리가 노한 형상은 병사의 형상이며 옥문이란 곧 여자의 음부를 말하는 것이다.

女爲陰也, 其色白, 白西方也, 故知兵在西方,

여자는 음(陰)이고, 그 빛이 백색이며 백색은 서쪽을 뜻하니 군사가 서쪽에 있음을 말함이다.

男根入於女根, 則必死矣, 以是知其易捉.”

또한 남근이 여자의 생식기에 들어가면 죽게 되므로 잡기가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於是群臣皆服其聖智.

여러 신하가 왕의 성스럽고 슬기로움에 감복을 하였다.

送花三色者, 蓋知新羅有三女王而然耶, 謂善德, 眞德, 眞聖是也, 唐帝以有懸解之明.

꽃을 삼색으로 보냄은 신라에 세 여왕이 있음을 알았던가? 선덕, 진덕, 진성이 이들이니, 당제(唐帝)도 헤아림의 밝음이 있었던 것이다.

善德之創靈廟寺, 具載良志師傳, 詳之.

선덕왕이 영묘사를 세운 일은 <양지사전>에 기록되어 있는데 자세하다.

別記云: 是王代, 鍊石築瞻星臺.

별기에서 이르기를,

이 왕 때에 돌을 다듬어 첨성대를 쌓았다고 한다.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덕왕 설화  (0) 2011.06.01
지철로왕 설화  (0) 2011.06.01
구토설화의 발생과 변용  (0) 2011.05.19
사복불언  (0) 2011.05.19
구토설화/ 삼국사기 김유신전 41  (0) 2011.05.18

인권환,토끼전의 근원설화연구,고전소설연구,정음사,1979, pp.385-410.

1)원형으로서의 인도 본생설화와 민간설화/390.

<南傳藏經>에 <쟈타카>3종이 전함.B.C.3세기경 성립.

<쟈타카>57 猿王本生,

물가에 원숭이 살다.

물 속에 악어부부가 사는데 임신 중인 부인이 원숭이 심장을 먹고 싶다고 하다.

입을 벌리라 하고 악어의 눈이 감기는 사이 도망치다.

*악어 아내 임신[악어→원숭이]

<쟈타카>208 鰐本生,삼린 속에 원숭이 살다.

물가의 악어 부부 사는데 부인이 원숭이 심장을 먹고 싶다고 하다.

*악어 아내[악어→원숭이]

<쟈타카>342 猿本生, <쟈타카>208 鰐本生과 동일함.

인도의 동물 우화집 <판챠탄트라> <가타사리트사가라>,

불교설화집인 <마하바스투>에도 유사한 내용이 실려 있음.

<판챠탄트라> <가타사리트사가라>(11세기)

바닷가에 원숭이,바다에 악어 부부 살았는데 서로 친함.

남편이 얻어온 과실을 먹은 아내는 이렇게 맛있는 과실을 먹고 사는

원숭이 심장을 먹고 싶다고 남편을 조르다.

<마하바스투>에서는 남편이 원숭이와 친하여 자고 오자

이를 질투하여 꾀병을 내어 원숭이 심장을 먹어야 낫는다고 함.

*악어 아내의 질투[악어→원숭이]

2)漢譯經典에로의 進化와 중국문헌394/

<六度集經>권4,36.

이국에 가 장사하는 형제가 차례로 왕을 알현했는데

아우에게 딸을 허락한 왕은 형에게도 허락했다.

女登臺望曰 吾爲염(鬼+舌)蠱(뱃속벌레고) 食兄肝可乎. 展轉生死 兄弟(爲?)獼猴

女與弟俱爲鼈 鼈妻有疾 思食獼猴肝.

*자라 아내의 질병[자라→원숭이]

<生經>권1, 佛說鼈미후經10.

자라가 원숭이에게 가서 자기집의 음식을 먹자며 유인함.

<佛本行集經>권31, 昔與魔競品34.

규 아내 임신,원숭이 심장을 먹고 싶어 하다.

규가 나무열매 먹고 있는 원숭이에게 가서 花果豊饒한 피안으로 가자고 함.

*虯(규룡) 아내 임신[虯→원숭이]

3)한국적 전개와 그 전승과정/397.

龜兎說話구토설화, 삼국사기 열전41 김유신전.

*용왕의 질병[자라→토끼]

수궁가[판소리]

토끼전[고소설](신구서림,1913),

兎의 肝(박문서관,1916),

별주부전(조선도서주식회사,1926),

별주부전(영창서관,1925)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철로왕 설화  (0) 2011.06.01
여근곡 설화  (0) 2011.05.31
사복불언  (0) 2011.05.19
구토설화/ 삼국사기 김유신전 41  (0) 2011.05.18
정취보살  (0) 2011.05.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