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loudwater.tistory.com/221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 서문

이곳에 게재하는 내용은 2547(2003)년에 경서원에서 초판 발행되었던 '정해 포교사 고시'라는 도서를 저본으로하여 수정과 보완을 하여 2551(2007)년에 경서원에서 재발행되었던 '정해 불교학 총정리

cloudwater.tistory.com

 

 

선혜(善慧) 행자의 구도행(求道行):김제모악산(母岳山) 금산사(金山寺) 벽화

https://cloudwater.tistory.com/374

 

제1장 부처님의 생애 (1) 전생 이야기

제1장 부처님의 생애 (1) 전생 이야기 ①자타카[Jataka, 본생담(本生談)]: 부처님의 전생(前生) 이야기 ②수미산(須彌山, Sineru)의 큰 불을 끈 앵무새, 선혜보살[善慧菩薩, 수메다(Sumeda)], 상불경보살

cloudwater.tistory.com

 

(3) 고타마 싯닷타의 고뇌

(3) 고타마 싯닷타(Gotama Siddhattha)의 고뇌 ①염부수(閻浮樹)아래의 정관(靜觀) 싯닷타 태자는 어린 시절에 부왕(정반왕)과 함께 참석한 농경제(農耕祭:Vappamangala)에서 염부수[閻浮樹, 잠부(Jambu)나무] 그늘에 앉아 선정에 잠긴 일이 있었다. 이것을 흔히 잠부나무(염부수) 아래의 정관(靜觀)이..

 

(4) 진리를 찾아서

(4) 진리를 찾아서 ①나이 29세 때 2월 8일 한밤중에 마부 찬나[Channa, 차익(車匿)]과 애마(愛馬) 깐타까(Kanthaka)를 타고 성벽을 넘어 출가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②박가바(Bhaggava):천상에 태어나는 것을 목적으로 고행 ③알라라 깔라마(Āḷārakālama):무소유처(無所有處)가 ..

 

(5) 진리(眞理)의 완성

(5) 진리(眞理)의 완성 ①고행을 그만 둠 ②우루벨라(Uruvela) 촌장의 딸인 수자타(Sujata) 여인으로부터 유미죽 공양을 받음. ③중도(中道)를 깨달음 ‘도를 닦는 데는 향락도 피해야 하지만 고행도 피해야 한다.’ [고락중도(苦樂中

 

(6) 가르침을 널리 펴다

(6) 가르침을 널리 펴다 ①성도 후 보리수 아래에서 삼칠일 동안 형언할 수 없는 법열(法悅)에 잠김 ②최초의 두 귀의자 : 땁뿟사(Tapussa)와 발리까(Bhallika)-최초의 공양(곡물가루와 꿀공양) ③범천의 권청(勸請) ‘무명(無明)의 캄

 

(7) 교단의 성립(사부대중의 형성)

(7) 교단의 성립(사부대중의 형성) ①교진여(橋陳如) 등 다섯 사람의 귀의:비구 형성 ②야사(Yasa:耶舍)와 그의 친구 50인의 귀의 ③야사의 아버지 구리가 장자의 귀의:최초의 우바새 ④야사의 어머니의 귀의:최초의 우바이 ⑤

 

(8) 교화 장소

(8) 교화 장소 ① 죽림정사(竹林精舍):빔비사라(Bimbisara)왕이 기진(寄進) :왕사성[王舍城, 라자가하(Rājagaha)] ② 지바까(Jivaka) 동산:의사 지바까가 기진(寄進) :왕사성[王舍城, 라자가하(Rājagaha)] ③ 암바

 

(9) 제자의 교화

(9) 제자의 교화 ① 가장 많이 머문 교화 지역 사밧티[Savatthi, 사위성(舍衛城)], 라자가하[Rājagaha, 왕사성(王舍城)], 베살리[Vesali, 비사리(毘 舍利)], 카필라밧투[kapilavastu, 가비라성(迦毘羅城)] 등 ② 교화 활동의 중심지:

 

(10) 전도선언

(10) 전도선언 ① 아라한의 지위에 오른 제자가 60여명이 되자, 부처님은 ‘많은 사람의 이익과 안락을 위해 전도의 길을 떠나라. 다른 마을로 갈 때 혼자 가서 두 사람이 한 곳으로 가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전도선언을 하셨음. ② 순교이생(巡敎利生)의 명령이라고도 한다. “나는 하늘..

