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junos111/8052891?category=286363

 

告子章句上 第六章 : 乃若其情

公都子曰 [告子曰 {性無善無不善也. } (공도자왈 고자왈 성무선무불선야)) 或曰 {性可以爲善, 可以爲不善. (혹왈 성가이위선,가이위불선)         是故文武興, 則民好善. (시고문무흥,즉민호

blog.daum.net

 

公都子曰 [告子曰 {性無善無不善也. } (공도자왈 고자왈 성무선무불선야))

或曰 {性可以爲善可以爲不善(혹왈 성가이위선,가이위불선)

        是故文武興則民好善(시고문무흥,즉민호선)

        幽厲興則民好暴. } (유려흥,즉민호포)

或曰 {有性善有性不善(혹왈 유성선,유성불선)

       是故以堯爲君而有象(시고이요위군이유상)

       以瞽瞍爲父而有舜(이고수위부이유순)

       以紂爲兄之子且以爲君(이주위형지자차이위군)

       而有微子啓王子比干. } (이유미자계왕자비간)

공도자(公都子) "고자는 '性은 善도 없고, 不善도 없다' 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性은 善을 할 수 있고 不善을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文王이나 武王이 일어났을 때에는 백성들은 善을 좋아하였고,

  유왕(幽王)이나 려왕(厲王)이 일어났을 때에는 백성들은 포악을 좋아했다'고 말하며,

어떤 사람은 '性이 善한 이가 있고, 不善한 이도 있다.

  그러므로 요(堯)를 임금으로 모시면서도 상(象) 같은 이가 나왔는가 하면,

  고수(瞽瞍)를 아비로 순(舜)임금 같은 이가 나왔고,

  주(紂)를 형님의 아들로 하고 또 임금으로 모시는데도

  미자계(微子啓)와 왕자 비간(比干)이 나왔다' 고 말합니다.

 

 

今曰 {性善} , (금왈 성선)

   然則彼皆非與? ] (연즉피개비여?)

孟子曰 (맹자왈)

   [乃若其情, 則可以爲善矣, 乃所謂善也. (내야기정,즉가이위선의,내소위선야)

    若夫爲不善, 非才之罪也. (야부위불선,비재지죄야)

이제 말씀하시기를 '性이 善하다'라고 하시니,

 그렇다면 이것들은 모두 옳지 않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본성 그대로라면 善해 질 수 있으니 그러므로 善이라 이른다.

 만약 不善하다고 해도 그것은 본바탕의 잘못(才之罪)이 아니다.

 

 

惻隱之心人皆有之(측은지심,인개유지)

羞惡之心人皆有之(수오지심,인개유지)

恭敬之心人皆有之(공경지심,인개유지)

是非之心人皆有之(시비지심,인개유지)

惻隱之心仁也(측은지심,인야)

羞惡之心義也(수오지심,의야)

恭敬之心禮也(공경지심,예야)

是非之心智也(시비지심,지야)

仁義禮智非由外鑠我也(인의예지,비유외삭아야)

我固有之也弗思耳矣(아고유지야,불사이의)

故曰 {求則得之舍則失之. } (고왈 구즉득지,사즉실지)

或相倍蓰而無算者(혹상배사이무산자)

不能盡其才者也(불능진기재자야)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사람이 다 가지고 있으며,

惡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을 사람이 다 가지고 있으며,

恭敬하는 마음을 사람이 다 가지고 있으며,

是非를 가리는 마음을 사람이 다 가지고 있으니,

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仁이오,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은 義요,

恭敬하는 마음은 禮요,

是非를 가리는 마음은 智이니,

仁義禮智가 밖으로부터 나에게 녹여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내가 본래 가지고 있는 것이지마는 생각하지 않을 뿐이니,

그러므로 '구하면 갖게 되고 버려두면 잃는다'라고 말이 있다.

같은 사람이면서도 선악의 차이가 2 배가 되고 5 배가 되어 비교할 수조차 없게 되는 것은

자기가 본래 타고난 바탕을 온전히 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詩曰 (시왈)

{天生蒸民, 有物有則. (천생증민,유물유즉)

  民之秉夷, 好是懿德. } (민지병이,호시의덕)

孔子曰 (공자왈)

 {爲此詩者, 其知道乎! (위차시자,기지도야)

   故有物必有則, (고유물필유즉)

   民之秉夷也, 故好是懿德. } ] (민지병이야,고호시의덕)

<詩經>에

<하늘이 묻 백성을 내시되, 내신 것마다 법칙이 있게 하셨다.

 백성들은 떳떳한 본성을 지녀서 모두 이 아름다운 덕을 좋아하게 된다>고 하였다.

孔子께서도

 '이 詩를 지은 이는 아마도 道理를 잘 아는 게로다.

  그러므로 事物에는 반드시 법칙이 있나니,

  백성은 떳떳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아름다운 德을 좋아한다'고 하셨다."

 

m.blog.naver.com/sohoja/220547499546

 

맹자 150 – 고자 상 6

맹자 150 – 고자 상 6公都子曰:「告子曰:『性無善無不善也。』或曰:『性可以爲善,可以爲不善;是...

blo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