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_택풍대과(澤風大過)

 

大過棟橈(대과동요) : <대과>는 기둥이 흔들리니,

利有攸往亨(이유유왕형) : 갈 바를 둠이 이로와서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大過大者過也(대과대자과야) : '大過'는 큰 것이 지나침이요,

棟橈本末弱也(동요본말약야) : '동요'는 본말이 약한 것이다.

剛過而中(강과이중) : 강한 것이 지나치되 중정하고,

巽而說行(손이열행) : 겸손하고 기쁨으로 행함이라.

利有攸往乃亨(이유유왕내형)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와서 이에 형통하니,

大過之時大矣哉(대과지시대의재) : 대과의 때가 크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滅木大過(택멸목대과) : 못이 나무를 없애는 것이 <대과>니,

君子以獨立不懼(군자이독립부구) : 군자가 홀로 서도 두려워 하지 않으며

遯世无悶(둔세무민) : 세상을 멀리해도 민망하게 여기지 않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藉用白茅无咎(자용백모무구) : 자리를 까는데 흰 띠풀을 쓰니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藉用白茅(자용백모) : '자용백모'는

柔在下也(유재하야) : 부드러운 것이 아래에 있음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枯楊生(고양생) : 마른 버들이 싹이 나며

老夫得其女妻(노부득기여처) : 늙은 지아비가 그 처를 얻으니,

无不利(무부리) : 이롭지 않음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老夫女妻(노부여처) : '노부여처'는

過以相與也(과이상여야) : 지나침으로써 함께 하느니라.

 

九三(구삼) : 구삼은

棟橈凶(동요흉) : 기둥이 흔들리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棟橈之凶(동요지흉) : '동요지흉'은

不可以有輔也(부가이유보야) : 가히 도움이 있지 않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棟隆吉(동륭길) : 기둥이 높아짐이니 길하거니와

有宅吝(유댁인) : 다른 것을 두면 인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棟隆之吉(동륭지길) : '동륭지길'은

不橈乎下也(부요호하야) : 아래에 흔들리지 아니함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枯楊生華(고양생화) : 마른 버들이 꽃이 나며

老婦得其士夫(노부득기사부) : 늙은 지어미가 그 젊은 남자를 얻으니,

无咎无譽(무구무예) : 허물은 없으나 기림도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枯楊生華(고양생화) : '고양생화'가

何可久也(하가구야) : 어찌 가히 오래갈 것이며,

老婦士夫(노부사부) : '노부사부'가

亦可醜也(역가추야) : 또한 추한 것이다.

 

上六(상육) : 상육은

過涉滅頂(과섭멸정) : 지나치게 건너다 이마를 멸함이라

凶无咎(흉무구) : 흉하니, 허물할 데가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過涉之凶(과섭지흉) : '과섭지흉'은

不可咎也(부가구야) : 허물할 수가 없느니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8택풍대과澤風大過?category=343349 [빈막(賓幕)]

 

28_택풍대과(澤風大過)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8_택풍대과(澤風大過) 大過棟橈(대과동요) : <대과>는 기둥이 흔들리니, 利有攸往亨(이유유왕형) : 갈 바를 둠이 이로와서 형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