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lkG_Ki70XI
www.youtube.com/watch?v=e_R3VkPn0sg
www.youtube.com/watch?v=vkM68L1KUyg
www.youtube.com/watch?v=tqxQv8fUv1o
www.youtube.com/watch?v=ijsEqPW8Bc4
ko.wikipedia.org/wiki/%EC%84%9C%EC%9C%A0%EA%B8%B0
서유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6세기 중국 목판본 서유기 《서유기》(西遊記)는 중국 명나라 시기의 장편소설이다. 전 100회로, 오승은(吳承恩, 1500-1582)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오승은은 회
ko.wikipedia.org
등장 인물[편집]
- 손오공
- 저팔계
- 사오정
- 금각대왕과 은각대왕(원래 화로를 지키는 동자였음)
- 백골부인
- 현장(삼장)
- 옥황상제
- 타용
- 용왕
- 서왕모
- 태상노군
- 탁탑천왕
- 나타태자
- 태백금성
- 이십팔수
- 이랑진군
- 수보리
- 수성
손오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손오공(孫悟空, Sun Wukong)은 중국의 4대 기서 가운데 하나인 《서유기》의 주인공인 원숭이로, 오공, 제천대성(齊天大聖, 하늘(제왕)과 같이 높은 성자(신선), 하
ko.wikipedia.org
저팔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저팔계(猪八戒, Zhu Bajie)는 중국의 4대 기서 가운데 하나인 《서유기》의 등장인물로, 본명은 저강렵(猪剛鬣), 법명은 저오능(猪悟能)이다. 팔계라는 이름은 삼
ko.wikipedia.org
사오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오정(沙悟淨, Sha Wujing)은 중국의 4대 기서 가운데 하나인 《서유기》의 등장인물로, 그 외모가 하천의 괴수 형태를 지니고 있었는데 손오공조차 사오정을 처
ko.wikipedia.org
현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당나라의 승려에 관한 것입니다. 표장의 일종에 대해서는 현장 (표장)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현장(玄奘, 602년 4월 6일 ~ 664년 3월 7일)은 당나라 초기
ko.wikipedia.org
옥황상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옥황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한 초기의 관료에 대해서는 숙황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옥황상제(玉皇上帝, 영어: Jade Emperor), 옥황(玉皇), 상제(上帝, 중세 한국어
ko.wikipedia.org
용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왕(龍王, 문화어: 룡왕) 또는 나가라자(산스크리트어: नागराज)는 힌두교와 불교의 민간전승에 전해지는 상상의 존재이다. 중국 사방의 바다를 지키는
ko.wikipedia.org
서왕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태상노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수부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수인 (중국 신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44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중국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잠(陶潛), 五柳先生傳(오류선생전) (0) | 2021.05.07 |
---|---|
도연명, 도화원기 & 귀거래사 / 은관장식한 묘족의 춤과 노래/ 마추픽추 (0) | 2021.05.06 |
周易 총정리 01-10괘/ 64괘& 周나라 (0) | 2021.02.09 |
서경(書經), 卷 11 - 17 (0) | 2021.01.09 |
서경(書經), 卷 1 - 10 (0) | 2021.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