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PZ0mhbZ6Q6U 

 

*서정주(徐廷柱, 1915년 5월 18일 ~ 2000년 12월 24일)

푸르른 날
ㅡ 서정주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저기 저기 저, 가을 꽃 자리
초록이 지쳐 단풍 드는데

눈이 나리면 어이 하리야
봄이 또 오면 어이 하리야

내가 죽고서 네가 산다면!
네가 죽고서 내가 산다면?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출처 : 법보신문(http://www.beopbo.com)

 

 

자화상

ㅡ서정주

애비는 종이었다.[1] 밤이 깊어도 오지 않았다.[2]
파뿌리 같이 늙은 할머니와 대추꽃이 한 주 서 있을 뿐이었다.
어매는 달을 두고[3] 풋살구가 꼭 하나만 먹고 싶다 하였으나......
흙으로 바람벽 한 호롱불 밑에
손톱이 까만 에미의 아들[4]
갑오년[5]이라든가 바다에 나가서는 돌아오지 않는다하는 외할아버지의 숱 많은 머리털과 그 크다란 눈이 나는 닮았다 한다.

스믈 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바람[6]이다.
세상은 가도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 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진 않을란다

찬란히 티워 오는 어느 아침[7]에도
이마 위에 얹힌 시(詩)의 이슬[8]에는
몇 방울의 피[9]가 언제나 섞여 있어
볕이거나 그늘이거나 혓바닥 늘어뜨린
병든 수캐[10]마냥 헐떡거리며 나는 왔다.

[주석]

[1] 아버지의 신분이 미천했음을 고백하고 있다. 실제로 서정주의 아버지는 마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마름은 현재로 보면 최소한 중간 관리직 이상이기 때문에 비천한 신분인 종과는 거리가 있다

[2] 아버지의 부재, 죽음을 암시한다고 해석되기도 한다.

[3] 어머니가 서정주 자신을 임신했을 때를 의미한다.

[4] 자신을 3인칭 객관화하고 있다. 아들은 화자인 를 의미.

[5] 갑오개혁을 생각하겠지만 여기에서는 동학농민운동을 의미한다.

[6] 고난, 시련, 역경을 상징하는 단어. 윤동주 시의 '바람'과 유사한 의미라고 볼 수 있다.

[7] 미래에 대한 낙관, 희망을 의미한다.

[8] 화자가 바라는 것

[9] 희생, 고통, 고난을 상징

[10] 생명력을 상징한다.

 

https://okkaygo.tistory.com/entry/%EC%84%9C%EC%A0%95%EC%A3%BC-%EC%8B%9C-%EB%AA%A8%EC%9D%8C

 

서정주 시 모음

서정주 - 대한민국의 시인 - 호는 미당(未堂) - 화사집을 냈을 무렵 궁발(窮髮)이라는 호도 사용 - 탁월한 언어 감각과 전통 소재의 활발한 활용으로 대한민국 문학계(특히 현대시)의 역사에서 빼

okkaygo.tistory.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543

 

서정주(徐廷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4631

 

화사집(花蛇集)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화사(花蛇)

ㅡ서정주

사향 박하의 뒤안길이다.
아름다운 배암…….
얼마나 커다란 슬픔으로 태어났기에
저리도 징그러운 몸뚱아리냐.

꽃대님 같다.
너의 할아버지가 이브를 꼬여 내던
달변의 혓바닥이
소리 잃은 채 날름거리는 붉은 아가리로
푸른 하늘이다. ……물어뜯거라, 원통히 물어뜯어,

달아나거라 저놈의 대가리 !

돌팔매를 쏘면서, 쏘면서, 사향 방초ㅅ길
저놈의 뒤를 따르는 것은
우리 할아버지의 아내가 이브라서
그러는 게 아니라
석유 먹은 듯...... 석유 먹은 듯...... 가쁜 숨결이야.

바늘에 꼬여 두를까부다. 꽃대님 보다도 아름다운 빛……
클레오파트라의 피 먹은 양 붉게 타오르는
고운 입술이다…… 스며라, 배암 !

우리 순네는 스물난 색시, 고양이 같이 고운
입술…… 스며라, 배암 !

 

시집

  • 《화사집》, (1941)
  • 《귀촉도》, (1946)
  • 《시선》, (1955)
  • 《신라초》, (1960)
  • 《동천》, (1968)
  • 《질마재 신화》, (1975)
  • 《늙은 떠돌이의 시》, (1993)
  • 번역 시집 《만해한용운한시선역》, (예지각, 1983) : 한룡운의 한시를 가려 뽑아 번역한 시집
  • 미당 서정주 시전집, 민음사, 1983. 715쪽

 

 

 

https://www.youtube.com/watch?v=XjyBObV9sXA 

 

 

https://www.youtube.com/watch?v=LVmCWJxTBQA 

 

 

 

 

 

 

https://www.youtube.com/watch?v=6V56aKAbg38&t=26s 

 

 

 

 

 

https://www.youtube.com/watch?v=KLD9i8h57Gw 

 

 

 

 

https://www.youtube.com/watch?v=aE2Q3XkV4m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