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o.wikipedia.org/wiki/%EC%9D%BC%EC%B2%B4%EC%9C%A0%EC%8B%AC%EC%A1%B0

 

일체유심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화엄경〉의 핵심사상을 이루는 말로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라는 뜻이다. 유식(唯識)에서는 일수사견이라는 비유를 든

ko.wikipedia.org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화엄경〉의 핵심사상을 이루는 말로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라는 뜻이다. 

유식(唯識)에서는 일수사견이라는 비유를 든다.

우리는 행복과 불행은 상황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온다고 생각하는데 매우 큰 착각이다.

행복과 불행은 마음에서 지어내는 것. 그 누구도 날 행복하게 할 수 없고 불행하게도 할 수 없다.

 

 

www.youtube.com/watch?v=r1MuU7k-4u8

 

 

www.youtube.com/watch?v=SBSM64jM3hc

 

 

ko.wikipedia.org/wiki/%ED%95%9C%EC%95%94

 

한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54

 

한암 스님 [상] - 법보신문

방한암(方漢岩) 큰 스님은 조선조 말 1876년 강원도 화천에서 태어나 22세 때 우연히 금강산 구경길에 나섰다가 장안사(長安寺) 행름노사를 만나 삭발 출가하였다. 24세 때에 당대 최고의 선지식

www.beopbo.com

부엌에서 불 지피다 홀연히 눈 밝으니
이로부터 옛길이 인연따라 분명하네
만일 누가 달마스님이 서쪽에서 오신 뜻을 나에게 묻는다면
바위 밑 샘물소리 젖는 일 없다 하리.

(이 때 한암 스님의 세속 나이는 35세.)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9641

 

한암 스님 [중] - 법보신문

▲한암 스님 보조국사 ‘수심결’ 내용 중 “만약 마음 밖에 부처가 있고 자성 밖에 법이 있다는 생각을 굳게 집착하여 불도를 구하고자 한다면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소신연비의 고행을 하고

www.beopbo.com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9746

 

한암 스님 [하] - 법보신문

  ▲스님의 좌탈입망 모습.     한암 스님은 1929년 조선불교선교양종 승려대회에서 7인의 교정으로 추대된 이후 조계종 창종 때 초대 종정으로 추대되는 등 모두 네 차례에 걸...

www.beopbo.com

 

 

www.youtube.com/watch?v=Llprvoz5zWI

 

 

www.youtube.com/watch?v=OiMi07o_LW0

 

 

www.youtube.com/watch?v=aWe7exM-YHA

 

 

www.youtube.com/watch?v=NOOT5o1AKhc

 

 

www.youtube.com/watch?v=nFC8USDHHV8

 

 

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2429

 

시대를 초월한 성자 한암스님이 본 '불교의 미래는?' - BBS NEWS

< 앵커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지식으로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한암스님의 생애와 사상 등을 연구한 책이 출간됐습니다.국내 최다 박사학위를 소유한 자현스님이 쓴 은 탈종교 시대 한국

news.bbsi.co.kr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355

 

46. 일체유심조 - 법보신문

서울 인사동에는 행인들에게 가훈이 될 만한 글을 붓으로 써 무료로 나눠주는 분이 있다. 글 내용도 다양해서 성인이나 철인들의 말씀, 고사성어, 그밖에 삶의 귀감이 될 만한 내용들을 골라서

www.beopbo.com

 

 

화엄경 사구게에

心如工畵師

심여공화사, 마음은 그림을 그리는 화가와 같아서

能畵諸世間

능화제세간, 능히 세상사를 다 그려내며

五蘊實從生

오온실종생, 오온이 다 마음으로부터 나온 것이어서 

(無法而不造

무법이불조, 그 무엇도 만들어 내지 않은 것이 없다.

‘부처, 참나’는 개념(槪念)이 아니고, 이름(名)이나 모양(色)에 있는 것이 아니다.

말(言)이나 문자(文字)로 들어 낼수 없는 ‘텅빈충만, 공적영지(空寂靈智)’이다.

세상은 명색(名色)으로 존재(存在)하는 것이며,

‘나’라는 것도 이름과 모양일 뿐 실체(實體)가 없는 환(幻)이다.

마음이 있기 때문에 나와 세상이 있는 것이며, 망심(妄心)이 없다면 나와 세상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니다.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고통도 환일 뿐이다.

출처 : 현대불교신문(http://www.hyunbulnews.com)


 

www.youtube.com/watch?v=tgBh3ugqpLw

 

 

www.youtube.com/watch?v=RthFVHqxyoY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