 

(11) 부처님 일생 중에 부처님을 슬프게 한 세 가지 사건

(11) 부처님 일생 중에 부처님을 슬프게 한 세 가지 사건 ①부처님의 종족인 석가족의 멸망 ♣꼬살라(Kosala)국의 비루다까[Virudhaka(=비유리왕毘瑠璃王), 빠세나디(Pasenadi=파사익(波斯匿)왕의 아들] ②부처님의 수제자인 사리불[舍利弗, 사리뿟따(Sāriputta)]과 목건련[目健蓮, 마하목갈라나(Mahamogallāna)]의 열반 ③아난다(Ananda)의 형이었던 데와닷타(Devadatta)의 반역 사리뿟따[Sāriputta, 사리불(舍利弗)]와 마하목갈라나[Mahamogallāna, 목건련(目健蓮)] ☞데와닷따(Devadatta) 마가다국 빔비사라(Bimbisāra)왕의 아들인 아자타삿투(Ajatasattu, 아사세)의 후원을 받아 부처님 교단을 차지하려는 음모를 꾸며 자객을 보내고..

 
(12) 부처님의 열반

(12) 부처님의 열반 ①세수 80세 ②부처님 최후의 제자 : 외도 쑤바다(Subhada) ‘여래(如來)에게 오는 자를 막지 말라.’ ③최후의 유훈 자귀의 법귀의 자등명 법등명 이계위사 불방일 自歸依 法歸依 自燈明 法燈明 以戒爲師 不放逸 저마다 자기 자신을 등불로 삼고 자기를 의지하여라. 진..

 

 

https://cloudwater.tistory.com/category/%EC%A0%95%ED%95%B4%28%E6%AD%A3%E8%A7%A3%29%20%EB%B6%88%EA%B5%90%ED%95%99%20%EC%B4%9D%EC%A0%95%EB%A6%AC/%EC%A0%9C2%EC%9E%A5%20%EB%B6%80%EC%B2%98%EB%8B%98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2장 부처님' 카테고리의 글 목록

 

cloudwater.tistory.com

 

(3) 과거칠불(過去七佛)

(3) 과거칠불(過去七佛) 1 2 3 4 5 6 7 비바시불 (毘婆尸彿) 시기불 (尸棄佛) 비사부불 (毘舍浮佛) 구류손불 (狗留孫佛) 구나함모니불 (拘那含牟尼佛) 가섭불 (迦葉佛) 석가모니불 (釋迦牟尼佛) 위빳시 (Vipassī) 시키 (Sikhī) 웻사부 (Vessabhū) 까꾸산다 (Kakusandha) 꼬나가마나 (Koṇ..

 

(4) 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

(4) 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 : 법구경[담마빠다(Dhammapada)][아난다 테라의 질문 이야기]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시제불교’ ‘모든 악을 짓지 말고, 모든 선을 받들어 행하라. 스스로

 

(5) 삼신불(三身佛)

(5) 삼신불(三身佛) 법신(法身) 청정법신비로자나불(淸淨法身毘盧蔗那佛) 이름과 모양을 초월한 진리의 당체(當體)를 말하며, 오고 감이 없는 상주불변의 생명이자, 모든 존재의 절대 평등한 본체요 이법(理法)이다. 이 법신을 

 

(6) 여래십호(如來十號)와 구공덕게(九功德偈)

(6) 여래십호(如來十號) ①여래(如來:Tathāgata) 진여의 세계에서 와서 진리를 깨우치신 분, 진리 그대로 오고 진리 그대로 가신 분. ②응공(應供:Arhat) 응수공양(應受供養)의 뜻으로 ‘마땅히 공양받을 만한 분'이라는 뜻으로 남

 

(7) 부처님의 십대제자

(7) 부처님의 십대제자 존 명 설 명 마하가섭 마하깟사빠(Mahākassapa) 두타제일 (頭陀第一) ㆍ삼처전심(三處傳心)을 통해 부처님의 법을 계승 ㆍ부처님 열반 뒤 교단의 영도자가 되었으며 선가(禪家)에 서는 부법장(付法藏) 제1조(祖)로 높이 받들고 있다. 아난다 아난다(Ānanda) 다문제일..

