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3bJF0Drv30g
https://www.youtube.com/watch?v=8sKA9nGKN9o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805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https://www.youtube.com/watch?v=dUuF6-0_jYE
https://www.youtube.com/watch?v=qguv-fRF3Os
https://www.youtube.com/watch?v=sz6ilz8Uy_U&t=247s
https://www.youtube.com/watch?v=XVuX28oe4to
https://www.youtube.com/watch?v=V_xYeDoXP_s
https://kydong77.tistory.com/20805
https://www.youtube.com/watch?v=iNyplH5GrJc&t=92s
옥천 육영수 생가 (沃川 陸英修 生家)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301230000&pageNo=1_1_1_1
고(故) 박정희 대통령의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1925년 11월 29일에 태어난 장소이다.
현재 건물은 없지만 1600년대 김정승 이후 송정승 및 민정승이 거주하여 삼정승의 집이라 불리던 가옥을 육영수 여사의 부친인 육종관씨가 민정승의 자손 민대감에게서 1920년 매입하였다고 한다.
6,047㎡의 대지 위에 1970년 초에 개축된 관리사·사당 등만 남아 있으며, 주변은 울창한 산림이 형성되어 있고 본채·사랑채·별당 등 10여동의 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 터만 남아 있으며 주변은 연못과 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의 배치는 대문을 들어서면 넓직한 사랑채 터가 있고 그 뒤에 안채 터가 있으며, 청기와 지붕의 사당과 별당 터가 있다. 그리고 주위에는 관리인과 고용인들이 기거하던 부속건물이 있으며 사랑채 터 동쪽에는 연못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A1%EC%98%81%EC%88%98
1938년 옥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배화고등여학교에 입학하였다. 배화고등여학교를 졸업한 후, 1945년 21세 때 옥천공립여자전수학교에 부임, 가사 과목 교사로 1년 3개월간 재직했다.[3]
1969년 4월 어린이 복지재단인 육영재단을 설립하였으며 어린이날에 맞춰 어린이대공원, 어린이회관의 건립을 주도하였다.[6] 1972년에는 부산 어린이회관을 기공하였다. 육영수는 직접 소년소녀 잡지 ‘어깨동무’를 발간하여 농어촌 어린이에게까지 배포하고, 1973년 불우 청소년과 빈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 기관 정수직업훈련원을 설치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fIqGOtwF6wM
2010.08.17 입력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0081711102151716
입력 2011-05-04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10504/36917997/1?=
https://ko.wikipedia.org/wiki/%EC%9C%A1%EC%A2%85%EA%B4%80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출생일 사망일 활동사항
할아버지 | 육병두 | 1811년 | 1849년 | |
아버지 | 육용필 | 1838년 | ||
큰형 | 육종윤 | 1863년 | 갑신정변에 참여, 일본으로 망명 | |
둘째형 | 육종면 | 선장, 변호사 | ||
셋째형 | 일찍 죽음 | |||
아내 | 이경령(李慶齡) | 1896년 1월 25일 | 1976년 3월 25일 | |
딸 | 육인순(陸寅順) | 1914년 | 1972년 10월 30일 | 서울특별시 시립부녀사업관 관장 |
아들 | 육인수(陸寅修) | 1919년 12월 3일 | 2001년 6월 25일 | 제6·7·8·9·10대 국회의원 5선 |
딸 | 육영수(陸英修) | 1925년 11월 29일 | 1974년 8월 15일 | 제5·6·7·8·9대 대통령 박정희의 아내 |
딸 | 육예수(陸禮修) | 1929년 5월 | 조태호(趙泰浩)와 결혼 | |
삼촌 | 육용정(陸用鼎) | 1843년 | 1917년 | 조선 말기의 작가, 소설가, 철학자 |
외손녀 | 박근혜(朴槿惠) | 1952년 2월 2일 | 제18대 대통령 | |
외손녀 | 박근령(朴槿姈) | 1954년 6월 30일 | ||
외손자 | 박지만(朴志晩) | 1958년 12월 15일 | 변호사 서향희와 결혼 |
https://www.youtube.com/watch?v=t75nSrs_4mo
https://kydong77.tistory.com/20805
https://www.youtube.com/watch?v=yWZOTE_6U74
[10.26 사건] 김재규의 총구
https://www.youtube.com/watch?v=iZPYgvoJndY
두 분의 가계를 보면 극단적 빈부의 전형적 차이를 보이나 두분은 이를 극복하고 조화를 이뤄 한분은 한국의 초고속 근대화를 달성하고, 한분은 내조의 여왕으로 미담제조기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공교롭게도 두분 모두 총구에 희생된 점도 동일하다.
