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ydong77.tistory.com/2583

 

김시습,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이생이 담장 안을 엿본 이야기)

[주]담장은 빈부의 세계, 서민과 귀족, 현실세계와 이상세계의 경계다. 담장 안은 이생이 경험하지 못한 이상세계였다. 담장을 넘어 최랑과 시를 창수하니 신선세계에서 선녀를 만난 기분이었다

kydong77.tistory.com

 

 

 

[주]연애[풋사랑]-울산 농장, 결혼-홍건적의 난에 피살, 인귀교환-명수 다해 영별. 이 작품은 세 차례에 걸친 만남과 이별의 변주곡이다.

 

 

2]이생, 최랑과 이별하다

1)이생의 행동이 탄로나 울주로 보내지다

 

一夕

(일석) : 어느 날 저녁에

李生之父

(이생지부) : 이생의 아버지가

問曰

(문왈) : 이생을 꾸짖으며 말하였다.

汝朝出而暮還者

(여조출이모환자) : "네가 아침에 나갔다가 저녁에 돌아오는 것은

將以學先聖仁義之格言

(장이학선성인의지격언) : 옛 성인의 어질고 의로운 가르침을 배우기 위해서이다.

昏出而曉還

(혼출이효환) : 그런데 요즘은 저녁에 나갔다가 새벽에 돌아오니,

當爲何事

(당위하사) : 이게 어찌 된 일이냐?

必作輕薄子

(필작경박자) : 반드시 경박한 놈들의 행실을 배워

踰垣牆

(유원장) : 남의 집 담을 넘어서

折樹壇耳

(절수단이) : 아가씨나 엿보고 다닐게다.

事如彰露

(사여창로) : 이런 일이 만일 탄로되면

人皆譴我敎子之不嚴

(인개견아교자지불엄) : 남들은 모두 내가 자식을 엄하게 가르치지 못했다고 책망할 것이다.

而如其女

(이여기녀) : 또 그 처녀도

定是高門右族

(정시고문우족) : 지체 높은 집안의 딸이라면

則必以爾之狂狡

(칙필이이지광교) : 반드시 네 미친 짓 떄문에

穢彼門戶

(예피문호) : 그 집안을 더럽히게 될 것이다.

獲戾人家

(획려인가) : 남의 집에 죄를 지었으니,

其事不小

(기사불소) : 이 일이 작지 않다.

 

速去嶺南

(속거영남) : 너는 빨리 영남으로 내려가서

率奴隷監農

(솔노례감농) : 종들을 데리고 농사나 감독하거라.

勿得復還

(물득복환) : 다시는 돌아오지 말아라."

卽於翌日

(즉어익일) : 그 이튿날

謫送蔚州

(적송울주) : 이생의 아버지가 이생을 울주로 내려보냈다.

 

2)최랑이 상사병이 나다

 

女每夕

(녀매석) : 최랑은 저녁마다

於花園待之

(어화원대지) : 화원에서 이생을 기다렸지만,

數月不還

(수월불환) : 여러 달이 되어도 돌아오지 않았다.

女意其得病

(녀의기득병) : 최랑은 이생이 병에 걸렸다고 생각하여,

命香兒

(명향아) : 향아를 시켜

密問於李生之鄰

(밀문어이생지린) : 이생의 이웃들에게 물래 물어 보게 하였다.

 

鄰人曰

(린인왈) : 이웃들이 이렇게 대답하였다.

李郞

(이랑) : "이도령은

得罪於家君

(득죄어가군) : 그 아버지에게 죄를 지어

去嶺南

(거영남) : 영남으로 떠난 지가

已數月矣

(이수월의) : 벌써 여러 달이나 되었다오."

 

女聞之

(녀문지) : 최랑은 이 소식을 듣고

臥疾在床

(와질재상) : 병을 얻어 침상에 누웠다.

轉轉不起

(전전불기) : 엎치락뒤치락하며 일어나지 못하고,

水醬不入於口

(수장불입어구) : 음식도 먹지 못하였다.

言語支離

(언어지리) : 말도 앞뒤가 맞지 않았으며,

肌膚憔悴

(기부초췌) : 얼굴이 초췌해졌다.

