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聖 서정주 詩碑
1974년 5월 19일, 선운사 입구에 해세운 미당 시비 제막식이 열렸다.
라이온스클럽 고창군지부 주관으로 비용을 추렴하여 세운 시비다.
문단에서도 보탰고, 선후배들도 보탰고, 미당의 堂內에서도 보탰다.
봄비가 오락가락 하는 가운데 미당 부부와 여러 관계자들이 제막식에 참석했다.
제막식에 앞서 미당은 시비를 둘러보았다.
장소가 장소니만큼 시비 앞면에는 미당의 시 <선운사 동구>가 새겨져 있다.
글씨체는 미당의 자필을 採字하여 새겼다.
선운사 동구
― 서정주
선운사 골짜기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안했고
막걸릿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작년 것만 상기도 남었습니다.
그것도 목이 쉬어 남었습니다.
『冬天』(1968) 초본 원문
禪雲寺 고랑으로
禪雲寺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않았고
막걸릿집 여자의 육자백이 가락에
작년 것만 오히려 남았읍디다.
그것도 목이 쉬여 남았읍디다.
1942년 이른 봄, 미당은 부친의 장례를 모시고 상경하는 길에
동백꽃을 보기 위해 일부러 선운사엘 들렸다가 헛걸음을 했다.
선운사 동백꽃은 남해안의 동백꽃이 다 지고 난 4월 하순경에야 개화하는데,
비감에 잠겨 있다 보니 그걸 깜빡한 것이다.
말술로 소문난 스물여덟 살의 미당은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길가 주막엘 들렸다.
술상을 사이에 두고 마주 앉은 주모는 이내 미당과 마음이 통했다.
취기가 아련해지자 그녀는 특유의 쉰소리로 멋들어지게 육자배기를 한 가락 뽑았다.
미당은 막걸릿집 여자의 육자배기에서 작년에 피었던 동백꽃 소리를 들었다.
그러고 보면 꽃잎이 다 붙은 채로 목이 뚝뚝 부러져 떨어지는 동백꽃의 결기는
한평생 농투성이로 살다 잠결에 저승으로 떠난 부친과 무척이나 닮아 있기도 했다.
미당은 천년만년 후대에 전해질 자신의 시비에 무척 감개무량해 했다.
그러나 시비 건립 취지문의 ‘詩聖 서정주’라는 표현이 좀 민망하다고 얘기했더니,
요즘은 웬만한 사람이면 누구나 樂聖이니 畵聖이니 하는 미사여구를 붙이는 추세란다.
당신도 별 거 아니지만 다들 그렇게 하니 ‘詩聖’이란 상투어를 붙여주었다는 투였다.
당연히 ‘선생님께서는 시성이라는 칭호를 받아 마땅하십니다.’ 했어야지
무슨 대답을 고따구로 하여 졸지에 미당을 ‘웬만한 사람’으로 취급하고 말았으니 원…
미당은 더욱 민망하여 차라리 입을 다물고 말았다.
어쨌든 미당은 평생 최고의 고마움을 느꼈다고.
미당은 한때 이 나라에서 시인이 된 것을 스스로 딱하게 여긴 적이 있었지만,
시비를 본 이후 다시는 그런 생각을 하지 않기로 했다.
그러면서 미당은 프랑스 시인 샤를 보들레르(1821~1867)가
‘어느 후줄근한 날’ 엉엉 소리 내어 울었던 사연을 소개해놓았다.
일생 동안 받은 원고료를 다 합쳐도 너무나 형편없이 적은 액수여서.
황순원이 축사를 낭독할 때는 어법 빗줄기가 굵어졌다.
주최 측에서 누군가가 우산을 펴서 황순원에게 씌워주었다.
황순원은 웃는 낯으로 우산을 밀쳤다.
“우산 치우시오.
미당을 생각하는 정이 넘쳐서 하늘도 내리시는 비일진데,
가리고 안 맞아서야 되겠소?”
미당은 동갑내기 친구 황순원의 이 한 마디를 평생 잊을 수 없노라고 했다.
https://kydong77.tistory.com/374
https://kydong77.tistory.com/21617
https://kydong77.tistory.com/20753
'문학 > 시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초 오상순, <방랑의 마음> (0) | 2017.05.24 |
---|---|
서정주-<푸르른 날> <국화 옆에서> (0) | 2017.05.08 |
김수영 - 巨大한 뿌리 (1) | 2015.12.14 |
김수영, 거대한 뿌리 (1) | 2015.12.14 |
김수영 - 그 방을 생각하며 (1) | 2015.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