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1장
위정편(爲政篇) 제01장 論語集註卷之二 爲政第二 凡二十四章 <제1장> 子ㅣ 曰爲政以德이 譬如北辰이 居其所ㅣ어든 而衆星이 共之니라 공자 가라사대 정치를 덕으로써 함이 비유컨대 북극성이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2장
위정편(爲政篇) 제02장 子ㅣ 曰詩三百에 一言以蔽之하니 曰思無邪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시경』 삼백편에 한 말로써 덮으니 가로대 생각에 간사함이 없느니라. [본문해설] 공자는 『시경』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3장
위정편(爲政篇) 제03장 子ㅣ 曰道之以政하고 齊之以刑이면 民免而無耻니라 공자 가라사대 인도하되 정사로써 하고 가지런히 하되 형벌로써 하면 백성이 면하기는 하되 부끄러움이 없느니라.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4_1장
위정편(爲政篇) 제04_1장 子ㅣ 曰吾ㅣ 十有五而志于學하고 공자 가라사대 내가 열다섯에 배움에 뜻을 두고 古者에 十五而入大學이라 心之所之를 謂之志라 此所謂學은 卽大學之道也ㅣ라 志乎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4_2장
위정편(爲政篇) 제04_2장 四十而不惑하고 사십에 의혹되지 아니하고 於事物之所當然에 皆無所疑면 則知之明而無所事守矣라 사물의 당연한 바에 다 의심하는 바가 없으면 아는 것이 밝아져 지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5장
위정편(爲政篇) 제05장 孟懿子ㅣ 問孝한대 子ㅣ 曰無違니라 맹의자가 효를 물은대 공자 가라사대 어김이 없느니라 孟懿子는 魯大夫仲孫氏니 名은 何忌라 無違는 謂不背於理라 맹의자는 노나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6장
위정편(爲政篇) 제06장 孟武伯이 問孝한대 子ㅣ 曰父母는 唯其疾之憂ㅣ시니라 맹무백이 효를 물은대 공자 가라사대 부모는 오직 그 병을 근심하시니라. 武伯은 懿子之子니 名은 彘라 言父母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7장
위정편(爲政篇) 제07장 子游ㅣ 問孝한대 子ㅣ 曰今之孝者는 是謂能養이니 至於犬馬하야도 皆能有養이니 不敬이면 何以別乎ㅣ리오 자유가 효를 물은대 공자 가라사대 지금의 효는 이 능히 기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8장
위정편(爲政篇) 제08장 子夏ㅣ 問孝한대 子ㅣ 曰色難이니 有事ㅣ어든 弟子ㅣ 服其勞하고 有酒食ㅣ어든 先生饌이 曾是以爲孝乎아 자하기 효를 물은대 공자 가라사대 얼굴빛 갖기가 어려우니,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09장
위정편(爲政篇) 제09장 子ㅣ 曰吾與回로 言終日에 不違如愚ㅣ러니 退而省其私혼대 亦足以發하나니 回也ㅣ 不愚ㅣ로다 공자 가라사대 내 회와 더불어 종일을 말하면 어기지 아니하니 어리석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0장
위정편(爲政篇) 제10장 子ㅣ 曰視其所以하며 공자 가라사대 그 하는 바를 보며 以는 爲也ㅣ니 爲善者는 爲君子요 爲惡者는 爲小人이라 이는 함이니 선을 하는 자는 군자가 되고, 악을 하는 자
yeometgol.tistory.com
'중국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제3편 팔일편(八佾篇) 1-10장, 26장/ 禮樂之事 (0) | 2021.01.05 |
---|---|
論語, 제2편 위정편(爲政篇) 11- 24장/24장 (0) | 2021.01.05 |
論語, 제1편 학이편(學而篇) 1-16장/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0) | 2021.01.05 |
論語, 서설(序說) 1-7 (0) | 2021.01.05 |
논어 2. 爲政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