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3fHmdsb2yyM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B3%91%EC%97%B0
김병연(金炳淵, 1807년(순조 7년) ~ 1863년(철종 14년) 3월 25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풍자 시인이자 방랑 시인이다. 그는 흔히 김삿갓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일생과 배경
속칭 김삿갓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김병연[2][3] 그는 '삿갓 립'(笠)자를 써서 김립(金笠)이라고도 한다. 그의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字)는 성심(性深), 호(號)는 이명(怡溟), 지상(芝祥), 난고(蘭皐)이다. 그의 선대 조상을 살펴보면 9대조부는 병자호란 때 척화대신으로 유명한 청음 김상헌의 사촌형으로서 형조참판을 지낸 김상준이며 5대조는 황해도 병마절도사 김시태, 고조부는 전의현감 김관행, 증조부는 경원부사 김이환이다.
그의 조부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 선천 부사로 있다가 반란군 세력에 투항한 것을 두고 비난하는 시로 장원한 것을 수치로 여겨, 일생을 삿갓으로 얼굴을 가리고 단장으로 벗을 삼아 각지로 방랑을 했다. 도처에서 독특한 풍자와 해학 등으로 퇴폐하여 가는 세상을 개탄했다. 그의 수많은 한문시가 구전되고 있다. 그의 묘는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와석리에 있다.
난고평생 (蘭皐平生)
https://ko.wikisource.org/wiki/%EB%82%9C%EA%B3%A0%ED%8F%89%EC%83%9D%EC%8B%9C
란고평생 (蘭皐平生)
*蘭皐(란고)란 '난초 핀 언덕'
鳥巢獸穴皆有居
(조소수혈개유거), 새도 둥지가 있고 짐승도 굴이 있건만
顧我平生獨自傷
(고아평생독자상), 내 평생을 돌아보니 너무 가슴이 아프네.
芒鞋竹杖路千里
(망혜죽장로천리) 짚신에 대지팡이로 천리 길을 떠돌며
水性雲心家四方
(수성운심가사방)[2], 물과 구름처럼 사방을 내 집처럼 여겼네.
尤人不可怨天難
(우인불가원천난), 남 탓할 수 없고 하늘 원망할 수도 없어
歲暮悲懷餘寸腸
(세모비회여촌장)[3] 섣달그믐엔 서글픈 마음 가슴을 미였네.
初年自謂得樂地
(초년자위득락지), 어려서는 좋은 세상 만났다 생각하며
漢北知吾生長鄕
(한북지오생장향), 한양이 내가 성장한 고향인 줄 알았네.
簪纓先世富貴人
(잠영선세부귀인) 집안은 대대로 부귀영화를 누려
花柳長安名勝庄
(화류장안명승장), 꽃 피는 장안 명승지에 집이 있었네.
隣人也賀弄璋慶
(인인야하농장경) 이웃 사람들이 아들 낳았다고 축하하고
早晩前期冠蓋場
(조만전기관개장) 조만간에 장원급제 출세하길 기대하였네.
髮毛稍長命漸奇
(발모초장명점기) 머리카락 자라선 팔자가 기구하여
劫灰殘門飜海桑
(겁회잔문번해상)[7][8] 뽕나무 밭 바다 되듯 집안이 망하였네.
依無親戚世情薄
(의무친척세정박) 의지할 친척 없고 세상 인심 박해지고
哭盡爺孃家事荒
(곡진야양가사황)[9] 부모상 마치자 집안이 황폐하였네.
終南曉鍾一納履
(종남효종일납리)[10] 남산 새벽 종소리 들으며 신 끈을 매고
風土東方心細量
(풍토동방심세양) 동방풍토 돌아다니며 시름이 가득찼네.
心猶異域首丘狐
(심유이역수구호)[11] 마음은 고향 그리는 여우 같건만
勢亦窮途觸藩羊
(세역궁도촉번양)[12] 형세는 울타리 뿔 걸린 양이네.
南州從古過客多
(남주종고과객다) 남녘 지방에 예부터 나그네 많았다지만
轉蓬浮萍經幾霜
(전봉부평경기상)[13] 부평초처럼 떠도는 신세가 몇 년인가.
搖頭行勢豈本習
(요두행세기본습) 머리를 조아리는 것이 어찌 본색이랴만
掩口圖生惟所長
(엄구도생유소장) 입 다물고 사는 것이 그 중에 상책이라.
光陰漸向此中失
(광음점향차중실) 이리 살며 차츰 세월을 잊어버려
三角靑山何渺茫
(삼각청산하묘망)[15] 삼각산 푸른 모습이 아득하기만 하여라
江山乞號慣千門
(강산걸호관천문) 강산 떠돌며 구걸한 집이 수도 없건만
風月行裝空一囊
(풍월행장공일낭) 풍월시인 행장은 빈 자루 하나뿐이네
千金之子萬石君
(천금지자만석군) 천금의 부자와 만석꾼 부자들의
厚薄家風均試嘗
(후박가풍균시상) 후하고 박한 가풍을 고루 맛보았지.