 

父母怪之

(부모괴지) : 최랑의 부모가 이상하게 여겨

問其病狀

(문기병상) : 그 병의 증상을 물었지만,

喑喑不言

(암암불언) : 묵묵히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

搜其箱篋

(수기상협) : 딸의 상자 속을 들추어보았더니,

得李生前日唱和詩

(득이생전일창화시) : 이생과 지난날에 주고받은 시들이 있었다.

 

擊節驚訝曰

(격절경아왈) : 최랑의 부모들이 그제야 놀라서 무릎을 치며 말하였다.

幾乎失我女子矣

(기호실아녀자의) : "어이구. 우리 딸자식을 잃어버릴 뻔했구려."

問曰

(문왈) : 그리고는 딸에게 물었다.

李生誰耶

(이생수야) : "이생이 누구냐?"

至是

(지시) : 이렇게 되자

女不能復隱

(녀불능부은) : 최랑도 더 이상 숨길 수 없어

細語在咽中

(세어재인중) : 목구멍에서 겨우 나오는 소리로

告父母曰

(고부모왈) : 부모에게 아뢰었다.

 

父親母親(부친모친) : "아버님과 어머님께서

鞠育恩深(국육은심) : 길러 주신 은혜가 깊으니,

不能相匿(불능상닉) : 어찌 사실을 슴기겠습니까?

竊念男女相感(절념남녀상감) : 저 혼자 생각해보니 남녀가 서로 사랑을 느끼는 것은

人情至重(인정지중) : 인정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합니다.

是以(시이) : 그러므로

摽梅迨吉

(표매태길) : '결혼할 좋은 시기를 놓치지 말라'는 말은

咏於周南

(영어주남) : "『시경(詩經)』의 주남(周南)편에도 나타나고,

咸腓之凶

(함비지흉) : '여자가 정조를 지키지 못하면 흉하다'는 말은

刑於羲易

(형어희역) : 『주역(周易)』에서도 경계하였습니다.

自將蒲柳之質

(자장포류지질) : 저는 버들처럼 가냘픈 몸으로

不念桑落之詩

(불념상낙지시) : 얼굴빛이 시드는 것은 생각지 않고서

行露沾衣

(행로첨의) : 절개를 지키지 못하여,

竊被傍人之嗤

(절피방인지치) : 옆사람들에게 비웃음을 받게 되었습니다.

 

絲蘿托木

(사라탁목) : 새삼 덩굴이 다른 나무에 의지해서 살듯이

已作渭兒之行

(이작위아지행) : 저는 벌써 위당(渭塘)의 처녀 노릇을 가게 되었으니,

罪已貫盈

(죄이관영) : 죄가 이미 가득 차

累及門戶

(루급문호) : 집안에까지 누를 끼치게 되었습니다.

 

然而彼狡童兮

(연이피교동혜) : 그러나 저 아름다운 도련님과

一偸賈香

(일투가향) : 한 번 정을 통한 뒤부터는

千生喬怨

(천생교원) : 도련님께 대한 원망이 천만 번 생기게 되었습니다.

 

以眇眇之弱軀

(이묘묘지약구) : 연약한 몸으로

忍悄悄之獨處

(인초초지독처) : 괴로움을 참으며 홀로 살아가려니,

情念日深

(정념일심) : 그리운 정은 나날이 깊어 가고

沈痾日篤

(침아일독) : 아픈 상처를 나날이 더해 가서

濱於死地

(빈어사지) : 죽을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將化窮鬼

(장화궁귀) : 이제는 원한 맺힌 귀신으로 화(化)해 버릴 것 같습니다.

父母如從我願

(부모여종아원) : 부모님께서 제 소원을 들어주신다면

終保餘生

(종보여생) : 남은 목숨을 보존하게 되고,

倘違情款

(당위정관) : 이 간절한 청을 거절하신다면

斃而有已

(폐이유이) : 죽음만이 있을 뿐입니다.

 

當與李生

(당여이생) : 이생과

重遊黃壞之下

(중유황괴지하) : 저승에서 다시 만나 노닐지언정,

誓不登他門也

(서불등타문야) : 맹세코 다른 가문에는 오르지 않겠습니다.ꡓ

 

於是

(어시) : 그러자

父母已知其志

(부모이지기지) : 부모도 이미 그의 뜻을 알았으므로

不復問病

(불부문병) : 다시는 병의 증세를 묻지 않았다.

