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_감위수(坎爲水)
習坎(습감) : 習坎은
有孚維心亨(유부유심형) : 믿음이 있어서 오직 마음이 형통하리니,
行有尙(행유상) : 행하면 숭상함이 있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習坎重險也(습감중험야) : 습감은 거듭 험한 것이니,
水流而不盈(수류이부영) : 물이 흘러서 차지(盈) 아니하며
行險而不失其信(행험이부실기신) : 험한데 행해도 그 믿음을 잃지 아니하니
維心亨乃以剛中也(유심형내이강중야) : '유심형'은 이에 <강>으로써 중정함이요
行有尙往有功也(행유상왕유공야) : '행유상'은 가서 공이 있음이라.
天險(천험) : 하늘의 험한 것은
不可升也(부가승야) : 가히 오르지 못함이요,
地險山川丘陵也(지험산천구릉야) : 땅의 험한 것은 산과 내와 구릉이니,
王公設險(왕공설험) : 왕공이 험한 것을 베풀어서
以守其國(이수기국) : 그 나라를 지키나니,
險之時用大矣哉(험지시용대의재) : <험>의 때와 씀이 크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水洊至習坎(수천지습감) : 물이 거듭 이르는 것이 습감괘의 괘상이니
君子以常德行(군자이상덕행) : 군자가 이로써 덕행을 떳떳하게 하며
習敎事(습교사) : 가르치는 일을 익히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習坎入于坎窞凶(습감입우감담흉) : 습감에 구덩이에 들어감이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習坎入坎(습감입감) : '습감입감'은
失道凶也(실도흉야) : 도를 잃음이라. 흉하니라.
九二(구이) : 구이는
坎有險(감유험) : <감>에 <험>함이 있으나
求小得(구소득) : 구하는 것을 조금 얻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求小得(구소득) : '구소득'은
未出中也(미출중야) : 가운데에서 나가지 않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來之坎坎(래지감감) : 오고 감에 구덩이와 구덩이며,
險且枕(험차침) : 험한데에 또 베개하여
入于坎窞(입우감담) : 구덩이에 들어감이니,
勿用(물용) : 쓰지 말지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來之坎坎(래지감감) : '래지감감'은
終无功也(종무공야) : 마침내 공이 없으리라.
六四(육사) : 육사는
樽酒簋貳用缶(준주궤이용부) : 동이술과 대그릇 둘을 질그릇에 쓰고,
納約自牖(납약자유) : 간략하게 드리되 바라지 창문으로부터 하면,
終无咎(종무구) : 마침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樽酒簋貳(준주궤이) : '준주궤이'는
剛柔際也(강유제야) : <강>과 <유>가 사귐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坎不盈(감부영) : <감>에 차지 아니하니,
祗旣平无咎(지기평무구) : 이미 평평한데 이르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坎不盈(감부영) : '감부영'은
中未大也(중미대야) : 가운데가 크지 않음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係用徽于叢棘(계용휘우총극) : 매는 데 노끈을 써서 가시덩쿨에 두어서
三歲不得凶(삼세불득흉) : 삼년이라도 얻지 못하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上六失道(상육실도) : '上六失道'은
凶三歲也(흉삼세야) : 그 흉함이 삼세리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9감위수坎爲水?category=343349 [빈막(賓幕)]
'중국고전 > 易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31. 택산함(澤山咸) (0) | 2021.02.08 |
---|---|
주역(周易) 30. 리위화(離爲火) (0) | 2021.02.08 |
주역(周易) 28.택풍대과(澤風大過) (0) | 2021.02.08 |
주역(周易) 27.산뢰이(山雷頤) (0) | 2021.02.08 |
26. 산천대축(山川大畜) (0) | 202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