 

(8) 사지(四智)와 육신통(六神通)

(8) 사지(四智)와 육신통(六神通) 1)사지(四智) 성소작지(成所作智) 중생을 제도하는데 걸림 없이 자재한 방편 지혜 묘관찰지(妙觀察智) 모든 중생의 업과 근성 등을 미묘하게 살펴보는 지혜 평등성지(平等性智) 모든 법의 평등일여(平等一如)한 모습을 보는 지혜 대원경지(大圓鏡智) 모든 ..

 

(9) 불기(佛紀)

(9) 불기(佛紀) ① 1956년 네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불교도 대회에서 제정되었다. ② 1956년을 불기 2500년으로 정하였다. ③ 부처님의 입멸년도를 서기전 544년을 불기1년으로 정하였다. ④ 부처님의 탄생하신 년도를 서기전

 

(10) 팔상성도(八相聖圖) = 팔상도(八相圖)

(10) 팔상성도(八相聖圖) = 팔상도(八相圖) 도솔래의상 (蔸率來儀相) 도솔천 내원궁에서 흰 코끼리를 타고 마야궁으로 내려옴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마야부인이 룸비니 동산에서 무우수가지를 붙들고 오른쪽 겨드랑이로 낳음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생노병사의 괴로움을 관찰하..

 

(11) 불교의 4대성지와 5대재일(명절)

(11) 불교의 4대성지와 5대재일(명절) 1) 4대성지(四大聖地) 탄생 룸비니 성도 붓다가야 초전법륜 사르나트(녹야원) 열반 쿠시나가라 ▣룸비니(Lumbini)동산 룸비니(현 지명은 룸민데이)는 바라나씨[Bārāṇasī, 까시(Kasi)의 수도]에서 북쪽으로 160Km거리에 있으며 눈 덮인 히말라야..

 
(12) 부처님 당시의 인도 상황과 사회적 배경

(12) 부처님 당시의 인도 상황과 사회적 배경 ①잉여 농산물을 바탕으로 상공업과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다. ②경제적 부를 축적한 자산가[=장자(長子)]들이 새로운 세력층으로 부상하였다. ③정치적으로는 부족장 중심제를 벗어나 도시

 

 

계 정 혜 3학

 

고집멸도 4성제

 

8정도

 

 

https://cloudwater.tistory.com/category/%EC%A0%95%ED%95%B4%28%E6%AD%A3%E8%A7%A3%29%20%EB%B6%88%EA%B5%90%ED%95%99%20%EC%B4%9D%EC%A0%95%EB%A6%AC/%EC%A0%9C4%EC%9E%A5%20%EB%B6%88%EA%B5%90%EA%B2%BD%EC%A0%84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4장 불교경전' 카테고리의 글 목록

 

cloudwater.tistory.com

 

 

https://cloudwater.tistory.com/category/%EC%A0%95%ED%95%B4%28%E6%AD%A3%E8%A7%A3%29%20%EB%B6%88%EA%B5%90%ED%95%99%20%EC%B4%9D%EC%A0%95%EB%A6%AC/%EC%A0%9C5%EC%9E%A5%20%ED%95%9C%EA%B5%AD%EB%B6%88%EA%B5%90%EC%82%AC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5장 한국불교사' 카테고리의 글 목록

 

cloudwater.tistory.com

 

 

https://cloudwater.tistory.com/category/%EC%A0%95%ED%95%B4%28%E6%AD%A3%E8%A7%A3%29%20%EB%B6%88%EA%B5%90%ED%95%99%20%EC%B4%9D%EC%A0%95%EB%A6%AC/%EC%A0%9C6%EC%9E%A5%20%EC%9D%B8%EB%8F%84%EB%B6%88%EA%B5%90%EC%82%AC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6장 인도불교사' 카테고리의 글 목록

 

cloudwater.tistory.com

 

