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3고백행(古柏行)-두보(杜甫)
오래된 측백나무를 노래함
孔明廟前有老柏(공명묘전유로백) : 제갈공명의 사당 앞에 오래된 측백나무
柯如靑銅根如石(가여청동근여석) : 가시는 청동같고 뿌리는 돌같구나
霜皮溜雨四十圍(상피류우사십위) : 서리 견딘 껍질에 흘러내린 물방울, 둘레는사십 아름이라
黛色參天二千尺(대색참천이천척) : 검푸른 잎새는 하늘로 이천 척이나 솟아있구나
君臣已與時際會(군신이여시제회) : 군신이 이미 시국에 따라 함께 모였으니
樹木猶爲人愛惜(수목유위인애석) : 사당 앞의 나무도 사람의 아낌을 받고 있구나
雲來氣椄巫峽長(운래기접무협장) : 구름 몰려오면 그 기운 길게 무협으로 이어지고
月出寒通雪山白(월출한통설산백) : 달 떠오르면 그 찬기운 설산의 흰 눈과 통하는구나
億昨路繞錦亭東(억작로요금정동) : 지난 날을 생각하노라, 길 따라 금정 동쪽을 도니
先主武侯同閟宮(선주무후동비궁) : 선주 유비와 무후 제갈공명이 같은 사당에 모셔있었다
崔嵬枝幹郊原古(최외지간교원고) : 나무 줄기는 크고 높았고 교외의 들판도 오래되어
窈窕丹靑戶牖空(요조단청호유공) : 단청은 으슥했으나 창문 안은 아무것도 없이 비어있었다
落落盤踞雖得地(락락반거수득지) : 측백나무는 가지 늘어뜨리고 서리어 땅을 얻고 있으나
冥冥孤高多烈風(명명고고다열풍) : 어둑하도록 높이 자라 사나운 바람 많이 받는구나
扶持自是神明力(부지자시신명력) : 자신을 부지한 것은 곧 신명의 힘이요
正直元因造化功(정직원인조화공) : 바르고 곧게 자란 것은 조물주의 공덕일 것이다
大廈如傾要梁棟(대하여경요량동) : 만약 큰 집이 기울어져 대들보나 기둥감이 필요하여도
萬牛回首丘山重(만우회수구산중) : 나무가 산처럼 무거워 만 마리 소도 고개 돌려 외면할 것이다
不露文章世已驚(불로문장세이경) : 아름다운 무늬가 드러나지 않아도 세상사람들 이미 놀라
未辭剪伐誰能送(미사전벌수능송) : 베기를 거절하지 않아는다 해도 누가 능히 운반해 갈 수 있으리
苦心未免容螻蟻(고심미면용루의) : 개미에게 당하는 마음 속 괴로움 면하지 못하고
香葉終經宿鸞鳳(향엽종경숙란봉) : 향기로운 나무 잎새는 난새나 봉황새의 잠자리도 되었을 것이다
志士幽人莫怨嗟(지사유인막원차) : 뜻 있는 선비나 숨어사는 사람들은 원망하고 한탄하지 말아라
古來材大難爲用(고래재대난위용) : 예부터 인재가 크면 쓰이기가 어려웠노라
[안병렬 역]
063 두보(杜甫)
늙은 잣나무 노래
공명의 사당 앞에
늙은 잣나무
가지는 푸른 구리
뿌리는 돌 같다.
창백한 껍질엔 물방울 흐르고
둘레는 마흔 아름
짙푸른 잎들은
하늘 찔러 이천 자.
임금과 신하 이미
여기 함께 모였으니
나무들도 오히려
사랑 받는다.
구름은 내려와
기운이 긴 무협에 이었고
달이 떠올라
찬 기운은 설산의 흰 눈과 통함이라.
생각하면 지난 날
금정을 휘돌아 동쪽으로 갔더니
선주 유비와 무후 제갈공명이
같은 사당에 모셔져 있었다.
높다란 가지는
들녘에서 늙어가고
그윽한 단청집은
문마저 쓸쓸하다.
굳고 굳게 서려 앉아
땅은 비록 얻었으나
먼 하늘이 외로이 높아
매서운 바람도 많으리라.
이로부터 부지함은
신명님의 힘이요
바르고 곧은 까닭
조화옹의 공이로다.
큰 집이 무너질 때
동량이 필요한데
천만년 후에라도 고개 돌려 조상하며
태산 같던 그 무거움 그제사 깨달으리라.
문채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세상 이미 놀랐으니
베어짐 거절하지 않는다 해도
누가 능히 운송해 가랴?
고심해도 어찌
개미떼 달려듦을 면할까마는
향기로은 잎에는
마침내
난새 봉새 자고 가누나.
지사여, 은사들아,
탄식하지 말지니
예로부터 재목 크면
쓰이기 어려웠다.
'중국고전 > 唐詩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5 원결, 석어호상취가병서(石魚湖上醉歌幷序) (0) | 2017.10.03 |
---|---|
064 두보, 관공손대낭제자무검기항병서(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幷序) (0) | 2017.10.03 |
062 두보,기한간의(寄韓諫議) (0) | 2017.10.02 |
061 두보, 단청인증조패장군(丹靑引贈曹霸將軍) (0) | 2017.10.02 |
060 두보, 위풍록사택관조장군화마화인(韋諷錄事宅觀曹將軍畵馬畵引) (0) | 2017.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