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1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1장 子貢이 曰我不欲人之加諸我也를 吾亦欲無加諸人하노이다 子ㅣ 曰賜也아 非爾所及也ㅣ니라 자공이 가로대 내가 남이 나에게 더하고자 아니한 것을 내가 또한 남에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2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2장 子貢이 曰夫子之文章은 可得而聞也ㅣ어니와 夫子之言性與天道는 不可得而聞也ㅣ니라 자공이 가로대 부자의 문장은 가히 얻어 들었거니와 부자의 성과 다못 천도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3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3장 子路는 有聞이오 未之能行하야서 唯恐有聞하더라 자로는 들림(소문)이 있고, 능히 행하지 못하여서 오직 들림(소문)이 있을까 두려워하더라. [본문 해설] 자로는 공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4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4장 子貢이 問曰孔文子를 何以謂之文也ㅣ잇고 子ㅣ 曰敏而好學하며 不恥下問이라 是以謂之文也ㅣ니라 자공이 물어 가로대 공문자를 어찌 써 문이라 이르니잇고? 공자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5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5장 子ㅣ 謂子産하사대 有君子之道ㅣ 四焉이니 其行己也ㅣ 恭하며 其事上也ㅣ 敬하며 其養民也ㅣ 惠하며 其使民也ㅣ 義니라 공자, 자산을 이르사대 군자의 도가 넷이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6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6장 子ㅣ 曰晏平仲은 善與人交ㅣ로다 久而敬之온여 공자 가라사대 안평중은 사람과 더불어 사귐을 잘 하도다. 오랠수록 공경하온저! 晏平仲은 齊大夫니 名은 嬰이라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7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7장 子ㅣ 曰臧文仲이 居蔡호대 山節藻棁하니 何如其知也ㅣ리오 공자 가라사대 장문중이 거북이를 보관호대 두공(枓栱, 栱包)에 산을 그리고, 대공(臺工, 동자대공)에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8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8장 子張이 問曰令尹子文이 三仕爲令尹호대 無喜色하며 三已之호대 無慍色하야 舊令尹之政을 必以告新令尹하니 何如하니잇고 子ㅣ 曰忠矣니라 曰仁矣乎ㅣ잇가 曰未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9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9장 季文子ㅣ 三思而後에 行하더니 子ㅣ 聞之하시고 曰再ㅣ 斯可矣ㅣ니라 계문자가 세 번 생각한 후에 행하더니 공자 들으시고 가라사대 두 번이 이 가하니라. 季文子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0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0장 子ㅣ 曰寗武子ㅣ 邦有道則知하고 邦無道則愚하니 其知는 可及也ㅣ어니와 其愚는 不可及也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영무자가 나라가 도가 있으면 지혜롭고 나라가 도
yeometgol.tistory.com
'중국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교, 仁義禮智& 김용옥, <논어> 이야기/ 공자십익 (孔子十翼) (0) | 2021.10.02 |
---|---|
論語, 제5편 공야장편(公冶長篇). 21-25/ 25장 (0) | 2021.01.05 |
論語, 제5편 공야장편(公冶長篇). 1-10/ 25장 (0) | 2021.01.05 |
論語 제4편, 이인편(里仁篇) 제1-5장 (0) | 2021.01.05 |
論語 제3편 팔일(八佾篇) 21-26장/ 26장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