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6산석(山石)-한유(韓愈;768-824)
산의 돌
山石犖確行徑微(산석락확항경미), 산의 돌은 험하고 가는 길은 좁은데
黃昏到寺蝙蝠飛(황혼도사편복비). 황혼에 절에 이르니 박쥐들만 날아다니네
升堂坐階新雨足(승당좌계신우족), 법당에 올라 섬돌에 앉으니 단비가 듬뿍 내려
芭蕉葉大梔子肥(파초섭대치자비). 파초 잎은 커지고 치자는 두터워졌네
僧言古壁佛畫好(승언고벽불화호), 오래된 벽의 불화가 좋다고 스님이 말하기에
以火來照所見稀(이화내조소견희). 등불 들고 와 비춰보니 드물게 보는 것이네
鋪床拂席置羹飯(포상불석치갱반), 방석 털고 식탁보 깔고 국과 밥을 차리니
疏糲亦足飽我飢(소려역족포아기). 거친 현미밥 넉넉하여 주린 배를 채웠네
夜深靜臥百虫絶(야심정와백충절), 밤 깊어 조용히 자리에 드니 벌레소리 안 들리고
淸月出嶺光入扉(청월출령광입비). 밝은 달 고개 위에 솟아 사립문에 비춰든다
天明獨去無道路(천명독거무도노), 새벽 일찍 혼자 떠나니 길을 찾지 못하여
出入高下窮煙霏(출입고하궁연비). 높고 낮은 언덕길 오르내리다가 안개에 길이 막히네
山紅澗碧紛爛漫(산홍간벽분난만), 햇빛에 만물이 난만히 드러나니 산은 붉고 물은 푸른데
時見松櫪皆十圍(시견송력개십위). 때때로 보이는 소나무와 상수리나무 열 아름이나 되네
當流赤足蹋澗石(당류적족답간석), 맨발을 흐르는 물에 담구고 개울돌을 밟으니
水聲激激風吹衣(수성격격풍취의). 물소리는 콸콸, 옷은 바람에 나부낀다
人生如此自可樂(인생여차자가낙), 인생이 이만하면 즐길 만하니
豈必局束爲人鞿(개필국속위인기)! 어찌 반드시 속박되어 남의 굴레에 얽매일까
嗟哉吾黨二三子(차재오당이삼자), 애닲구나! 우리 친구들이여
安得至老不更歸(안득지노부갱귀)! 어찌 다 늙도록 물러나지 못 하는가!
[안병렬 역]
066 한유(韓愈;768-824)
山石
산의 돌은 울퉁불퉁
가는 길은 좁은데
황혼에 절에 오니
박쥐들이 날아다닌다.
법당에 올라 섬돌에 앉으니
때마침 단비 흡족하여
파초잎은 커지고
치자는 살이 쪘다.
스님 말씀으로
옛벽에 불화가 좋다기에
불켜서 비춰보니
드물게 본 바라.
먼지 털고 자리 깔아
국과 밥을 차렸는데
소박한 반찬에 담백한 밥으로
넉넉히 주린 배를 채웠다.
밤 깊어 조용히 누우니
벌레 소리 끊긴 속에
맑은 달빛 산 위에서
사립문에 들어온다.
새벽 일직 혼자 나가니
길 찾지 못하고
들고 나고 오르고 내리고
끝내 안개 속에 막히었구나.
이윽고 햇빛에 만물이 드러나니
산은 붉고 개울은 푸르고
때때로 보이는 소나무와 상수리나무
모두 다 열 아름도 넘을 듯.
맨발을 물에 담가
개울돌 밟으니
물소리 콸콸
바람에 옷깃이 나부낀다.
인생이 이만하면
즐길 만하거니
뭣땜시 움츠리고
남의 굴레 매일거냐?
애닲다 우리 동료
친구들이여,
어찌하여 늙기까지
은퇴할 줄 모르는고?
'중국고전 > 唐詩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8 한유, 알형악묘수숙악사제문누(謁衡岳廟遂宿岳寺題門樓) (0) | 2017.10.04 |
---|---|
067 한유, 팔월십오야증장공조(八月十五夜贈張功曹) (0) | 2017.10.04 |
065 원결, 석어호상취가병서(石魚湖上醉歌幷序) (0) | 2017.10.03 |
064 두보, 관공손대낭제자무검기항병서(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幷序) (0) | 2017.10.03 |
063 두보, 고백행(古柏行) (1) | 201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