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자주] 1969년에 발표된 라마리짜강은 불가리아 실비 바르땅의 고향에 있는 강이름이라네요. 한국어 제목번역이 더 멋지네요. 1960년대는 통기타, 생맥주, 청바지가 유행한, 낭만이 있고, 젊은이들 음악의 우상도 있던 시대였으니까요. 윤형주[의학도 포기], 송창식, 김세환 등이 그들이었지요. 1970년대 후반에도 여대생들은 그들을 '아무개 오빠'라고 불렀으니까요.

 



 

www.youtube.com/watch?v=eqM0UbI4uVY&list=RDeqM0UbI4uVY&start_radio=1

 
 
La Maritza는 나의 강입니다.
La Maritza, c'est ma rivière

세느 강이 당신 것인 것처럼
Comme la Seine est la tienne


하지만 아빠밖에 없어
Mais il n'y a que mon père

이제 누가 기억나
Maintenant qui s'en souvienne

때때로
Quelquefois
내 첫 10년 동안
De mes dix premières années

난 아무것도 남지 않았어
Il ne me reste plus rien

가장 가난한 인형이 아닙니다.
Pas la plus pauvre poupée

작은 코러스에 지나지 않습니다.
Plus rien qu'un petit refrain

어제의
D'autrefois
내 강의 모든 새들
Tous les oiseaux de ma rivière

우리는 자유를 노래했다
Nous chantaient la liberté

나는 거의 이해하지 못했다
Moi je ne comprenais guère

하지만 아버지는 알고 계셨다
Mais mon père, lui, savait

듣다
Écouter
수평선이 너무 어두워지면
Quand l'horizon s'est fait trop noir

새들이 모두 사라졌다
Tous les oiseaux sont partis

희망의 길에서
Sur les chemins de l'espoir

그리고 우리는 그들을 따랐다
Et nous on les a suivis

파리에서
À Paris
내 첫 10년 동안
De mes dix premières années

난 아무것도 남지 않았어, 아무것도 남지 않았어
Il ne me reste plus rien, rien

그리고 눈을 감은 채
Et pourtant les yeux fermés

나는 아버지의 노래를 듣는다.
Moi j'entends mon père chanter

 

* La Maritza *
라 마리짜


La Maritza c'est ma rivière
라 마리짜 쎄 마 리비에ㄹ, 
Comme la Seine est la tienne
꼼 라 센 에 라 티엔

Mais il n'y a que mon père
Maintenant qui s'en souvienne
Quelquefois

세느강이 너의 강인 것처럼

마리짜는 나의 강.


Mais il n'y a que mon père
매 일 니 아 끄 몽 뻬ㄹ

하지만 그걸 기억하는 이는
Maintenant qui s'en souvienne, quelquefois
망뜨넝 끼 썽 수비엔 껠끄푸아

내 아버지뿐, 가끔.
De mes dix premières années
드 메 디 프ㄹ미에ㄹ

자네 내 어릴적 10년으로부터
Il ne me reste plus rien
일 느 므 레스뜨 쁠뤼 리앙

나에겐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네
Pas la plus pauvre poupée
빠 라 쁠뤼 뽀브ㄹ 뿌뻬

보잘것 없던 인형도,
Plus rien qu'un petit refrain, d'autrefois
쁠뤼 리앙 꺙 쁘띠 ㄹ프랑 도트ㄹ푸아

그 옛날의 후렴 외엔 아무것도.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라 라라라라라라라라라

Tous les oiseaux de ma rivière
뚤 레 주아조 드 마 리비에ㄹ

내 강의 모든새들
Nous chantaient la liberté
누 셩때 라 리베ㄹ떼

우리에게 자유를 노래했었지.
Moi je ne comprenais guère
무아 쥬 느 꽁프ㄹ내 계ㄹ

난 아무것도 이해 못했지만
Mais mon père lui savait, ecouter
매 몽 뻬ㄹ 뤼 싸배 에꾸떼

아버진 그 노랠 들을 줄 알았네.


Quand l'horizon s'est fait trop noir
껑 로리종 쎄 패 트로 누아ㄹ

지평선이 아주 검게 물들면
Tous les oiseaux sont partis
뚤 레 주아조 쏭 빠ㄹ티

모든 새들은 희망의 여정 위로
Sur les chemins de l'espoir
쉬ㄹ 레 슈망 들 레스뿌아ㄹ

날아갔네.
Et nous ont les a suivis, a Paris
에 누 종 레 자 쉬비 아 빠리

희망의 길을 따라, 그리고 우리도 날아갔어.

 

De mes dix premières années
드 메 디 프ㄹ미에ㄹ

자네 내 어릴적 10년으로 부터
Il ne reste plus rien, rien
일 느 레스뜨 쁠뤼 리앙 리앙

나에게 아무것도 남아있지않네
Et pourtant les yeux fermés
데 뿌ㄹ떵 레 지유 페ㄹ메

하지만, 나, 눈을 감고 내
Moi j'entends mon père chanter, ce refrain
무아 정떵 몽 뻬ㄹ 셩떼 쓰 ㄹ프랑

아버지의 노랠 듣네, 그 후렴.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라라라라라라라라라라

원문 http://blog.naver.com/lmw2023/140033227863

 

Sylvie Vartan - La Maritza(마르짜 강변의 추억)

  실비 바르땅의 이 노래. 조국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노래로 알려져 있는데... La Maritza 즉...

blog.naver.com

 

실비 바르땅의 이 노래.조국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노래로 알려져 있는데... La Maritza 즉 ‘마리짜 강’은 불가리아의 릴라산맥에서 발원해 발칸 반도를 가로질러 흐르는 길이 480km에 달하는 큰 강입니다. 불가리아의 상징 같은 강이죠.Sylvie Vartan은 1952년 부모와 함께 조국 불가리아를 떠나 프랑스로 이주, 이후 늘 조국을 그리워하며 삽니다.불가리아는 현재 NATO 회원국으로 EU 가입을 눈앞에 둔 친서방 국가지만, 그 당시만 해도 2차 세계대전 직후 소련 영향권 아래 들어간 공산권 국가로 자유로운 왕래가 불가능했습니다.

 

https://www.google.com/search?gs_ssp=eJzj4tFP1zcsNjCtyjEqTzdg9OLKSVTITSzKLKlKBABohwhF&q=la+maritza&rlz=1C1YKST_koKR867KR867&oq=La+Maritza&aqs=chrome.1.69i57j46i512j0i512j0i30i625l2j0i30j0i30i625l4.4720j0j7&sourceid=chrome&ie=UTF-8#wptab=si:AEcPFx7QaBdr5Wgr25cN_RlFO_P2s-oAEqsy7bbJv-TFJZIkaFO18BIwPfbNq4Vimxy4CI6vsN7VUmGQ_-nxBtqMkafQmzGNd-v7jiG_MEJaQa2GJxNcC7ksW_p_Yu1eTE9rS4SPwpQAldXwyw2_geVcsv8KEtQ31Xb1si6Lzf2GeaGNxhkn7rg%3D 

 

La Maritza

실비 바르탕의 노래

www.google.com

 

 

http://blog.naver.com/durrenmatt/120036076444

 

장나인 : 네이버 블로그

당신의 모든 기록을 담는 공간

blog.naver.com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꿈울 꾸었네  (3) 2009.04.21
밀바/서글픈 사랑  (0) 2009.04.05
사랑해도 될까요?  (0) 2009.04.04
탱고 모음  (0) 2009.04.04
손담비/토요일 밤에  (1) 2009.04.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