且警且誘

(차경차유) : 타이르고 달래면서

以寬其心

(이관기심) : 그의 마음을 누그러뜨려 주었다.

 

3]끊어진 사랑이 이어지다

1)이랑집에 중매를 보내 성혼, 이생 문과급제하여 입신양명하다

 

復修媒妁之禮

(복수매작지례) : 그리고는 중매쟁이의 예를 갖추어

問于李家

(문우이가) : 이생의 집으로 보냈다.

李氏問崔家門戶優劣曰

(이씨문최가문호우열왈) : 이생의 아버지가 최씨 집안이 얼마나 번성한지 물은 뒤에 말하였다.

吾家豚犬

(오가돈견) : "우리 집 아이가

雖年少風狂

(수년소풍광) : 비록 어린 나이에 바람이 났지만,

學問精通

(학문정통) : 학문에 정통하고

身彩似人

(신채사인) : 사람답게 생겼소.

所冀捷龍頭於異日

(소기첩용두어이일) : 앞으로 장원급제할 것이며

占鳳鳴於他年

(점봉명어타년) : 훗날 이름을 세상에 떨칠 것이니,

不願速求婚媾也

(불원속구혼구야) : 서둘러 혼처를 정하고 싶지 않소."

 

媒者

(매자) : 중매장이가

以言返告

(이언반고) : 돌아가서 그대로 아뢰자,

崔氏復遣曰

(최씨복견왈) : 최씨가 다시 중매인을 이씨 집으로 보내어 말하게 하였다.

一時朋伴

(일시붕반) : "한 시대의 친구들이

皆稱令嗣才華邁人

(개칭령사재화매인) : 모두들 '그 댁의 영식(令息)은 재주가 남달리 뛰어나다'고 칭찬하였습니다.

今雖蟠屈

(금수반굴) : 아직은 또아리를 틀고 있지만,

豈是池中之物

(기시지중지물) : 어찌 끝까지 연못 속에 잠겨만 있겠습니까?

宜速定嘉會之晨

(의속정가회지신) : 빨리 혼삿날을 정해

以合二姓之好

(이합이성지호) : 두 집안의 즐거움을 이루는 것이 좋겠습니다."

 

媒者

(매자) : 중매쟁이가

又以其言

(우이기언) : 또 그 말을

返告李生之父

(반고이생지부) : 돌아가서 이생의 아버지에게 전하였더니,

父曰

(부왈) : 이생의 아버지가 말하였다.

吾亦自少

(오역자소) : "나도 젊었을 때부터

把冊窮經

(파책궁경) : 책을 잡고 학문을 닦았지만,

年老無成

(년노무성) : 나이 늙도록 성공하지 못하였소.

奴僕逋逃

(노복포도) : 종들도 흩어지고

親戚寡助

(친척과조) : 친척의 도움도 적어,

生涯疎闊

(생애소활) : 생업이 신통치 않고

家計伶俜

(가계령빙) : 살림도 궁색해졌소.

而況巨家大族

(이황거가대족) : 그러니 문벌 좋고 번성한 집안에서

豈以一人寒儒

(기이일인한유) : 어찌 한갓 빈한한 선비를

留意爲贅郞乎

(유의위췌랑호) : 사위로 삼으려 하시겠소?

是必好事者

(시필호사자) : 이는 반드시 일 만들기 좋아하는 이들이

過譽吾家

(과예오가) : 우리 집안을 지나치게 칭찬해서

以誣高門也

(이무고문야) : 귀댁을 속이려는 것일 거요."

 

媒又告崔家

(매우고최가) : 중매쟁이가 돌아와서 또 최씨 집안에 전하자.

崔家曰

(최가왈) : 최씨 집안에서는 이렇게 말하였다.

納采之禮

(납채지례) : "예물 드리는 모든 절차와

漿束之事

(장속지사) : 옷차림은

吾盡辨矣

(오진변의) : 모두 저희 집에서 갖추겠습니다.