身窮每遇俗眼白
(신궁매우속안백), 신세는 궁박하여 늘 백안시 당하고
歲去偏傷鬢髮蒼
(세거편상빈발창), 세월 갈수록 머리만 희어져 가슴만 아프네
歸兮亦難佇亦難
(귀혜역난저역난), 돌아가기도 어렵지만 그만 두기도 어려워
幾日彷徨中路傍
(기일방황중로방), 죽도록 길 위에서 떠돌아야 하는 신세네.
역주[편집]
- ↑ 芒鞋竹杖(망혜죽장) : 짚신과 대지팡이. 즉 먼길을 떠나는 간편한 차림.
- ↑ 水性雲心(수성운심) : 물 같은 성품과 구름 같은 마음.
- ↑ 寸腸(촌장) : 마디마디의 창자. '작은 진심'
- ↑ 簪纓(잠영) : 관원이 쓰는 비너와 갓끈. '양반'을 이르던 말
- ↑ 弄璋(롱장) : 아들을 낳음.
- ↑ 冠蓋(관개) : 높은 벼슬아치가 타고 다니는 수레.
- ↑ 劫灰(겁회) : 세상이 파멸될 때에 일어난다는 큰 불의 재.
- ↑ 海桑(해상) : 상전벽해(桑田碧海) 뽕나무밭이 바다가 된다, 즉 세상 일이 빠르게 변함.
- ↑ 爺孃(야양) : '부모'의 속칭
- ↑ 終南(종남) : 남산의 남쪽 봉우리
- ↑ 首丘狐(수구호) : 수구초심(首丘初心) 여우도 죽을 때 저 살던 굴로 머리를 향함. 즉 고향을 그리워함.
- ↑ 觸藩羊(촉번양) : 저양촉번(羝羊觸藩) 숫양이 울타리를 받다가 뿔이 걸려 옴짝달싹 못하게 됨.
- ↑ 轉蓬(전봉) : 뿌리째 뽑혀 여기저기 굴러다니는 쑥. 즉 고향을 더나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처지.
- ↑ 光陰(광음) : 시간이나 세월으 이르는 말.
- ↑ 三角靑山(삼각청산) : 삼각산, 북한산.
란고평생 (蘭皐平生)
https://www.youtube.com/watch?v=2cErd8IwIt8
https://ko.wikisource.org/wiki/%EB%82%9C%EA%B3%A0%ED%8F%89%EC%83%9D%EC%8B%9C
https://www.youtube.com/watch?v=rc-9LLy02WU&t=191s
https://news.joins.com/article/3260640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050916/8229134/1
https://www.youtube.com/watch?v=B8edker_wSc&t=913s
二十樹下三十客
(이십수하삼십객) 스무(시무) 나무 밑에서 서러운(30, 서른) 나그네가
四十村中五十食
(사십촌중오십식) 망할(40, 마흔) 놈의 집구석에서 쉰(50, 쉰) 밥을 먹네
人間豈有七十事
(인간개우칠십사) 인간사에 어찌 이런(70, 일흔) 일이 있을 수 있으랴
不如歸家三十食
(불여귀가삼십식) 집으로 돌아가 선(30, 서른, 설은=설익은) 밥을 먹느니만 못하구나
[출처] 시선(詩仙) 김삿갓 유적지 및 문학관 탐방|작성자 sheenbee
https://kydong77.tistory.com/6658
https://kydong77.tistory.com/17900
詠笠(영립)
(삿갓을 노래하다)
浮浮我笠等虛舟
부부아립등허주, 삿갓 쓰고 떠도는 내 신세 빈 배와 같아
一着平生四十秋
일착평생사십추, 한번 쓰고 나서 사십 평생 지났네.
牧竪輕裝隨野犢
목수경장수야독, 더벅머리 목동은 가볍게 쓰고 소 먹이러 가고
漁翁本色伴沙鷗
어옹본색반사구, 어부는 삿갓 쓰고 모래밭 갈매기와 노는구나.
醉來脫掛看花樹
취래탈괘간화수, 취하면 벗어 걸고 꽃나무를 바라보고
興到携登翫月樓
흥도휴등완월루, 흥이 나면 들고 다락에 올라 달 구경하네.
俗子依冠皆外飾
속자의관개외식, 세상사람들 옷차림은 모두 겉치레지만
滿天風雨獨無愁
만천풍우독무수, 하늘에 비바람 가득해도 나는 걱정 없도다.
https://www.youtube.com/watch?v=ExC9Pqa2dl0
https://www.youtube.com/watch?v=SRQo3qieAVc
https://www.youtube.com/watch?v=v3MSekrYWu8
https://www.youtube.com/watch?v=OleG2SY9FcU
https://www.youtube.com/watch?v=CdL4OcbwfuY
https://www.youtube.com/watch?v=y1qKm3myuH8
'생활 > 로상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uglas Malloch, 무슨 일이든 최선을 다하라/ 북한산둘레길 (0) | 2020.04.06 |
---|---|
방랑시인 김삿갓/ 김병연, 詠笠(영립) (0) | 2020.01.18 |
풍납토성 (0) | 2016.09.03 |
거리에서3 (0) | 2015.12.29 |
거리에서2 (0) | 2015.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