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자주] 옥사서원과 독락당, 계정, 그리고 안강에서 포항쪽으로 나가다 있는 양동민속마을은건축학자들이 많이 찾는다. 민속마을에는 'ㅁ'자 집까지 있어 3대 이상의 대가족이 한 집안에서 어떻게 살았는지를 잘보여주고 양반집과 상민들의 집구조의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도흥미롭다. 용인민속마을처럼 재구한 것이 아니라 두 언덕 안에다 구겨넣은 자연적 취락구조도 관심을 끈다. 문제는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자연에 순응하여 인공을 가미했다는 점이다.

 

계정은 집안 뜨락에 엉덩짝만 걸친 채 아예 몸집 전체가 담장 밖 계곡에 나앉아 금방이라도 계곡물에 발을 담글 형국이다. 담장의 살창이나 계곡으로 난 쪽문 말고도 정자의 열린 공간으로 끌어들인 자연은 독락당을 인공에서 한 발 비켜서게 만든다. 더구나 한석봉 글씨의 '溪亭' 현판을 달고 있는 계정의 시냇가 암반에 바투 박은 건물의 기둥은 그 길이가 각각이다. 요즘 같았으면 평토의 지반조성부터 하는 것이 상례지만 조선 중기 유학자들은 정자를 계곡에최대한 접근시키면서도 계곡의 암반을 훼손하지 않고기둥을 받치는 암반이 높으면 기둥을 짧게 하고 암반이 낮으면 기둥의 길이를 늘린 것이 예술의 경지이다.

 

앞의 포스트에서 담장 살창을 통하여 자연친화를 극대화시킨 것처럼 기둥하나를 박는데도 소홀함이 없었다. 옥사서원의 경우에는 계곡물을 담장 아래다 개울을 만들어 무변루 앞으로 흘러가게 했다. 외부공간과의 통로인 역락문(亦樂門)을 닫아두어도 쉬임없이 흘러가는 개울물을 통하여 자연과의 교감은 끊이지 않는다. 인간이 자연의 일부임을 이해한 사람들답게 그들이 얼마나 자연을 존중했는지 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林居十五詠> 중의 <관물>을 보면 뜨락의 정자 난간에 앉아 유영하는 물고기를 완상하는 회재 선생의 모습이 뇌리에 선명하게 그려진다. 조정에서 내친 사람을 누가 상대하려 할 것인가? 억지춘양으로 시작한 자연과의 교감이지만한자문화권에는 스타일 구기지 않고 자연 친화사상으로 승화시키는 행복한 삶의 양식이 있다. 조정에 나아가 벼슬하면 임금에게 충성하는 것이요, 자연에 물러나면 자연의 영원성 속에서자아를 찾아나서는 것이 유학자들의 삶이다. 자연 속에서 태어나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 인생일진대 콘크리트 벽에 갇혀버린 현대인들의 삶이 불쌍하기 그지없다.

 

담장 아래 계곡 가에 축대를 쌓기 전의 사진도 몇 장 퍼다 실었다. 신록이 마악 돋아나기 시작한 계정 풍경 사진은 20년도 더된 사진이다.

 

 

 

<林居十五詠> 중에서

-이 언 적(李彦迪)

 

계정(溪亭)

喜聞幽鳥傍林啼(희문유조방림제)

 

新構茅簷壓小溪(신구모첨압소계)

 

獨酌只邀明月伴(독작지요명월반)

 

一間聊共白雲棲(일간료공백운서)

 

숲 가에서 그윽한 새소리 즐겨 듣노니

새로 만든 초가집이 작은 개울가에 솟았네.

혼자 술을 따르며 밝은 달 맞아 벗하자니

잠깐새 다만 흰구름만 찾아와 깃드누나.

 

 

觀物 관물

 

唐虞事業巍千古(당우사업위천고)

 

一點浮雲過太虛(일점부운과태허)

 

蕭灑小軒臨碧澗(소쇄소헌임벽간)

 

澄心竟日玩游魚 (징심경일완유어)

 

옛 성현의 업적이 천년에 빛나건만

한점 뜬구름 같은 인생 허무 속을 헤맨다.