宜差穀旦

(의차곡단) : 좋은 날을 가려서

以定花燭之期

(이정화촉지기) : 화촉의 시기만 정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媒者

(매자) : 중매쟁이가

又返告之

(우반고지) : 또 돌아가서 이 말을 전하였다.

李家至是

(이가지시) : 이씨 집안에서도 이렇게까지 되자

稍回其意

(초회기의) : 뜻을 돌려,

卽遣人

(즉견인) : 곧 사람을 보내어

召生問之

(소생문지) : 이생을 불러다 그의 생각을 물었다.

 

生喜不自勝

(생희부자승) : 이생을 스스로 기쁨을 이기지 못하여

乃作詩曰

(내작시왈) : 곧 시 한 수를 지었다.

 

破鏡重圓會有時

(파경중원회유시) : 깨어진 거울이 다시 둥글게 되니 만남도 때가 있어

天津烏鵲助佳期

(천진오작조가기) : 은하의 까마귀와 까치들이아름다움 기약을 도와주었네.

從今月老纏繩去

(종금월노전승거) : 이제야 월하노인(月下老人)이 붉은 실을 잡아매었으니

莫向東風怨子規

(막향동풍원자규) : 봄바람이 건듯 불더라도 소쩍새를 원망 마소.

 

女聞之

(여문지) : 최랑이 이 시를 듣고는

病亦稍愈

(병역초유) : 병도 차츰 나아져,

又作詩曰

(우작시왈) : 자기도 시를 지었다.

 

惡因緣是好因緣

(악인연시호인연) : 나쁜 인연이 바로 좋은 인연이던가?

盟語終須到底圓

(맹어종수도저원) : 그 옛날 맹세가 마침내 이루어졌네.

共輓鹿車何日是

(공만녹차하일시) : 어느 때나 님과 함께 작은 수레를 끌고 갈까?

倩人扶起理花鈿

(천인부기리화전) : 아이야, 나를 일으켜 다오 꽃비녀를 손질하련다.

 

於是

(어시) : 이에

擇吉日

(택길일) : 좋은 날을 가려

遂定婚禮

(수정혼례) : 마침내 혼례를 이루니,

而續其絃焉

(이속기현언) : 끊어졌던 사랑이 다시 이어지게 되었다.

 

自同牢之後

(자동뢰지후) : 그들은 부부가 된 이후에

夫婦愛而敬之

(부부애이경지) : 서로 사랑하면서도 공경하여

相待如賓

(상대여빈) : 마치 손님처럼 대하니,

雖鴻光鮑桓

(수홍광포환) : 비록 양홍 . 맹광이나 포선(鮑宣).환소군(桓少君)이라도

不足言其節義也

(부족언기절의야) : 그들의 절개와 의리를 따를 수가 없었다.

生翌年

(생익년) : 이생이 이듬해

捷高科

(첩고과) : 문과에 급제하여

登顯仕

(등현사) : 높은 벼슬에 오르자,

聲價聞于朝著

(성가문우조저) : 그의 이름이 조정에 알려졌다.

 

4]최랑,홍건적의 난에 정조를 지켜 목숨을 잃다

 

辛丑年

(신축년) : 신축년(1361)에

紅賊據京城

(홍적거경성) : 홍건적이 서울을 점거하자

王移福州

(왕이복주) : 임금은 복주(福州)로 피난 갔다.

賊焚蕩室廬

(적분탕실려) : 적들은 집을 불태워 없애버렸으며,

臠炙人畜

(련자인축) : 사람을 죽이고 가축을 잡아먹었다.

 

夫婦親戚

(부부친척) : 부부와 친척끼리도

不能相保

(불능상보) : 서로 보호하지 못했고

東奔西竄

(동분서찬) : 동서로 달아나 숨어서

各自逃生

(각자도생) : 제각기 살길을 찾았다.

 

生挈家

(생설가) : 이생은 가족들을 데리고

隱匿窮崖

(은닉궁애) : 외진 산골로 숨었는데,

有一賊

(유일적) : 한 도적이

拔劍而逐

(발검이축) : 칼을 빼어들고 뒤를 쫓아왔다.

生奔走得脫

(생분주득탈) : 이생은 달아나 목숨을 건졌지만,

女爲賊所虜

(여위적소로) : 최랑은 도적에게 사로잡혔다.

