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001則 달마대사와 양무제  ~ 제100 파릉화상의 취모검

 

 

https://www.youtube.com/watch?v=LbUYom54Zvk 

 

 

 

https://www.youtube.com/watch?v=4A5ko47PQv4 

 

 

http://kr.buddhism.org/?s=%EB%B2%BD%EC%95%94%EB%A1%9D 

 

“벽암록”에 대한 검색 결과 – 디지털 불교

벽암록 51칙 설봉화상과 두 스님 “깨달음은 같아도 교화하는 방법은 다르다” {벽암록}제51칙은 설봉의존화상을 참문한 두 스님의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擧. 雪峰住庵時, 有兩僧來禮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83&pageid=1 

 

벽암록 원문

碧巖錄 [第001則]不識 〈垂示〉垂示云。隔山見煙。早知是火。隔牆見角。便知是牛。擧一明三。目機銖兩。是衲僧家尋常茶飯。至於截斷衆流。東湧西沒。逆順縱橫。與奪自在。正當恁麽時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81&pageid=1 

 

벽암록(碧巖錄) 해제

해제 선문에서는 옛 조사들이 남긴 언행 중에서 후세에 귀감이 될 만한 것을 고칙(古則)이라 한다. 설두중현(雪竇重顯:980-1052)스님이 명주(明州:지금의 浙江省 奉化縣)에 있는 설두산의 자성사(

kr.buddhism.org

사천성 출신인 설두스님은
설봉 - 운문 - 향림 - 지문 - 설두로 이어지는 운문계의 선사이다.

그러나 여하경(呂夏卿)이 지은 탑명에 의하면
설두스님은 마조의 9세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특출한 선사는 모두 마조의 법손이라고 믿는
당시의 사상을 잘 반영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당시에는 이미 마조 - 백장 - 황벽 - 임제로 이어지는
임제종이 선풍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송대 임제종에 속하는 원오스님이 이 송고집을 거량하여
「벽암록」으로 후세에 전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설두송고」를 대본으로 원오 극근(?悟克勤:1063-1135)스님이
당시의 수행자들에게 제창한 것이 바로 이 「벽암록」이며,
이 책은 「벽암집(碧巖集)」, 「불과원오선사벽암록(佛果?悟禪師碧嚴錄)」등으로 불려왔고,
'종문제일서(宗門第一書)'라는 칭호와 함께 선서(禪書)의 왕좌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 책은 설두스님이 하신 [본칙]·[송]과
원오스님이 하신 [수시]·[평창]·[착어]로 구성되어 있다.

[수시]는 법문에 들어가기 전에 한 일종의 문제제기이고,
[평창]은 [본칙]과 [송]에 대한 설명이고,
[착어]는 한두 마디로 상대를 격발시키는 간단한 평가이다.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80 

 

벽암록(1) 1칙 ~ 10칙

벽암록 제1칙 달마대사와 양무제 “불법의 지혜는 현실의 삶에서 구현돼야” {벽암록}제1칙은 중국선종의 초조로 추앙받는 달마대사가 인도에서 중국에 건너와 처음 불법천자라고 하는 양(梁)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79&pageid=1 

 

벽암록(2) 11칙 ~ 20칙

벽암록 제11칙 황벽화상과 술 찌꺼기나 먹은 놈(酒糟漢) “수행자 흉내낸다고 깨달음 얻어지지 않는다” {벽암록} 제11칙에는 황벽 화상이 당나라에는 많은 선승이 있지만, 모두 선사인체하면서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78&pageid=1 

 

벽암록(3) 21칙 ~ 30칙

벽암록 21칙 지문화상과 연꽃 “연꽃과 연잎은 不二…불심과 중생심도 하나” {벽암록} 제21칙에는 지문(智門) 화상에게 연꽃에 대한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어떤 스님이 지문 화상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77&pageid=1 

 

벽암록(4) 31칙 ~ 40칙

벽암록 31칙 마곡화상이 주장자를 흔들다 “옳고 그름의 차별에 들면 본래심 상실” {벽암록} 제31칙에는 마곡스님이 사형인 장경 화상과 남전 화상을 찾아가서 주장자를 흔들어 보인 기연을 다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76&pageid=1 

 

벽암록(5) 41칙 ~ 50칙

벽암록 41칙 조주화상의 크게 죽은 사람 “잘못된 약으로 대선사 시험하는 건 무모” {벽암록}제41칙은 조주화상과 투자(投子)화상과의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조주화상이 투자선사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75&pageid=1 

 

벽암록(6) 51칙 ~ 60칙

벽암록 51칙 설봉화상과 두 스님 “깨달음은 같아도 교화하는 방법은 다르다” {벽암록}제51칙은 설봉의존화상을 참문한 두 스님의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擧. 雪峰住庵時, 有兩僧來禮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74&pageid=1 

 

벽암록(7) 61칙 ~ 70칙

벽암록 61칙 풍혈(風穴)화상의 한 티끌(一塵) 마음 한티끌로 지옥도 만들고 천당도 만들어 {벽암록} 61칙은 풍혈화상이 한 티끌을 세운 법문을 다음과 같이 수록하고 있다. “풍혈화상이 대중에게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73&pageid=1 

 

벽암록(8) 71칙 ~ 80칙

벽암록 71칙 백장화상이 오봉의 안목을 점검하다 “깨달음의 세계엔 언어문자 초월해야” {벽암록} 제71칙은 백장화상이 오봉(五峰)에게 목구멍과 입술을 닫고 말해보라고 한다. 백장화상이 다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72&pageid=1 

 

벽암록(9) 81칙 ~ 90칙

벽암록 81칙 약산화상과 큰 사슴 사냥 납자의 사량분별 지혜의 화살로 명중시켜 {벽암록} 제81칙은 약산유엄선사와 큰 사슴을 화살로 잡는 선문답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어떤 스님이 약산화

kr.buddhism.org

 

http://kr.buddhism.org/%eb%b2%bd%ec%95%94%eb%a1%9d/?mod=document&uid=71&pageid=1 

 

벽암록(10) 91칙 ~ 100칙

벽암록(10) 91칙 ~ 100칙 벽암록 제91칙 염관(官)화상과 무소뿔 부채 마음부채 놓고 왈가왈부…바람은 어디에? {벽암록} 91칙은 염관화상과 무소뿔 부채를 주제로 한 다음과 같은 선문답이다. 염관화

kr.buddhism.org

 

 

https://www.youtube.com/watch?v=cv6LkyhYR4M 

 

 

https://www.youtube.com/watch?v=1CJHVVPbeXo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