맑은 개울가에끼끗한 정자 앉혀 두고

맑은 마음으로 종일토록 노니는 물고기만 완상하네.

 

 

 

 

박인로의 <독락당> 가사 작품도 있다.

http://blog.naver.com/swwyang/100007912844

 

[소실점]독락당 III

[김영택 - 독락당 계정] 독락당(獨樂堂) 박인로 자욱한 명승지에 독락당이 소쇄함을 들은지 오래로되 이 몸...

blog.naver.com

 

 독락당(獨樂堂)

ㅡ박인로

 

          자욱한 명승지에 독락당이 소쇄함을 들은지 오래로되

          이 몸이 무부로서 해변사가 공극거늘

          일편단심 분의를 못내하여

          금창철마로 여가없이 분주타가

          중심 경양이 백수에 더욱 깊어                

          죽장망혜로 오늘사 찾아오니

          봉만은 수려하여 무이산이 되어있고

          유수는 반회하여 후이천이 되었나다

 

          이러한 명구에 임자 여이 없돗던고

          일쳔년 신라와 오백재 고려에

          현인 군자들이 많이도 지냈마는

          천간지비하여 야선생께 기치도다

          물각유주이여든 다툴 이 있을소냐

 

          정라를 헤혀 들어 독락당을 열어 내니

          유한 경치는 견할 데 뇌야 없네

          천간 수죽은 벽계 좇아 둘러 있고

          만권서책은 사벽에 쌓였으니

          안증이 재좌하고 유하는 재우할 듯

          상우천고하며 음영을 일을 삼아

          한중정리에 잠사자득 하여 혼자 즐겨 하시었다

          독락 이 이름 칭정한 줄 긔 뉘 알리

          사마온공 독락원이 아무려 좋다 한들

          그간 진락이야 이 독락에 더로손가

 

          심진을 못내 하여 양진암에 놀아 들어

          임풍정간하니 내 뜻도 형연하다

          퇴계선생 수필이 진득인줄 알리로다

          관어대 나려 오니 깔온 듯한 반석에 장구흔이 보이는 듯

          수재장송은 옛 빛을 띠었으니

          의연이 물색이 긔 더욱 반가울사

          신청기상하여 지란실에 든 듯하다

 

          다소 고적을 보며 문득 생각하니

          층간절벽은 운모병이 절로 되어

          용면 묘수로 그린 듯이 별여 있고

          백척 증담에 천광 운영이 어리어 잠겼으니

          광풍제월이 부는 듯 바새는 듯

          연비어약을 말 없은 벗을 삼아

          침잔완색하여 성현 사업 하시덧다

          청계를 비끼 건너 조기도 완연할사

          묻노라 백구들아 옛일을 아니산다

          엄자릉이 어느 해에 한실로 가단말고

          태심기상에 모연만 잠겼어라

 

          춘복을 새로 입고 영귀대에 올라 오니

          여경은 고금 없어 청홍만 절로하니

          풍호영이귀를 오늘 다시 본 듯하다

          대하 연당에 세우 잠간 지나가니

          벽옥 같은 넓은 잎에 흩채나니 명주로다

          이러한 청경을 보암 즉도 하다마는

          염계 가신 후에 몇몇해를 지낸게오

          의구청향이 다만 혼자 남았고야

          자연이 비낀 아래 폭포를 멀리 보니

          단애 높은 끝에 긴 내히 걸렸는듯

          향로봉 긔 어디오 여산이 예로던가

          징심대 구어보니 비린턴 흉금이 새로온 닷하다마는

          적막공대에 외로이 앉았으니

          풍청경면에 산영만 잠겨 있고

          녹수음중에 왼갓 새 슬피 운다

          배회사억하며 진적을 다 찾으니

          탁영대 연천은 고금 없이 맑다마는

          말로흥진에 사람마다 분경커든

          이리 조한 청담에 탁영한 줄 긔 뉘 알리

 

