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o.wikipedia.org/wiki/%EA%B3%B5%EC%9E%90

 

공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자(중국어: 孔子, 병음: Kǒngzǐ 쿵쯔[*]) 또는 공부자(중국어: 孔夫子, 병음: Kǒngfūzǐ 쿵푸쯔[*], 라틴어: Confucius [kənfjú:ʃəs] 콘푸키우스[*], 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

ko.wikipedia.org

출생 기원전 551년 9월 28일
       중국 노나라 곡부 창평향(昌平鄕) 추읍(郰邑)

사망  기원전 479년 4월 11일 (향년 71세)
        중국 노나라 곡부

시대  춘추 시대

지역  동양 철학

학파  유학

공자(중국어: 孔子, 병음: Kǒngzǐ 쿵쯔[*]) 또는 공부자(중국어: 孔夫子, 병음: Kǒngfūzǐ 쿵푸쯔[*], 라틴어: Confucius [kənfjú:ʃəs] 콘푸키우스[*], 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 · 사상가 · 교육자이고[1]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기도 하였다. 흔히 유교의 시조로 알려져 있으나, 어떤 관점에서 보더라도 유가의 성격이나 철학이 일반적인 종교들과 유사히 취급될 수 없다는 점에서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이처럼 호칭하는 학자는 거의 없다. 유가 사상과 법가 사상의 공동 선조였다.

정치적으로는 요순우 삼황 오제의 이상적 정치와 조카를 왕으로서 성실하게 보필한 주공 단의 정치 철학을 지향했다. 뜻을 펴려고 전국을 주유하였으나, 그의 논설에 귀를 기울이는 왕이 없어 말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다 생을 마쳤다. 춘추시대에 서주의 제후국인 노나라의 무관인 숙량흘의 둘째 아들이자, 서자로 태어났었다.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이다.

"공자(孔子)"의 호칭에서 "(子)"는 성인을 부르는 존칭이다.[1] 그 뒤 여러 번 추증되어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에 추봉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A%B5%90

 

유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로, 동아시아 특유의 종교 및 철학 체계이다. 시조 공자의 이름을 따서 공교(孔敎

ko.wikipedia.org

 

https://www.youtube.com/watch?v=At0rmskPl-U&t=336s 

 

 

https://www.youtube.com/watch?v=9JUeCD-5sTo&t=136s 

 

 

https://www.youtube.com/watch?v=zPmSQOkEoTQ&t=50s 

 

 

https://www.youtube.com/watch?v=-SoPgbWUvQE&t=51s 

 

 

 

https://www.youtube.com/watch?v=WMxpm_nxeEw 

 

 

https://brunch.co.kr/@no1hsk/56

 

공자가 전해주는 인생 명언 10선

동양의 철학자 중 가장 신망이 두텁고 유명한 철학자인 공자(孔子) 공자가 세상에 남긴 말과 어록들은 지금까지 잊혀지지 않고 사람들에게 많은 가르침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옛 성현들의 좋

brunch.co.kr

 

 

https://www.youtube.com/watch?v=k1phh9iCnHo 

 

 

https://www.youtube.com/watch?v=Kj_QHT1CW2k&list=PL-quvlmdUqBbamFQc6YVib27UdYw-eIfh 

동영상 속의 YouTube에서 보기를 클릭하면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도 동일함.

육예(六藝)는 《주례(周禮)》에서 이르는 여섯 가지 기예를 가리키는 말이다.

6예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이며, 이는 각각 예학(예법), 악학(음악), 궁시(활쏘기), 마술(말타기 또는 마차몰기), 서예(붓글씨), 산학(수학)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A1%EC%98%88

 

육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예(六藝)는 《주례(周禮)》에서 이르는 여섯 가지 기예를 가리키는 말이다. 6예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이며, 이는 각각 예학(예법), 악학(음악), 궁시(활쏘기), 마술(말타

ko.wikipedia.org

 

https://www.youtube.com/watch?v=hX2nrgzVqS8 

 

 

https://www.youtube.com/watch?v=ZY4KhdmSK-M 

 

 

https://www.youtube.com/watch?v=xFhzsRik9LA 

 

 

https://www.youtube.com/watch?v=gD1r4gmyb4s 

 

 

https://www.youtube.com/watch?v=hwJNMGamvXE 

 

 

https://www.youtube.com/watch?v=458wQx-sCgA 

 

 

 

https://ko.wikipedia.org/wiki/%EC%8B%AD%EC%9D%B5

 

십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십익(十翼)은 중국의 공자가 지었다고 전하는, 역(易)의 뜻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상하(上下) 편(篇)의 단전(彖傳), 상하의 상전(象傳), 상하의 계사전(繫辭傳), 문언전(文言傳), 서괘전(序卦

ko.wikipedia.org

 

십익(十翼)은 중국의 공자가 지었다고 전하는, 역(易)의 뜻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상하(上下) 편(篇)의 단전(彖傳), 상하의 상전(象傳), 상하의 계사전(繫辭傳), 문언전(文言傳), 서괘전(序卦傳), 설괘전(說卦傳), 잡괘전(雜卦傳)의 10편(十篇)으로 이루어져 있다.[1] 역경 64괘가 상경(上經) 30괘 및 하경(下經) 34괘로 나뉘어 있어[2] 십익도 따라서 상하 편으로 나뉜다. 이러한 십익은 때로는 단전(彖傳), 대상(大象)과 소상(小象)의 상전,문언전(文言傳), 계사전(繫辭傳)상하, 설괘전(說卦傳), 서괘전(序卦傳)상하[3], 잡괘전(雜卦傳)의 10편(十篇)등의 조합일수도 있다.

주역이라 불리는 역경의 주석 및 해설서이다.

 

공자십익(孔子十翼), 건곤 文言傳 해석

https://www.youtube.com/watch?v=WMxpm_nxeEw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994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