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1장
이인편(里仁篇) 제01장 이인편 제1장 ~ 제5장 해설 論語集註卷之四 里仁第四 凡二十六章 <제1장> 子ㅣ 曰里仁이 爲美하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공자 가라사대 마을의 어짊이 아름다우니, (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2장
이인편(里仁篇) 제02장 子ㅣ 曰不仁者는 不可以久處約이며 不可以長處樂이니 仁者는 安仁하고 知者는 利仁이니라 공자 가라사대 어질지 못한 자는 가히 써 궁한데 오래 처하지 못하며, 가히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3장
이인편(里仁篇) 제03장 子ㅣ 曰惟仁者ㅣ아 能好人하며 能惡人이니라 공자 가라사대 오직 어진 자라야 능히 사람을 좋아하며 능히 사람을 미워하느니라. [본문 해설] 대학착간고정 전문 제10장-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4장
이인편(里仁篇) 제04장 子ㅣ 曰苟志於仁矣면 無惡也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진실로 인에 뜻을 둔다면 악함이 없느니라. 苟는 誠也ㅣ라 志者는 心之所之也ㅣ라 其心이 誠在於仁이면 則必無爲惡之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5장
이인편(里仁篇) 제05장 子ㅣ 曰富與貴ㅣ 是人之所欲也ㅣ나 不以其道로 得之어든 不處也하며 貧與賤이 是人之所惡也ㅣ나 不以其道로 得之라도 不去也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부와 다못 귀가
yeometgol.tistory.com
'중국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제5편 공야장편(公冶長篇). 11-20/ 25장 (0) | 2021.01.05 |
---|---|
論語, 제5편 공야장편(公冶長篇). 1-10/ 25장 (0) | 2021.01.05 |
論語 제3편 팔일(八佾篇) 21-26장/ 26장 (0) | 2021.01.05 |
論語, 제3편 팔일편(八佾篇) 11-20장/ 26장 (0) | 2021.01.05 |
論語, 제3편 팔일편(八佾篇) 1-10장, 26장/ 禮樂之事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