          사자암 높이 올라 도덕산을 바라보니

          옥온함휘는 어제론 듯 하다마는

          봉거산공하니 두견만 나죄 운다

          도화동 나린 물이 불사주야하여 낙화조차 흘러오니

          천태인가 무릉인가 이 땅이 어딘게오

          선종이 아득하니 아무덴 줄 몰라로다

          인자도 아닌 몸이 무슨 이들 알리마는

          요산망귀하여 기암을 다시 비겨

          천원 원근에 경치를 살펴보니

          만자천홍은 비단 빛이 되어 있고

          중훼군방은 곡풍에 날려 오고

          산사 종성은 구름 밖에 들리나다

          이러한 형승을 범회문의 문필인들 다 써내기 쉬울런가

          만안풍경이 객흥을 도우는 듯

          임의 소요하여 짐즉 더디 돌아오니

          거목서잠에 석양이 거의로다

 

          독락당 고쳐 올라 좌우들 살펴보니

          선생 풍채들 친히 만나 뵈옵는 듯

          갱장에 엄연하여 부앙 탄식하며

          당시 하시던 일 다시금 사상하니

          명창정궤에 세려를 잊으시고

          성현서에 착의하여 공효들 일워내어

          계황개래하여 오도를 밝히시니

          오동방 악지군자는 다만 인가 여기로다

          하물려 효제를 본을 삼고 충성을 벱허내어

          성조에 나아 들러 직설의 몸이되어

          당우성시를 이룰까 바라더가

          시운이 불행하여 충현을 원척하니

          듯는 이 보는 이 심산궁곡엔들 뉘 아니 비감하리

          칠년 장사에 불견천일하고

          페문심성하사 도덕만 닦으시니

          사불승정이라 공론도 절로 일어

          존숭도덕을 사람마다 할 줄 알아

          강계는 적소로대 교화를 못내 잊어

          궁항절역에 사우조차 서워시니

          사림추앙이야 더욱 일러 무삼하리

          자옥 천석 위에 서원을 지어 두고

          제제청금이 현송성을 이었으니

          염락군현이 이 따에 뫼왔는 듯

 

          구인당 돌아 올라 체인묘도 엄숙할사

          천추혈식이 우연아닌 일이로다

          추숭존경을 할수록 못내 하여

          문묘종향이 긔 더욱 성사로다

          오동방 문헌이 한당송에 비기로세

          자양 운곡도 어즈버 여기로다

          세심대 나린 물에 덕택이 이어 흘러

          용추 깊은 곳에 신물조차 잠겼으니

          천공조화가 긔 더욱 기이코야

 

          무변진경을 다 찾기 어려울 새

          낙이망반하여 순월을 엄류하며

          고루한 이 몸에 성경을 널리하여

          선생 문집을 자세히 살펴보니

          천언만어 다 성현의 말씀이라

          도맥공정이 일월같이 밝았으니

          어두운 밤길에 명촉 잡고 옌 듯하다

 

          진실로 이 유훈을 강자리에 가득 담아

          성의정심하여 수성을 넓게 하면

          언충행독하여 사람마다 어질로다

          선생 유화 지극함이 어떠하뇨

          차재 후생들아 추앙을 더욱 높여

          만세 천추에 산두 같이 바래사라

          천고지후도 유시진 하려니와

          독락당 청풍은 가없을까 하노라

[출처] [소실점]독락당 III|작성자 찌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956

 

독락당(獨樂堂)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노계집(蘆溪集)』권3에 실려 있다. 3음보 혹은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123행으로, 박인로가 지은 가사 가운데 최장편이다. 주제는 작자가 이언적(李彦迪)의 유적인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encykorea.aks.ac.kr

 

 

 











































'국내여행 > 경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추 & 세심대  (3) 2009.03.15
독락당 04  (0) 2009.03.15
사자를 공격하는 겁없는 멧돼지새끼  (0) 2009.03.13
내 마음의 고향, 계정! 01  (1) 2009.03.13
독락당 02  (3) 2009.03.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