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고설 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故說 般若波羅蜜多呪 卽說呪曰)

http://blog.daum.net/mahatop7/5497

 

이 부분에서는 반야바라밀다주(般若波羅蜜多呪) 그자체를 설한다라는 내용입니다.

 

故說

고설 : 그러므로 설하노니

般若波羅蜜多呪

반야바라밀다주 : 반야바라밀다의 주문을

卽說呪曰

즉설주왈  : 바로 말하면 주문이란 이와 같느니라.

 

반야바라밀다의 본래 뜻을 깨우치는 게 중요합니다.

그것은 곧 空으로써 가능합니다.

空을 깨닫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전 편에 써놓은 게 있으니 참고하세요.

空을 깨달았다고 해서 그걸로 끝이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그건 겨우 첫발을 내디딘 것과 같습니다.

모든 성인들의 깨달음은 같습니다.

모두가 제법실상인 空을 깨달은 것입니다.

깨달음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지혜의 깊이에서는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용수보살께서는 이러한 표현을 썼습니다.

空을 처음 깨달은 사람은 이제 겨우 강물에 한발 들여놓은 것이며,

좀 더 정진한 사람은 더 깊은 곳까지 간 것이며,

부처님께서는 이미 물의 가운데까지 완전히 도달하신 것이다....라고 말입니다.

이것은 곧 깨달음은 같되, 지혜의 깊이에서 차이가 난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보리(깨달음)에 세 종류의 보리가 있습니다.

아라한의 보리, 벽지불의 보리, 부처의 보리!!!

이러한 차이가 있다함은 깨달음은 같되, 지혜에서는 깊이의 차별이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제법실상인 空을 아라한도 깨닫고 벽지불도 깨닫고 부처도 깨달았으되,

아라한과 벽지불은 我空을 깨달아 번뇌는 없지만

法空을 완전히 깨닫지 못해 번뇌의 습기가 남아 있으나

부처님께서는 그러한 습기조차 모두 사라진 완전한 깨달음을 얻으신 분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아라한의 지혜와 부처님의 지혜에는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모든 걸 다 아는 일체지가 있으시지만, 아라한에게는 그런 일체지가 없습니다.

 

아라한의 습기란 무엇인가?

필릉가바차란 아라한이 있었습니다.

그는 전생에 수없이 많은 생 동안 바라문이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타고난 천성이 굉장히 거만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아라한이 되고서도 그 거만함의 자취가 여전히 남아 있었던 것 입니다.

물론 그의 마음에서는 남을 무시하는 마음이 없지만, 그 버릇....즉 습기/습관의 힘은 남아 있었던거죠.

그래서 그는 항하강을 건너 걸식하러갈 때 항하강을 지키는 여자 신에게

마치 종처럼 대하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종년아, 어서 빨리 물을 반으로 쪼개서 그 사이로 내가 걸어가게 해라."

아라한의 명령이니 어쩔수 없이 그 항하강의 여신은 강물을 반으로 쪼개서 그 사이로 그를 걸어가게 했습니다.

또 걸식하고 되돌아 올 때도 그렇게 했습니다.

여러 번 천한 취급 받자 그 여자 신(神)은 화가 치민거죠.

종년 취급당했으니 말입니다.

그래서 화가 치밀어서 부처님께 가서 고자질을 합니다. 수시로 종년취급 당하니 못살겠다고 말이죠.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필릉가바차를 오라고 해서 이런 일이 있었냐..라고 물으시고 저 여신에게 사과하라고 하죠.

필릉가바차가 사과를 하는데 아주 황당하게 합니다.

"야 이 종년아, 내가 사과한다."

이렇게 또 하대하듯이 사과를 하니까 모여있던 군중들이 배꼽을 잡고 웃습니다.

저 아라한은 왜 사과를 하면서도 정중하게 못하고 마치 구박하듯이 저렇게 하냐고 말이죠.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그 항하강의 여신에게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저 필릉가바차라는 아라한은 아주 오랜 세월동안 바라문으로 윤회를 해서,

아라한이 된 지금조차도 그 습관의 힘(습기)가 여전히 남아 있어서 그런 것이다.

너를 정말 무시하거나 경멸하는 그러한 마음은 전혀 없고, 다만 습관의 힘 때문에 그런 것이다..

라고 말이죠.

이렇게 해서 문제가 해결이 됐습니다.

오해가 풀린거죠.

아함경에 위의 얘기가 나오는데,

위의 내용엔 대지도론에 나와 있는 내용도 첨가해서 덧붙였습니다.

 

또 어느 아라한은 500생동안 원숭이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는 아라한이 됐지만,

원숭이처럼 나무 타는 걸 그렇게 좋아했다는 내용이 대지도론에 나옵니다.

이러한 것이 바로 습기...즉 습관의 힘입니다.

향을 싼 종이에 향내가 밴 것과 같습니다.

 

보살도 역시 습기가 있습니다.

그래서 보살은 지혜를 점점 증장시켜 나가야 합니다.

그래서 보살 제1지에서 보살 제10지까지의 단계가 있습니다.

보살은 수다원과, 사다함과, 아나함과, 아라한과를 얻으려고 하면 안됩니다.

보살은 오로지 성불, 즉 佛道가 목적입니다.

그러므로 성불할 때까지 도를 얻으면 안 되는 것입니다.

이 말은 일부러 도를 안 얻는다는 뜻입니다.

성불할 만한 자격을 다 갖추지 못했는데 도를 얻어버리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바로 소승에 떨어지는 것입니다.

이게 보살이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이라고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보살행을 제대로 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반야경대지도론을 봐야만 합니다.

그래야 제대로 된 보살의 길을 갈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반야바라밀을 제대로 배우는 것을 통해서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