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集註卷之三
八佾第三
凡二十六章通前篇末二章皆論禮樂之事
무릇 26장이니 전편의 끝 두 장을 통합하여 다 예악의 일을 논함이라.
출처: https://yeometgol.tistory.com/entry/논어論語-팔일편八佾篇-제01장?category=264986 [Yeometgol (HwaLove)]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1장
팔일편(八佾篇) 제21장 哀公이 問社於宰我하신대 宰我ㅣ 對曰夏后氏는 以松이오 殷人은 以栢이오 周人은 以栗이니 曰使民戰栗이니이다 애공이 사직(신주)을 재아에게 물으신대 재아가 대답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2장
팔일편(八佾篇) 제22장 子ㅣ 曰管仲之器ㅣ 小哉라 공자 가라사대 관중의 그릇이 작도다. 管仲은 齊大夫이니 名은 夷吾요 相桓公覇諸侯라 器小는 言其不知聖賢大學之道라 故로 局量이 褊淺하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3장
팔일편(八佾篇) 제23장 子ㅣ 語魯大師樂曰樂은 其可知也ㅣ니 始作에 翕如也하야 從之에 純如也하며 皦如也하며 繹如也하야 以成이니라 공자 노나라 태사에게 악을 말하여 가라사대 악(풍류,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4장
팔일편(八佾篇) 제24장 儀封人이 請見曰君子至於斯也에 吾未嘗不得見也ㅣ로라 從者ㅣ 見之한대 出曰二三子는 何患於喪乎ㅣ리오 天下之無道也ㅣ 久矣라 天將以夫子로 爲木鐸이시리라 의라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5장
팔일편(八佾篇) 제25장 子ㅣ 謂韶하사대 盡美矣오 又盡善也ㅣ라 하시고 謂武하사대 盡美矣오 未盡善也ㅣ라 하시다 공자가 소(순임금의 음악)를 이르사대 아름다움을 다하고, 또한 선을 다했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6장
팔일편(八佾篇) 제26장 子ㅣ 曰居上不寬하며 爲禮不敬하며 臨喪不哀면 吾何以觀之哉리오 공자 가라사대 위에 거함에 너그럽지 아니하며, 예를 함에 공경하지 아니하며, 상을 임해서 슬퍼하지
yeometgol.tistory.com
'중국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제4편, 이인편(里仁篇) 제1-5장 (0) | 2021.01.05 |
---|---|
論語 제3편 팔일(八佾篇) 21-26장/ 26장 (0) | 2021.01.05 |
論語, 제3편 팔일편(八佾篇) 1-10장, 26장/ 禮樂之事 (0) | 2021.01.05 |
論語, 제2편 위정편(爲政篇) 11- 24장/24장 (0) | 2021.01.05 |
論語, 제2편 위정편(爲政篇) 1- 10장 / 24장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