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_천택리(天澤履)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 꼬리를 밟더라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履柔履剛也(리유리강야) : 리는 유가 강에 밟힘이니,

說而應乎乾(설이응호건) : 기쁨으로 건에 응하는지라.

是以履虎尾(시이리호미) : 이로써 호랑이 꼬리를 밟아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물지 않으니 형통함이라

剛中正(강중정) : 강건하고 중정함으로써

履帝位而不疚(리제위이불구) : 제위(帝位)를 밟아 평폐가 없으니

光明也(광명야) : 광명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上天下澤履(상천하택리) : 위는 하늘이고 아래는 못이 있는 리괘의 괘상이니

君子以辯上下(군자이변상하) : 군자가 이로써 위 아래를 분별하여

定民志(정민지) : 백성의 뜻을 정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素履往無咎(소리왕무구) : 본래대로 밟아 나아가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素履之往(소리지왕) : '소리지왕'은

獨行願也(독행원야) : 홀로 원하는 것을 행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履道坦坦(리도탄탄) : 밟는 도가 탄탄하니,

幽人貞吉(유인정길) : 유인이라야 바르고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幽人貞吉(유인정길) : '유인정길'은

中不自亂也(중불자란야) : 중을 얻어 스스로 어지럽지 않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眇能視(묘능시) : 소경이 능히 보며

跛能履(파능리) : 절름발이가 능히 잛는지라.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 꼬리를 밟아서

咥人凶(질인흉) : 사람을 무니 흉하고,

武人為于大君(무인위우대군) : 무인이 대군이 되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眇能視(묘능시) : '능시'는

不足以有明也(불족이유명야) : 족히 밝음이 있지 못함으로써요,

 

跛能履(파능리) : '파능리'는

不足以與行也(불족이여행야) : 족히 더불어 행하지 못함으로써요.

咥人之凶(질인지흉) : '질인지흉'은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요,

武人為于大君(무인위우대군) : '무인위우대군'은

志剛也(지강야) : 뜻이 강함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 꼬리를 밟음이니,

愬愬終吉(소소종길) : 조심하고 조심하면 마침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愬愬終吉(소소종길) : '소소종길'은

志行也(지행야) : 뜻이 행하여짐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夬履貞厲(쾌리정려) : 흔쾌히 밟음이니, 바르더라도 위태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夬履貞厲(쾌리정려) : '쾌리정려'는

位正當也(위정당야) : 위가 정당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視履考祥(시리고상) : 밟아온 것을 보아서 상서로운 것을 상고하되

其旋元吉(기선원길) : 그 시행을 두루 잘했으면 크게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元吉在上(원길재상) : 크게 길함이 위에 있음이

大有慶也(대유경야) : 큰 경사가 있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0천택리天澤履?category=343349 [빈막(賓幕)]

 

10_천택리(天澤履)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0_천택리(天澤履)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를 꼬리를 밟더라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리라 彖曰(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