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ydong77.tistory.com/19753
詩經 311편 총목차 & 305편 작품과 국역 목록/ 김용옥, 시경시 재해석
www.youtube.com/watch?v=zh1ePSoRx3E https://kydong77.tistory.com/19521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911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詩經 311편 총목차 & 305편 작품과 국역 목록 blog.naver.com/bhjang3/140036675866 시경뭔문 -
kydong77.tistory.com
국풍(國風) |
총 160편 | ||
한자 | 한글 | 번호 | |
01 | 周南 | 주남 | 001-011 |
02 | 召南 | 소남 | 012-025 |
03 | 邶風 | 패풍 | 026-044 |
04 | 鄘風 | 용풍 | 045-054 |
05 | 衛風 | 위풍 | 055-064 |
06 | 王風 | 왕풍 | 065-074 |
07 | 鄭風 | 정풍 | 075-095 |
08 | 齊風 | 제풍 | 096-106 |
09 | 魏風 | 위풍 | 107-113 |
10 | 唐風 | 당풍 | 114-125 |
11 | 秦風 | 진풍 | 126-135 |
12 | 陳風 | 진풍 | 136-145 |
13 | 檜風 | 회풍 | 146-149 |
14 | 曹風 | 조풍 | 150-153 |
15 | 豳風 | 빈풍 | 154-160 |
소아(小雅) | 총 74편 | ||
01 | 鹿鳴之什 | 녹명지습 | 161-170 |
02 | 白華之什 | 백화지습 | 170-175 |
03 | 彤弓之什 | 동궁지습 | 175-185 |
04 | 祈父之什 | 기부지습 | 185-195 |
05 | 小旻之什 | 소민지습 | 195-205 |
06 | 北山之什 | 북산지습 | 205-215 |
07 | 桑扈之什 | 상호지습 | 215-225 |
08 | 都人士之什 | 도인사지습 | 225-234 |
대아(大雅) | 총 31편 | ||
01 | 文王之什 | 문왕지습 | 235-244 |
02 | 生民之什 | 생민지습 | 245-254 |
03 | 蕩之什 | 탕지습 | 255-265 |
송(頌) | 총 40편 | ||
01 | 周頌 | 주송 | 266-296 |
01a | -清廟之什 | 청묘지습 | 266-275 |
01b | -臣工之什 | 신공지습 | 276-285 |
01c | -閔予小子之什 | 민여소자지습 | 286-296 |
02 | 魯頌 | 노송 | 297-300 |
03 | 商頌 | 상송 | 301-305 |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니라
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 왈 사무사
[논어(論語) 위정(爲政)편 2장]
라 했으나 현전하는 작품은 305편이고
笙詩를 합하면 311펀이 된다.
공자는“시경시집 305 편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순수한 생각과 사실성에 바탕한 純正한 생각과 정서의 표현임을 위와 같이 말했다. 이는 곧 공자의 詩觀이라 할 수 있다.
笙詩[가락만 남고 한시 작품 망실] 6편명
170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10편 남해(南陔)[笙詩]
171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1편 백화(白華) [笙歌,笙詩]
172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2편 화서(華黍)[笙歌,笙詩]
174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4편 유경(由庚)[笙歌,笙詩]
176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6편 숭구(崇丘)[笙歌,笙詩]
178 小雅- 南有嘉魚之什-유의(由儀) [笙歌,笙詩]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911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675866
시경뭔문
- 시경 원문 - . 詩 經 原 文 1. 國風 2. 雅 3. 頌 毛詩 1. 國風 2. 小雅 3. 大雅 4. 周頌 5. 魯頌...
blog.naver.com
http://www.guoxue.com/jinbu/13jing/shijin/shijin1112.htm
枷힛쒔
www.guoxue.com
https://blog.naver.com/bhjang3
德 田 의 문 화 일 기. : 네이버 블로그
파워 지식 in- 등급 물신-지식영향력 96%의 <지식 공유 나라>는 마음껏 퍼가도 줄지 않는 샘물임니다.
blog.naver.com
詩 經 原 文
1. 國風
2. 雅
3. 頌
毛詩
1.
2.
3. 大雅
4.
5. 魯頌
6. 商頌
![]() |
风 | 周南 |
召南 | ||
邶风 | ||
鄘风 | ||
卫风 | ||
王风 | ||
郑风 | ||
齐风 | ||
魏风 | ||
唐风 | ||
秦风 | ||
陈风 | ||
桧风 | ||
曹风 | ||
豳风 | ||
雅 | 鹿鸣之什 | |
南有嘉鱼之什 | ||
鸿雁之什 | ||
节南山之什 | ||
谷风之什 | ||
甫田之什 | ||
鱼藻之什 | ||
文王之什 | ||
生民之什 | ||
荡之什 | ||
颂 | 周颂·清庙之什 | |
周颂·臣工之什 | ||
周颂·闵予小子之什 | ||
鲁颂·駉之什 | ||
商颂 |
https://blog.naver.com/bhjang3/140035268824
◈ 중국 시가(詩歌)의 내용과 특징 소고.
◈ 중국 시가(詩歌)의 내용과 특징 소고. 우선 시경(詩經)의 첫 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관저(關雎);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bhjang3/140035268975
◈ 중국 시가(詩歌)의 유형과 작품 소고.
◈ 중국 시가(詩歌)의 유형과 작품 소고. 一. 중국시가의 원류(源流) : 시경(詩經)과 초사(楚辭) 중국문학...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bhjang3/140035480672
◈ 001 國風(국풍)周南(주남)-關雎(관저) : 물수리.
◈ 시경 강독 朱子詩集傳 解 - . 詩經 國風. 國이란 것은 諸侯에게 봉해진 지역이요, 風이란 것은 民俗 歌...
blog.naver.com
'중국고전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2 갈담/주남 (0) | 2009.11.07 |
---|---|
001 관저 /주남 (0) | 2009.11.06 |
시경시의 편찬과 육의(六義)/ [내용]風·雅·頌, [표현기법]賦·比· 興 (0) | 2009.03.17 |
시경시의 사무사[思無邪] (0) | 2009.03.17 |
시경, 周南 관저(關雎) & 六義 - [내용]風·雅·頌 [표현기법]賦·比· 興 (0) | 2008.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