10.26사건의 경우, 박대통령의 궁극적 사인은 우직한 차지철과 비상한 두뇌를 지닌 김재규를 중용하여 자신을 보좌케 한 데서 찾을 수 있다. 차지철을 중용하여 자신을 지키케 한 게 사건의 발단인데, 그를 추천한 분은 육영수 여사라고 전한다. 충성도의 측면에서 우직한 그는 배신할 리가 없는 사람이라는 게 그 이유였다.
차지철에게 전권을 부여하여 대통령 버금가는 권력을 행사케 한 것은 박대통령의 치명적 실수였다. 경호실장은 무소불위의 권세를 누리며 상관인 정보부장 위에 군림했다. 김재규의 분노가 폭발한 것은 세상에 알려진 궁정동 사건 현장에서 적나라하게 실증된다.
미담의 여왕 육여사가 우직한 차지철을 중용케 한 것은 결과적으로 일생일대의 실수였다. 그의 충성도만 보고 시비에 대한 판단력이 부족한 점을 간과했던 것이다. 김신조 사건에도 무사했던 박대통령이 그의 월권을 방치한 것도 결과적으로 자신의 죽음을 초래했다.
https://kydong77.tistory.com/10225
5·16 혁명공약
저자: 국가재건최고회의
- 반공(反共)을 국시의 제일의(第一義)로 삼고 지금까지 형식적이고 구호에만 그친 반공태세를 재정비 강화한다.
- 유엔헌장을 준수하고 국제협력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며 미국을 위시한 자유 우방과의 유대를 더욱 공고히 한다.
- 이 나라 사회의 모든 부패와 구악을 일소하고 퇴폐한 국민도의와 민족정기를 바로잡기 위해 청신한 기풍을 진작시킨다.
- 절망과 기아선상에서 허덕이는 민생고를 시급히 해결하고 국가 자주경제재건에 총력을 경주한다.
- 민족의 숙원인 국토통일을 위해 공산주의와 대결할 수 있는 실력배양에 전력을 집중한다.
- 이와 같은 우리의 과업이 성취되면 참신하고도 양심적인 정치인들에게 언제든지 정권을 이양하고 우리들은 본연의 임무에 복귀할 준비를 갖춘다.
국가재건최고회의
https://kydong77.tistory.com/20805
https://www.youtube.com/watch?v=5TuUWfqwOD0&t=85s
https://www.youtube.com/watch?v=1jIFZH85Mz8
https://www.youtube.com/watch?v=JWBof_cG1fE
를 클릭하면 위 동영상 보기가 가능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WIdO2K29vg
https://kydong77.tistory.com/20805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백리 박수량의 백비(白碑)vs전두환기념비 치욕/ 김소월, 진달래꽃 (0) | 2021.10.23 |
---|---|
70년대 신상옥·최은희 부부 납북과 탈북스토리/ 지리교사 고상문, 북한중앙tv 등장 (0) | 2021.09.05 |
DMZ 월북한 미군 찰스 로버트 젠킨스의 일생/ 이용복, 어머니 왜 나를 낳으셨나요 (0) | 2021.08.08 |
남산 안중근기념관공원 (0) | 2021.04.15 |
최치원의 시무십조(時務十條)/ 최승로, 시무 28조/ 조은산, 時務七條 (0) | 2009.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