 

https://cloudwater.tistory.com/category/%EC%A0%95%ED%95%B4%28%E6%AD%A3%E8%A7%A3%29%20%EB%B6%88%EA%B5%90%ED%95%99%20%EC%B4%9D%EC%A0%95%EB%A6%AC/%EC%A0%9C7%EC%9E%A5%20%EC%A4%91%EA%B5%AD%EB%B6%88%EA%B5%90%EC%82%AC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7장 중국불교사' 카테고리의 글 목록

 

cloudwater.tistory.com

 

 

https://cloudwater.tistory.com/category/%EC%A0%95%ED%95%B4%28%E6%AD%A3%E8%A7%A3%29%20%EB%B6%88%EA%B5%90%ED%95%99%20%EC%B4%9D%EC%A0%95%EB%A6%AC/%EC%A0%9C8%EC%9E%A5%20%EB%B6%88%EA%B5%90%EC%82%AC%EC%83%81%EC%9D%98%20%EC%9D%B4%ED%95%B4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8장 불교사상의 이해' 카테고리의 글 목록

 

cloudwater.tistory.com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8장 불교사상의 이해 30

 

Ⅵ. 중국불교의 화엄사상(華嚴思想) 2. 화엄교학의 역사

2. 화엄교학의 역사 (1)인도 1)용수(龍樹:150〜250) ①화엄사상뿐만아니라 대승 불교사상의 전반에 걸쳐서 많은 연구 업적을 남겼다. ②8종(八宗)의 조사로 존경을 받고 있다. ③화엄과 관련된 저술: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④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화엄경 십지품(十地品)을..

 

Ⅵ. 중국불교의 화엄사상(華嚴思想) 3. 화엄교학의 중심사상

3. 화엄교학의 중심사상 (1)성기사상(性起思想) 1)성기(性起)란 불성현기(佛性顯起)의 준말로 모든 중생이 불성(佛性)을 갖추고 있음을 말한다. 2)야마천궁게찬품 심불급중생 시삼무차별 (心佛及衆生 是三無差別) ①여래출현이며 우리 범부중생이 그대로 부처임을 깨우쳐 주고 있다. ②범..

 

Ⅶ. 중국불교의 정토사상(淨土思想) 1.정토사상(淨土思想)의 배경과 정토신앙

1.정토사상(淨土思想) (1)정토(淨土)신앙의 배경 1)정토(淨土)의 의미 ①정토(淨土)는 말 그대로 청정한 불국토로 부처님이 거주하는 나라를 뜻하며 미혹한 범부가 살고 있는 사바세계 즉 예토(穢土)에 상대되는 말이다. ②정토의 중생들은 심신(心身)에 일체의 근심과 고통이 없고 다만 한..

 

Ⅶ. 중국불교의 정토사상(淨土思想) 2.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2.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1)무량수경(無量壽經) 1)무량수경의 성립 ①무량수경은 상・하 두 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쌍권경(雙券經)이라고도 한다. ②무량수경의 산스크리트어 원명은 Sukhāvativyūha로서 극락의 장엄(極樂의 莊嚴)이란 뜻인데 아 미타경과 경명이 같기 때..

 

Ⅶ. 중국불교의 정토사상(淨土思想) 3. 정토교(淨土敎)의 성립과 계보

3. 정토교(淨土敎)의 성립 (1)인도의 정토사상 1)용수의 정토사상 ①대지도론 아미타불의 임종래영(臨終來迎)과 법장비구의 불국토 장엄을 설명하고 있다. ②십주비바사론 제불의 명호를 외워서 그 공덕으로 불퇴전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으며 특히 아미타불에 관해서는 상세하게 서술하..

 

Ⅷ. 중국불교의 선사상(禪思想) 1. 선(禪)의 기원과 정의

1. 선(禪)의 기원과 정의 (1)요가(Yoga) 1)요가의 의미 ①B.C 3000년 경 고대인도 원주민들에 의해 실시된 고대 인도의 명상법이다. ②요가라는 말은 사유(思惟) 혹은 명상(冥想)이라는 의미이다. ③명상을 통하여 오감(五感)을 제어하고 산란한 마음을 정지시키는 것 즉 모든 감각기관을 움직이..

