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지와 아이들 - 난 알아요 (데뷔무대)

https://www.youtube.com/watch?v=tY23D2bbL4I

*심사평은 듣지 마세요. 천재의 노래를 범부들이 이해나 하겠어요? 그나마 노래하는 전영록의 조언이 기중 낫네요.


후면의 비문 마무리는 아래의 자작시로 처리하였다.

만해룡운당대선사비(卍海龍雲堂大禪師碑)/ 탑골공원


(卍海 韓龍雲 詩 春晝)

춘주 (春晝 : 봄날 한낮)
 - 한용운(韓龍雲)
 
봄날이 고요키로 香을 피고 앉았더니
삽살개 꿈을 꾸고 거미는 줄을 친다
어디서 꾸꾹이 소리 산을 넘어 오더라

따스한 볕 등에 지고 유마경을 읽노라니
가볍게 나는 꽃이 글자를 가리운다
구태여 꽃 밑에 글자 읽어 무삼하요

대실로 비단 짜고 솔잎으로 바늘 삼아
만고청수 수를 놓아 옷을 지어 두었다가
어즈버 해가 차거든 우리 님께 드리리라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3sang4&logNo=40024378730&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제02강 싯달타와 세종대왕

https://www.youtube.com/watch?v=sWNM6KVzI1g&index=5&list=PLBsG056p9GV8FfP67tHJ0c5Aedu0Dfgq9

 

제03강 싯탈타의 생애

https://www.youtube.com/watch?v=OPLz-_aTFU0&list=PLBsG056p9GV8FfP67tHJ0c5Aedu0Dfgq9&index=6

 

제06강 팔리어 삼장

https://www.youtube.com/watch?v=7Zmy2v1dWmY&list=PLBsG056p9GV8FfP67tHJ0c5Aedu0Dfgq9&index=9

 

제08강 아함의 대발견

https://www.youtube.com/watch?v=qj8BAPWx1YM&index=11&list=PLBsG056p9GV8FfP67tHJ0c5Aedu0Dfgq9

*원시불교(초기불교, 소승불교) > 대승불교(종단화). 천년에 걸친 불경의 漢譯.

 

제09강 숫다니파타/ 小部 5th - 법정스님이 처음 소개함 

https://www.youtube.com/watch?v=6SUVZHE-W94&index=12&list=PLBsG056p9GV8FfP67tHJ0c5Aedu0Dfgq9

 

제12강 법구경 Dhammapada 진리의 말씀.

https://www.youtube.com/watch?v=AF6d5gQdpxs&index=15&list=PLBsG056p9GV8FfP67tHJ0c5Aedu0Dfgq9

*Dhammapada  Dhamma - 진리, pada - 말씀. 곧 진리의 말씀.

《담마빠다》(담마파다, Dhammapada, Dhp) 또는 법구경(法句經)은 붓다의 가르침을 모은 초기 경전이다. 팔리 삼장(Tipiṭaka)에는 《숫타니파타(Sutta Nipāta)》 등과 함께 경장(숫타 삐따까) 소부(굿다까 니까야)로 분류되어 있다.

담마빠다는 여러 언어로 번역이 많이 되었는데, 한역본(漢譯本)으로는 《법구경》(法句經, K.1021, T.0210)과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K.1020, T.0211)이 대표적이다.

*불교란 무엇인가?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

모든 악을 짓지 않고, 중생의 善(公共의 이익)을 봉행하고, 자기 마음을 스스로 깨끗이 한다. 이것이 여러 부처님들의 가르침이다.

*달라이 라마: 나는 부처의 화신이 아니오. 전생의 화신일 뿐이오.

 

아함경 [ ]

[요약] 불교 경전 가운데 아함부()에 속하는 원시() 또는 소승() 경전.

아함은 산스크리트 아가마(gama)의 음역으로서, 전승()이란 의미의 말이다. 이 이름으로 불리는 문헌이 현재 《한역대장경()》 안에 네 가지가 포함되어 있는데,

① 《장아함경()》

② 《중아함경()》

③ 《잡아함경()》

④ 《증일아함경()》이다.

이 넷은 산스크리트 원전에서 한역된 것이 분명하며, 이 중 《장아함경》의 원전은 그 일부분이 현재 남아 있어서 대조 검토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을 제외하고는 한역 아함의 원본은 전래되지 않는다.

위의 네 가지 아함 중에서 크기로 보면 《장아함경》이 제일 적어 22권이고, 나머지 ② ③ ④는 각각 60권, 50권, 50권으로 상당한 분량에 달하는 것이다. 이 한역 아함경에 해당하는 팔리어()로 된 문헌이 현존하는테, 아가마가 아니라 니카야(Nikāya)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팔리어 니카야에는 다섯 가지가 있는데, 그 명칭이나 내용이 한역본과 상응하여서 이 니카야는 팔리어를 사용하던 한 부파()에서의 경전 집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4아함이나 5니카야는 그 하나하나가 1경()을 이루는 것이 아니고, 각 아함과 각 니카야가 많은 경()으로 집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한역에서 《아함경》이라고 명명한 것은 엄밀히 따지면 잘못된 표현이며, 그냥 ‘아함’이라고만 하는 편이 더 온당하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팔리어 니카야의 경우를 예로 들면, ① 장부()에는 길이가 비교적 긴 경 34가지가 포함되어 있고, ② 중부()에는 길이가 비교적 중간쯤의 것 152가지가 집성되어 있고, ③ 상응부()에는 짧은 경 2,875가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④ 증지부()에도 역시 짧은 경 2,198가지가 법수()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으며, ⑤ 소부()에는 《법구경()》 《본생담()》 등 잘 알려진 경을 포함한 15가지가 들어 있다. 구성 자체로 보면 팔리어 니카야와 한역 아함 사이에는 유사성은 있으나 완전한 일치는 없다.

한역 장아함에는 32경, 중아함에는 22경, 잡아함에는 1,362경, 증일아함에는 472경이 들어 있어 그 숫자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현재 유포되고 있는 불교 전적 중에서는 이 경전이 율장()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한역의 4아함은 원래 한 부파의 소의경전()이 아니라, 다른 부파들의 것을 중국인들이 모아 4아함의 체제를 갖춘 것으로 밝혀졌다.

이 아함의 주요 사상은 사제()와 연기()로 요약할 수 있는데, 그 사유의 전개방식은 초보적 단계라고 평가되기도 한다. 이 아함의 팔리어본()인 5니카야는 베트남 ·타이완[]을 제외한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최상무이()의 절대적 성전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역 4아함은 그 번역이 이루어진 지가 매우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한국 ·일본 등 대승불교권에서 이를 묵살하다시피 해왔다.

다만 근래에 일본에서 《아함경》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한국에서도 《법구경()》 같은 아함 경전이 번역 유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내놓은 많은 불교 설화 ·동화 ·비유 등의 저술이 사실은 이 《아함경》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진 것들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함경 [阿含經] (두산백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