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_산뢰이(山雷頤)

 

頤貞吉(이정길) : <이> 는 바르면 길하니,

觀頤自求口實(관이자구구실) : 기르며 스스로 입의 실상을 구하는 것을 본다.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頤貞吉(이정길) : '이정길'은

養正則吉也(양정칙길야) : 바른 것을 기르면 길하니

觀頤觀其所養也(관이관기소양야) : '관이'는 그 기르는 바를 보는 것이요,

自求口實(자구구실) : '자구구실'은

觀其自養也(관기자양야) : 그 스스로 기르는 것을 보는 것이라.


天地養萬物(천지양만물) : 천지가 만물을 기르며

聖人養賢(성인양현) : 성인이 어진 이를 길러서

以及萬民(이급만민) : 만민에게 미치니,

頤之時大矣哉(이지시대의재) : 기르는 때가 큼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下有雷頤(산하유뢰이) : 산 아래에 우뢰가 있는 것이 이괘의 상이니

君子以愼言語(군자이신언어) : 군자가 이로써 언어를 삼가하며

節飮食(절음식) : 음식을 절도있게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舍爾靈龜(사이영귀) : 너의 신령한 거북이를 버리고

觀我朶頤凶(사이영귀관아타이흉) : 나를 보고서 턱을 벌리니, 흉하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我朶頤(관아타이) : '관아타이'하니

亦不足貴也(역불족귀야) : 또한 족히 귀하지 못하도다.

 

 

六二(육이) : 육이는

顚頤拂經(전이불경) : 엎어진 턱이라 법도를 거스르니,

于丘頤征凶(우구이정흉) : 언덕에 기르려 해서 가면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二征凶(육이정흉) : '육이정흉'은

行失類也(행실류야) : 행함이 같은 무리를 잃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拂頤貞凶(불이정흉) : <이> 의 바름을 거스르치니 흉하다

十年勿用(십년물용) : 십년을 쓰지 말지니라

无攸利(무유리) : 이로울 바가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十年勿用(십년물용) : '십년물용'은

道大悖也(도대패야) : 도가 크게 패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顚頤吉(전이길) : 순서에 위배되나 길하니,

虎視耽耽(호시탐탐) : 호랑이가 탐탐히 보며

其欲逐逐无咎(기욕축축무구) : 그 하고자 함이 쫓고 쫓고자 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顚頤之吉(전이지길) : '전이지길'은

上施光也(상시광야) : 위에서 베풂이 빛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拂經居貞吉(불경거정길) : 법을 거스리나, 바른 데 거하면 길하려니와

不可涉大川(부가섭대천) : 큰 내를 건널 수는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居貞之吉(거정지길) : '거정지길'은

順以從上也(순이종상야) : 순함으로써 위를 좇음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由頤厲吉(유이려길) : 말미암음 이니, 위태롭게 여기면 길하니,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由頤厲吉(유이려길) : '유이려길'은

大有慶也(대유경야) : 큰 경사가 있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7산뢰이山雷頤?category=343349 [빈막(賓幕)]

 

27_산뢰이(山雷頤)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7_산뢰이(山雷頤) 頤貞吉(이정길) : <이> 는 바르면 길하니, 觀頤自求口實(관이자구구실) : 기르며 스스로 입의 실상을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