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jF79g43rA9s
https://www.youtube.com/watch?v=QNxsKZfp5-c
http://hankukmail.com/newshome/print_paper.php?number=13461
南道 인물(100)-소치(小癡) 허련(許鍊), 헌종, 흥선대원군, 김정희도 탐복한 인물
南道 인물(100)-소치(小癡) 허련(許鍊), 헌종, 흥선대원군, 김정희도 탐복한 인물 스승 김정희도 “압록강 동쪽으로 소치를 따를만한 화가가 없다.”든지, “소치 그림이 내 것보다 낫다.”하며 칭
hankukmail.com
https://www.jindo.go.kr/tour/sub.cs?m=10
운림산방 : 진도군 관광문화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60%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운림산방』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www.jindo.go.kr
https://www.youtube.com/watch?v=W5aWgbIBmxQ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044
허련(許鍊)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마힐(摩詰), 호는 소치(小痴)·노치(老痴)·석치(石痴). 이명은 허유(許維). 조희룡(趙熙龍)·전기(田琦) 등과 함께 김정희 일파(金正喜一派)에 속한다. 중국 당나라 남종화�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0428
김정희(金正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리나라 역사상에 예명(藝名)을 남긴 사람들이 많지만 이만큼 그 이름이 입에 오르내린 경우도 드물다. 따라서 그에 대한 연구도 학문·예술의 각 분야별로 국내외 여러 학자들 사이에서 일찍��
encykorea.aks.ac.kr
https://www.youtube.com/watch?v=FCecZ8TnJpg
https://www.youtube.com/watch?v=jP21qk6NJmQ
http://www.daeheungsa.co.kr/home/sub2/sub1_3_4.asp
고승대덕-초의선사
초의선사는 산속 절집에 사는 스님이면서 홀로 명상으로 선(禪)만 하는 스님이 아니었다. 다산 정약용, 완당 김정희를 위시하여 홍현주.석주형제, 윤정현, 권돈인, 자하신위, 유산 정학연, 운포 �
www.daeheungsa.co.kr
https://kydong77.tistory.com/18044
추사 김정희, 세한도 발문
집앞에 소나무 2그루[초의(노송)와 이상적] , 집뒤에도 잣나무 2그루 우측 상단의 題辭에는 "歲寒圖 藕船是賞 阮堂"이라 적었다. 제사를 번역하면, "세한도를 우선 이상적은 감상하시게. 완당 김��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087
추사 김정희 선생 유배지/서귀포
금란지교 (金蘭之交) 지란지교 (芝蘭之交) 추사 김정희(1786-1856) 초의 의순(1786-1866) 집앞에 소나무 2그루[초의(노송)와 이상적] , 집뒤에도 잣나무 2그루 우측 상단의 題辭에는 "歲寒圖 藕船是賞 阮
kydong77.tistory.com
* 아래는 슬픈 노래를 찾다가 옆길인 을미사변으로 빠져 버렸네요. 덕분에 역사 공부 잘 했군요.
https://www.youtube.com/watch?v=rEREXwJ2P9Q
https://www.youtube.com/watch?v=HAQjyWKz2Z4
https://ko.wikipedia.org/wiki/%EC%9D%84%EB%AF%B8%EC%82%AC%EB%B3%80
을미사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ko.wikipedia.org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1]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다. 이외에 명성황후 암살 사건(明成皇后暗殺事件), 명성황후 시해 사건(明成皇后弑害事件)이라 부르기도 한다.[2][3] 당시에는 을미의 변(乙未之變) 또는 을미 팔월의 변(乙未八月之變)[4] 이라고 불렀다. 당시 일본은 명성황후를 암여우(일본어: 女狐 메기쓰네[*])라고 불렀으며, 작전 암호명은 여우사냥(일본어: 狐狩り 기쓰네가리[*])이었다.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뽕할머니, 진도 신비의 바다길/ 모세의 기적 (0) | 2020.06.09 |
---|---|
진도 첨찰산 쌍계사 (0) | 2020.06.09 |
진도를 찾아서/진도아리랑, 육자배기 (0) | 2020.06.05 |
宋歌人이어라!/ 人生逆轉, 진도 宋歌人마을 (0) | 2020.06.05 |
꽃길만 걷고 싶다굽쇼?/ 함평휴게소에서 (0) | 2020.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