 

Ⅷ. 중국불교의 선사상(禪思想) 2. 선(禪) 사상(思想) 관련 경전 3. 선의 종류

2. 선(禪) 사상(思想) (1)관련 경전 1)금강경(金剛經) 무자성(無自性) 공(空)을 체득하는 것이 대승선이다. ①즉비시명(卽非是名)의 논리 :부정의 논리를 전개하여 제법(諸法)의 공(空)을 설하는 논리이다. ②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금강경의 대의(大義)인 무주(無住) 사상..

 

Ⅷ. 중국불교의 선사상(禪思想) 4. 선종(禪宗) : 선의 전래ㆍ선의 종지ㆍ선의 정신

4. 선종(禪宗) (1)선종이란 1)선(禪)의 전래 ①후한의 항제(146∼167년) 때 선경(禪經)이 번역된 이후의 일이다. ②번역된 선경(禪經) 구분 번역자 경명 소승계 선경 안세고 안반수의경(安般守意經), 선행법상경(禪行法想經) 대승계 선경 지루가참 반주삼매경(般舟三昧經), 도행반야경(道行般..

 

Ⅷ. 중국불교의 선사상(禪思想) 5. 선종사상(禪宗思想)의 전개

5. 선종사상(禪宗思想)의 전개 (1)남능북수(南能北秀) 1)북종선 ① 5조 홍인(弘忍)의 제자인 신수(神秀:?〜706)에 의한 일파를 말한다. ②북종이라는 호칭은 732년에 하택 신회(荷澤 神會:684〜758)가 남북의 종지에 대하여 논하면서 신수를 북종이라 하고 혜능을 남종이라 하여 보리..

 

Ⅷ. 중국불교의 선사상(禪思想) 6. 한국(韓國) 선(禪)의 전개

6. 한국(韓國) 선(禪)의 전개 (1)통일신라의 선 도입 1)선의 전래 ①달마의 선법을 이은 제4조 도신(道信:580〜651)으로부터 선법을 이은 법랑(法浪)에 의해서 통 일신라 초기에 선불교가 처음으로 전래됐다. ②법랑의 법을 이은 신행(神行)이 당나라에서 북종선(北宗禪)을 배워 전하였다...

 

 

https://cloudwater.tistory.com/category/%EC%A0%95%ED%95%B4%28%E6%AD%A3%E8%A7%A3%29%20%EB%B6%88%EA%B5%90%ED%95%99%20%EC%B4%9D%EC%A0%95%EB%A6%AC/%EC%A0%9C8%EC%9E%A5%20%EB%B6%88%EA%B5%90%EC%82%AC%EC%83%81%EC%9D%98%20%EC%9D%B4%ED%95%B4?page=2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8장 불교사상의 이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cloudwater.tistory.com

 

Ⅱ. 유식(唯識) 9. 유식의 수행의 다섯 단계:오위설(五位說)

9. 유식의 수행의 다섯 단계:오위설(五位說) (1) 번뇌의 종류 번뇌장(煩惱障) 탐(貪)・진(瞋)・치(痴)로 인한 마음의 번뇌 정서적 장애 소지장(所知障) 아치(我痴)・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로 인한 번뇌로 자아에 대한 그릇된 견해와 집착, 어리석음으로 인한..

 

Ⅱ. 유식(唯識) 10. 유식(唯識)의 대열반과 대보리

10. 유식(唯識)의 대열반과 대보리 (1) 대열반(大涅槃) 대열반은 진해탈(眞解脫)이라고도 한다. 이에 본래자성청정열반・유여의열반・무여의열반・무주처열반을 든다. 모든 유정에게는 본래자성청정열반만이 있고, 이승(二乘)의 무학(無學)에게는 자성열반·유여의열반·무여..

 

Ⅱ. 유식(唯識) 11. 유식학의 제법:오위백법(五位百法):유식소변(唯識所變)의 차제(次第)

11. 유식학의 제법:오위백법(五位百法):유식소변(唯識所變)의 차제(次第) 심왕법 (心王法) 8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 (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意識・末那識・阿賴耶識) 심소법 (心所法) 51 ..

 

Ⅲ.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 1. 여래장 사상

1. 여래장 사상 (1) 출현 ① 인도에서 출현하여 전개되어 왔으나 대승불교 중에 하나의 학설로서 위치하게 된 것은 중국에 와서이다. ② 화엄종의 현수 법장(賢首 法藏)이 대소승경론을 「기신론의기(起信論義記)」에서 소승・중관・유식・여래장사상으로 크게 네 등분하면서 ..

