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괘는 복사가 불가능하여 총정리를 겸하여 이 블로그 정리분을 소개하고, 德田님의 설명을 추가했다.
kydong77.tistory.com/20345?category=1002051
주역(周易) 01.건위천(乾爲天)
01_건위천(乾爲天) 元享利貞(건 원형리정) :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바르다. 初九(초구) : 潛龍勿用(초구잠룡물용) : 잠긴 용이니 쓰지 말아라. 九二(구이) : 見龍在田利見大人(현룡재전리견대인)
kydong77.tistory.com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이다. 따라서 여섯 효(爻)가 모두 양(陽)으로,
64괘 중 가장 강하고 튼튼한 괘다.
kydong77.tistory.com/20346?category=1002051
주역(周易) 02. 곤위지(坤爲地)
02_곤위지(坤爲地) 坤元亨(곤원형) : 곤은 원하고 형하고 利牝馬之貞(리빈마지정) : 이하고 암말의 정함이니, 君子有攸往(군자유유왕) : 군자가 갈바를 두느니라. 先迷(선미) : 먼저 하면 아득하
kydong77.tistory.com
(坤 땅 곤.)
모두 땅을 상징하는 곤괘가 겹쳐서 구성되어 있다. 여섯 효(爻)가 모두 음(陰)으로 만 물을 포용하고 양육하는 땅과 어머니를 상징한다.
속성은 ‘순응하다’. ‘지극하다’라는 뜻이다.
만물의 근본인 하늘과 아버지를 상징한다. 속성은 ‘위대하다’. ‘크게 통한다’. ‘굳쎄다’라는 뜻이다.
주역(周易) 03. 수뇌둔(水雷屯)
03_수뇌둔(水雷屯) 屯(둔) : 둔은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고 利貞(리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勿用有攸往(물용유유왕) : 써 가는 바를 두지 말고 利建侯(리건후) : 제후를 세움이 이로우니
kydong77.tistory.com
( 屯 - 진칠 둔.)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우레[雷]다. 둔(屯)은 ‘진치다’. ‘막히다’. ‘고민하다’라는 뜻이다.
비가 내리고 천둥이 진동하는 상이니, 새싹이 눈 속에서 봄을 기다리는 것과 같다.
주역(周易) 04. 산수몽(山水蒙)
04_산수몽(山水蒙) 蒙亨(몽형) : 몽은 형통하니 匪我求童蒙(비아구동몽) : 동몽을 구함이 아니라 童蒙求我(동몽구아) : 동몽이 나를 구함이니, 初筮告(초서고) : 처음 점치거든 알려주고 再三瀆(
kydong77.tistory.com
04 ( 蒙-어릴 몽)
위의 괘는 산[山]이고, 아래 괘는 물[水]이다. 몽(蒙)은 ‘어리다’. ‘어리석다’라는 뜻이다.
시작의 상(象)이며 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래서 교육과 연관된 몽(蒙)자를 괘의 이름으로 하였고, 계몽(啓蒙)이라는 말이 또한 여기서 나왔다.
주역(周易)05. 수천수(水天需)
05_수천수(水天需) 需有孚(수유부) : 수는 믿음이 있어서, 光亨貞吉(광형정길) : 빛나며 형통하고 바르게 하며 길하니, 利涉大川(리섭대천) :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
kydong77.tistory.com
05( 需-기다릴 수.)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수(需)는 ‘기다리다’. ‘기대하다’라는 뜻이다.
운무가 자욱한 상으로 물러서서 기다려야 할 때를 의미한다.
주역(周易) 06.천수송(天水訟)
06_천수송(天水訟) 訟有孚窒惕中吉終凶(송유부질척중길종흉) : 송은 믿음을 두나 막혀서 두려우니, 중은 길하고 마침은 흉하니 利見大人(리견대인) : 대인을 봄이 이롭고 不利涉大川(불리섭대
kydong77.tistory.com
06( 訟-소송할 송)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송(訟)은 ‘다툼’. ‘소송’. ‘재판’ 등을 뜻한다.