 

欲逼之

(욕핍지) : 도적이 최랑의 정조를 빼앗으려 하자,

女大罵曰

(여대매왈) : 최랑이 크게 꾸짖었다.

虎鬼殺啗我

(호귀살담아) : "창귀같은 놈아. 나를 죽여 먹어라.

寧死葬於豺狼之腹中

(영사장어시랑지복중) : 내 차라리 죽어서 시랑(豺狼)의 밥이 될지언정

安能作狗彘之匹乎

(안능작구체지필호) : 어찌 개돼지 같은 놈의 짝이 되겠느냐?"

賊怒

(적노) : 도적이 노하여

殺而剮之

(살이과지) : 최랑을 죽이고 살을 도려내었다.

 

生竄于荒野

(생찬우황야) : 이생은 거친 들판에 숨어서

僅保餘軀

(근보여구) : 겨우 목숨을 보전하다가,

聞賊已滅

(문적이멸) : 도적이 이미 다 없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遂尋父母舊居

(수심부모구거) : 부모님이 사시던 옛집을 찾아갔다.

其家已爲兵火所焚

(기가이위병화소분) : 그러나 그 집은 이미 싸움 통에 불타 없어졌다.

 

又至女家

(우지녀가) : 또 최랑의 집에도 가보았더니

廊廡荒凉

(랑무황량) : 행랑채는 황량했으며,

鼠喞鳥喧

(서즐조훤) : 쥐와 새들의 울음소리만 들려왔다.

悲不自勝

(비부자승) : 이생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登于小樓

(등우소루) : 작은 누각으로 올라가서

收淚長噓

(수루장허) : 눈물을 거두며 길게 한숨을 쉬었다.

奄至日暮

(엄지일모) : 날이 저물도록

塊然獨坐

(괴연독좌) : 우두커니 홀로 앉아

佇思前遊

(저사전유) : 지나간 일들을 생각해 보니

宛如一夢

(완여일몽) : 완연히 한바탕 꿈만 같았다.

 

5]이생, 최랑의 환신과 만나다

 

將及二更

(장급이경) : 이경쯤 되자

月色微吐

(월색미토) : 달빛이 흐릿하게 토하여

光照屋梁

(광조옥량) : 빛이 들보를 비추는데

漸聞廊下有跫然之音

(점문랑하유공연지음) : 낭하에서 발자국 소리가 들려왔다.

自遠而近

(자원이근) : 그 소리는 멀리서부터 차츰 가까이 다가왔다.

至則崔氏也

(지칙최씨야) : 이르고 보니 바로 최랑이었다.

 

生雖知已死

(생수지이사) : 이생은 그가 이미 죽은 것을 알고 있었지만,

愛之甚篤

(애지심독) : 너무도 사랑하는 마음에

不復疑訝

(부복의아) : 의심하지도 않고

遽問曰

(거문왈) : 급히 물어 보았다.

避於何處

(피어하처) : "당신은 어디로 피난 가서

全其軀命

(전기구명) : 목숨을 보전하였소?"

 

女執生手

(여집생수) : 여인이 이생의 손을 잡고

慟哭一聲

(통곡일성) : 한바탕 통곡하더니,

乃敍情曰

(내서정왈) : 이내 사정을 이야기하였다.

妾本良族

(첩본량족) : "저는 본디 양가의 딸로서

幼承庭訓

(유승정훈) : 어릴 때부터 가정의 교훈을 받아

工刺繡裁縫之事

(공자수재봉지사) : 수놓기와 바느질에 힘썼고,

學詩書仁義之方

(학시서인의지방) : 시서(詩書)와 예법을 배웠어요.

但識閨門之治

(단식규문지치) : 그래서 규방의 법도만 알뿐이지,

豈解境外之修

(기해경외지수) : 그 밖의 일이야 어찌 알겠어요?

 

然而一窺紅杏之墻

(연이일규홍행지장) : 마침 당신이 붉은 살구꽃이 핀 담 안을 엿보았으므로,

自獻碧海之珠

(자헌벽해지주) : 제가 푸른 바다의 구슬을 바친 거지요.