 

Ⅲ.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 2.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여래장 연기설(如來藏 緣起說)

2.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여래장 연기설(如來藏 緣起說) (1) 여래장(如來藏) 연기(緣起) = 진여(眞如) 연기(緣起) 여래장설(如來藏說)은 여래장(=불성 佛性)의 자성이 본디 청정함에도 어떻게 번뇌에 얽혀 있게 되는지 즉 중생이 어째서 중생이 되는가를 밝혀주는 연유에 대해서는 적절..

 

Ⅳ. 밀교사상(密敎思想)

Ⅳ. 밀교사상(密敎思想) (1) 밀교(密敎)란 ① 비밀불교(秘密佛敎)의 줄인 말로서 비밀로 설해진 가르침이라는 뜻 ② 비밀승(秘密乘)・밀장・다라니교・금강승 등으로 불림. ③ 삼밀가지(三密加持)를 통한 즉신성불(卽身成佛)이 구극의 목표 ④ 탄트라 불교(Tantric Buddhism) 7,8세기..

 

Ⅴ. 중국불교의 천태사상(天台思想) 1. 천태종의 사상 배경

1. 천태종의 사상 배경 (1)법화경(法華經)이란 어떤 경전인가 1)경명(經名) ①『법화경』은 『묘법연화경』의 약칭이다. ② 법화경은 원 이름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Saddharma-pundarika sutra)으로 “무엇보다 밝은 연꽃과 같은 가르침”이라는 뜻이다. ③ 법화경의 내용 법화(法華)라는 뜻은..

 

Ⅴ. 중국불교의 천태사상(天台思想) 2. 천태사상(天台思想)

2. 천태사상(天台思想) (1)천태의 사상배경 1)경전을 오시팔교로 교판하고 제5시와 일승원교에 속하는『법화경』의 절대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세운 독자적인 교설이 천태의 사상체계이다. 2)천태교학은 존재의 양상인 제법실상(諸法實相)을 밝히고 있는데, 그 근본적인 세계이론으로 일념..

 

Ⅴ. 중국불교의 천태사상(天台思想) 3. 지관(止觀)의 수행

3. 지관(止觀)의 수행 (1)삼종지관(三種止觀) 마하지관(摩訶止觀)에 의하면 이 삼종지관은 천태지의가 남악 혜사(慧思)로부터 전수받은 것이라고 한다. 1)점차(漸次)지관:차제법문(次第法門) :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점차적으로 지관을 실수(實修)하는 관법 2)부정(不定)지관:육묘법문(..

 

Ⅵ. 중국불교의 화엄사상(華嚴思想) 1.화엄경(華嚴經) 해제

1.화엄경(華嚴經) 해제 (1)화엄경(華嚴經)이란 어떤 경전인가 1)경명(經名) ①『화엄경』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의 약명이다. ②산스크리트어로는 Mahāvaiplya-buddha-gaṇda-vyūha-sūtra(마하바이뿔야-붓다-간다-뷰하-수트라) 라고 한다. ③대방광(大方廣)이란 크고 넓..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8장 불교사상의 이해' 카테고리의 글 목록

 

cloudwater.tistory.com

 

정해(正解) 불교학 총정리/제8장 불교사상의 이해 30

 

Ⅰ. 중관사상(中觀思想) 1. 반야경(般若徑)의 공(空)으로 연기설 설명

Ⅰ. 중관사상(中觀思想) 1. 반야경(般若徑)의 공(空)으로 연기설 설명 (1) 공(空)의 의미 ① 공(空)의 원어인 쑤냐(śūnya)는 원래 ‘부풀어 오른’, ‘속이 텅 빈’, ‘텅 비어 있음’ 이란 의미로 속이 비어 있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② 대승불교에서 공은 자성(自性), 실체(實體), 본..