하늘 아래에 물이 넘치는 상이니 욕심이 지나쳐 마찰과 갈등이 생기고 대립 항쟁하는 형상으로, 괘 이름을 송(訟)으로 하였다.
주역(周易) 07. 지수사(地水師)
07_지수사(地水師) 師貞(사정) : 사는 바르게 함이니, 丈人吉無咎(장인길무구) : 장인이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師眾也(사중야) : 사는 무리를 말함이요 貞正也(
kydong77.tistory.com
07( 師-장수 사.)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사(師)는 ‘선생’. ‘군대’. ‘거느리다’라는 뜻이다.
땅 밑으로 물이 모이는 상이니 여러 사람이 모인 집단을 상징하므로, 통솔한다는 의미에서 사(師)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주역(周易) 08.수지비(水地比)
08_수지비(水地比) 比吉(비길) : 비는 길하니 原筮(원서) : 처음 점을 하되 元永貞無咎(원영정무구) : 크고 장구하고 정도들 얻게 될 때허물이 없으리라. 不寧方來(불녕방래) : 편하지 못하여야
kydong77.tistory.com
( 比-도울 비.)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비(比)는 ‘견주다’. ‘비교하다’. ‘인화(人和)’를 뜻한다.
물은 낮은 곳으로 모여 내를 이루고 힘을 합친다. 뜻을 같이하는 사람끼리 집단을 이루어 서로 돕고 협력하므로, 비(比)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주역(周易) 09. 풍천소축(風天小畜)
09_풍천소축(風天小畜) 小畜亨(소축형) : 소축은 형통하니 密雲不雨(밀운불우) : 빽빽한 구름에 비가 오지 않은 것은 自我西郊(자아서교) : 우리 서쪽 교외에 머물러있다. 彖曰(단왈) : 단에 가
kydong77.tistory.com
( 小畜-적을 소. 싸을 축)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축(畜)은 ‘기르다’. ‘저축하다’라는 뜻이다. 하늘 위에서 바람이 부는 모습이니, 비가 내리기 전의 상황을 상징한다.
비가 오면 생명체는 그 비를 저장한다. 까닭에 저축한다는 의미로 축(畜)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54?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0. 천택리(天澤履)
10_천택리(天澤履)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를 꼬리를 밟더라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履柔履剛也(리유리강야) : 리는 유가 강에 밟힘
kydong77.tistory.com
( 履-밟을 이.)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이(履)는 ‘밟는다’. ‘따른다’. ‘예절’이라는 뜻이다. 하늘 아래 저수지가 있으니, 지나침과 부족함이 없이 풍요로워 예절을 나타낸다.
의식(衣食)이 풍족해야 예절을 안다는 말에서 이(履)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추가]풀이-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namu.wiki/w/%EC%A3%BC%EB%82%98%EB%9D%BC
주나라 - 나무위키
연대는 모두 기원전. 단 21세기의 중국을 제외한 대다수 근현대의 학자들은 기원전 841년 이전의 연대 기록을 믿을 수 없다고 보고 있으며, 기원전 841년 이전의 왕들의 재위기간을 명시하는 경우
namu.wiki
2.1. 선진시대의 주나라
2.1.1. 개요2.1.2. 서주: 등장과 통치의 기틀2.1.3. 동주
2.1.4. 주나라의 유산2.1.5. 역대 군주2.1.6. 계보
2.2.1. 역대 군주
2.5. 후주(後周)2.6. 장주(張周)2.7. 오주(吳周)
3. 邾
4. 州
'중국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연명, 도화원기 & 귀거래사 / 은관장식한 묘족의 춤과 노래/ 마추픽추 (0) | 2021.05.06 |
---|---|
[중드] 서유기 6 - 10회 (0) | 2021.02.20 |
서경(書經), 卷 11 - 17 (0) | 2021.01.09 |
서경(書經), 卷 1 - 10 (0) | 2021.01.09 |
제자백가(諸子百家), 구류십가(九流十家)/ 춘추전국시대 (0) | 202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