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1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1장 子ㅣ 在陳하사 曰歸與歸與인저 吾黨之小子ㅣ 狂簡하야 斐然成章이오 不知所以裁之로다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시사 가라사대 돌아갈진저, 돌아갈진저! 나를 따르는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2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2장 子ㅣ 曰伯夷叔齊는 不念舊惡이라 怨是用希니라 공자 가라사대 백이와 숙제는 옛 악함을 생각지 않느니라. 원망이 이로써 드무니라. 伯夷, 叔齊는 孤竹君之二子라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3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3장 子ㅣ 曰孰謂微生高直고 或이 乞醯焉이어늘 乞諸其鄰而與之온여 공자 가라사대 누가 미생고를 곧다 이르는고? 혹이 초를 빌리거늘 저 그 이웃에 얻어다가 주는곤여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4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4장 子ㅣ 曰巧言令色足恭을 左丘明이 恥之러니 丘亦恥之하노라 匿怨而友其人을 左丘明이 恥之러니 丘亦恥之하노라 공자 가라사대 교언영색(그럴듯한 말과 겉으로 착
yeometgol.tistory.com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5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5장 顔淵季路ㅣ 侍러니 子ㅣ 曰盍各言爾志리오 안연과 계로가 모시더니 공자 가라사대 어찌 각각 너희들의 뜻을 말하지 아니하리오. 盍은 何不也ㅣ라 합은 ‘어찌 아니
yeometgol.tistory.com
'중국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용옥, 논어특강 (0) | 2021.12.30 |
---|---|
유교, 仁義禮智& 김용옥, <논어> 이야기/ 공자십익 (孔子十翼) (0) | 2021.10.02 |
論語, 제5편 공야장편(公冶長篇). 11-20/ 25장 (0) | 2021.01.05 |
論語, 제5편 공야장편(公冶長篇). 1-10/ 25장 (0) | 2021.01.05 |
論語 제4편, 이인편(里仁篇) 제1-5장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