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신사2009-04-04 오전 09:12
01 Milva - La Cumparsita (칸쵸네)02 Trio Los Panchos - Adoro (칸쵸네)03 La Maritza [마리짜 강변의 추억](샹송)04 Samy Goz - Come Vorrei(샹송)05 La Playa - Marie Laforet
06 Dondevoy [돈데보이](샹송)
La Cumparsita - Milva
Si supieras que an dentro de mi almaConservo aquel cario que tuve para tiQuien sabe si supierasQue nunca te he olvidadoVolviendo a tu pasadoTe acordaras de mi.Los amigos ya no vienenNi siquiera a visitarmeNadie quiere consolarmeEn mi afliccin.Desde el da que te fuisteSiento angustias en mi pecho,Dec percanta: Qu has echoDe mi pobre corazn? Al cotorro abandonado.Ya ni el sol de la maanaAsoma por la ventana,Como cuando estabas vosY aquel perrito compaero.Que por tu ausencia no comaAl verme solo, el otro daTambin me dejo.Si supieras
[2박자 음악인 탱고의 연구논문도 있네요]/아래 논문의 한 대목만 발췌한 겁니다.
아르헨티나 탱고(Argentine Tango)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3&dir_id=306&eid=kQ9o/oNcLBHaG+pXhw/B7q0Wpt02ur8W&qb=TGEgQ3VtcGFyc2l0YSDtlbTshJ0=&enc=utf8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는 16세기 스페인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흑인들이 많이 살던 지역이다.
이 지역의 주인인 팜파스를 지배하던 인디오 가우초(Gaucho)들에 탈영병들이 합류하기 시작하였고,
아르헨티나의 통일 대통령이 된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장군은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이 지역의 원주민
가우초들을 몰아내고 새로운 목장과 농장을 세우게 된다. 그 결과, 아르헨티나는 경제적인 급성장을
이루고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이민자들을 받아들이게 되었는데 이민자의 절반을 이탈리아인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Ibid. p. 205
1880년대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빈민지역 춤인 밀롱가는 새로운 세대의 전환에 앞서 오늘날과
같은 완전한 탱고의 면모를 갖추며 변화 되어갔다. 1870년대에 탱고를 완성시키는데 기여한 것은
인디오와 니그로 그리고 스페인의 혼혈인 가우초의 후예 콤빠드리토(Compadrito)들이다. 이들은
1870년대 말 밀롱가를 바탕으로 해서 탄생한 새로운 춤과 음악을 `탱고'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역설적인 것은 흑인들이 춤을 추는 장소를 부르는데 썼던 탱고라는 용어를 콤빠드리토들은
밀롱가가 변화된 춤의 이름으로 사용하고, 탱고를 추는 장소를 `밀롱가'라 부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Jose Gobello Caras Y Caretas 1920 p.56새로운 감각의 현란하고 고도로 에로틱한 춤이었던 탱고는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하층계급의 소굴
- 에서만 추어졌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춤의 형태가 약간 품위 있게 변화 하였다. 심야의 손님들을
- 위해 소규모의 악단이 탱고 음악을 연주 해 주는 장소가 증가하여 탱고가 여전히 비합법적인 것이
- 었음에도 불구하고 악단의 규모는 커지기 시작했다.
- Dance in Society Karl Mannheim - Arboa Scientia p.191
- 약 1910년경에 부에노스 아이레스를 방문한 파리의 흥행사들이 탱고를 발견했고, 그 즉시 파리
- 에서 연주할 수 있는 몇몇의 최고 악단들과 계약을 맺었다. 탱고음악은 파리와 다른 도시들에서
- 즉각 성공을 거두었으나, 춤은 일반인들이 수용할 수 있게 되기 전 까지 많은 부분이 수정되었다.
- 탱고는 서서히 적응되어갔고 에로틱한 요소들이 버려지거나 완화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다
- 고상한 `아르헨티나 탱고(Argentine Tango)'가 탄생되었고, 이것이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재
- 유입되었다.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비 바르땅, 마리짜 강변의 추억[샹송] (0) | 2009.04.05 |
---|---|
사랑해도 될까요? (0) | 2009.04.04 |
손담비/토요일 밤에 (1) | 2009.04.03 |
손담비/BAD BOY (1) | 2009.04.03 |
Pardonne Moi - Nana Mouskouri (0) | 2009.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