Ⅰ. 중관사상(中觀思想) 2. 공사상(空思想)의 확립

2. 공사상(空思想)의 확립 (1)용수의 생애 ①용수(龍樹)의 범어명은 나가르주나(Nāgārjuna)인데 그는 2세기경에 남인도에서 출생했으며 그의 모친이 아르주나(ārjuna) 나무 아래에서 출산했기 때문이며, 나가(Nāgā : 龍)의 가르침을 받아 도 를 이루었다는 설화에 근거하여 나가..

Ⅱ. 유식(唯識) 1. 유식사상(唯識思想)

Ⅱ. 유식(唯識) 1. 유식사상(唯識思想) (1) 유식사상의 배경 ① 용수의 공사상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지나치게 공허한 사상으로 치우침. ② 공을 드러내는 데 너무 집착한 나머지 모든 존재를 부정하는 잘못 이해된 공(악취공:惡取空)을 비판하고 이를 바로 잡고자 함. ③ 아비달마의 부족..

Ⅱ. 유식(唯識) 2. 심식론(心識論)

2. 심식론(心識論) (1) 팔식(八識)의 구조 인간의 정신세계 식별작용의 주체 심리작용 심왕(心王) : 8 심소(心所) : 51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 변행심소(遍行心所) : 5 ▣ ..

 

Ⅱ. 유식(唯識) 3. 삼성(三性)・삼무성(三無性)의 중도설

3. 삼성(三性)・삼무성(三無性)의 중도설 :(해심밀경) 제4장<일체법상품>, 제5장<무자성품> : 공(空)과 무자성(無自性)을 분석적으로 재해석 (1) 삼성(三性) <섭대승론(攝大乘論)> ・번뇌망상인 ・개념을 실제라고 집착 변계소집성 (遍計所執性) 새끼줄→뱀 상무자성..

 

Ⅱ. 유식(唯識) 4. 삼성(三性)・삼무성(三無性)의 의의

4. 삼성(三性)・삼무성(三無性)의 의의 (1) 중도설의 재천명 ① 유식학에서는 반야공(般若空)의 논리가 중관학파와 다른 방식으로 전개된다. 즉 일부 중관학자들의 악취공견(惡取空見)을 시정하기 위해 공성(空性)이 성립하는 장(場)으로서의 식(識)의 존재성을 인정한 바탕 위에서 공..

 

Ⅱ. 유식(唯識) 5. 유식(唯識)의 심(心)・의(意)・식(識)

5. 유식(唯識)의 심(心)・의(意)・식(識) 심(心) 제8식 아뢰야식 (阿賴耶識) 제8아뢰야식은 이렇게 모든 업의 산물들을 스스로 저장하는 능장(能藏)으로서의 의미도 갖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모든 세력들을 소장(所藏)할 장소로서의 처소로도 제공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이 아뢰야..

 

Ⅱ. 유식(唯識) 6. 무상유식(無相唯識)과 유상유식(有相唯識)

6. 무상유식(無相唯識)과 유상유식(有相唯識) (1)무형상인식론(無形相認識論)과 유형상인식론(有形相認識論) ① 무형상인식론(無形相認識論)은 어떤 사물을 인식할 때 형상이 마음과 달리 존재하는 대상에 속한다고 생각하여 그 형상을 그대로 인식한다는 학설 ② 유형상인식론(有形相認..

 

Ⅱ. 유식(唯識) 7. 유식삼십송과 십대논사

7. 유식삼십송과 십대논사 (1)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① 유식설을 철학적으로 확립시킨 것으로 심소(心所)와 작용(作用) 그리고 수행점차(修行漸次)를 간명 적절하게 설명한 송문(頌文)으로서 세친 보살의 역작이다. ② 심(心)·의(意)·식(識)의 삼식(三識)을 바탕으로 하여 심체(心體)와..

 

Ⅱ. 유식(唯識) 8. 유식학의 두 가지 인과응보(因果應報)

8. 유식학의 두 가지 인과응보(因果應報) 우리가 은연중에 갖게 된 세계관과 자아관(自我觀)은 씨앗(=種子)과 같은 상태로 아뢰야식에 저장되었다가, 미래 혹은 내생에도 우리로 하여금 그와 동일한 세계관과 자아관을 갖게 한다. 이는 우리의 인지(認知)에서 일어나는 인과응보라고 할 수..

위 포스트는 하단부터 상단으로 읽는 역순임. 새글이 위에 위치하기 때문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