花前一笑

(화전일소) : 꽃 앞에서 한번 웃고

恩結平生

(은결평생) : 평생의 가약을 맺었고,

帳裏重遘

(장리중구) : 휘장 속에서 다시 만날 때에는

情愈百年

(정유백년) : 정이 백년을 넘쳤었지요.

 

言至於此

(언지어차) : 여기까지 말하고 보니

悲慙曷勝

(비참갈승) : 슬프고도 부끄러워 견딜 수가 없군요.

將謂偕老而歸居

(장위해로이귀거) : 장차 백년을 함께 하자고 하였는데,

豈意橫折而顚溝

(기의횡절이전구) : 뜻밖에 횡액을 만나 구렁에 넘어질 줄이야 어찌 알았겠어요?

終不委身於豺虎

(종불위신어시호) : 늑대 같은 놈들에게 끝까지 정조를 잃지 않았지만,

自取磔肉於泥沙

(자취책육어니사) : 제 몸은 진흙탕에서 찢겨졌답니다.

固天性之自然

(고천성지자연) : 천성이 저절로 그렇게 된 것이지,

匪人情之可忍

(비인정지가인) : 인정으로야 어찌 그럴 수 있었겠어요?

 

却恨一別於窮崖

(각한일별어궁애) : 저는 당신과 외딴 산골에서 헤어진 뒤에

竟作分飛之匹鳥

(경작분비지필조) : 짝 잃은 새가 되었었지요.

家亡親沒

(가망친몰) : 집도 없어지고 부모님도 돌아가셨으니,

傷殢魄之無依

(상체백지무의) : 피곤한 혼백을 의지할 곳도 없는 게 한스러웠답니다.

義重命輕

(의중명경) : 절의(節義)는 중요하고 목숨은 가벼우니,

幸殘軀之免辱

(행잔구지면욕) : 쇠잔한 몸뚱이일망정 치욕을 면한 것을 다행스럽게 여겼지요.

誰憐寸寸之灰心

(수련촌촌지회심) : 그러나 마디마디 끊어진 제 마음을 그 누가 불쌍하게 여겨 주겠어요?

徒結斷斷之腐腸

(도결단단지부장) : 한갓 애끊는 썩은 창자에만 맺혀 있을 뿐이지요.

 

骨骸暴野

(골해폭야) : 해골은 들판에 내던져졌고

肝膽塗地

(간담도지) : 간과 쓸개는 땅바닥에 널려졌으니,

細料昔時之歡娛

(세료석시지환오) : 가만히 옛날의 즐거움을 생각해 보면

適爲當日之愁寃

(적위당일지수원) : 오늘의 슬픔을 위해 있었던 것 같군요.

 

今則鄒律已吹於幽谷

(금칙추률이취어유곡) : 이제 봄바람이 깊은 골짜기에 불어오기에,

倩女再返於陽閒

(천녀재반어양한) : 저도 이승으로 돌아왔지요.

蓬萊一紀之約綢繆

(봉래일기지약주무) : 봉래산 십이년의 약속이 얽혀 있고

聚窟三生之香芬郁

(취굴삼생지향분욱) : 삼세(三世)의 향이 향그러우니,

重契闊於此時

(중계활어차시) : 오랫동안 뵙지 못한 정을 이제 되살려서

期不負乎前盟

(기부부호전맹) : 옛날의 맹세를 저버리지 않겠어요.

如或不忘

(여혹불망) : 당신이 지금도 그 맹세를 잊지 않으셨다면,

終以爲好

(종이위호) : 저도 끝까지 잘 모시고 싶답니다.

李郞其許之乎

(이랑기허지호) : 당신도 허락하시겠지요?"

 

生喜且感曰

(생희차감왈) : 이생이 기쁘고도 고마워하며 말하였다.

固所願也

(고소원야) : "그게 애당초 내 소원이오."

相與款曲抒情

(상여관곡서정) : 그리고는 서로 정답게 심정을 털어놓았다.

言及家産被寇掠有無

(언급가산피구략유무) : 재산을 얼마나 도적들에게 빼앗겼는지 이야기가 나오자,

 

女曰

(녀왈) : 여인이 말하였다.

一分不失

(일분부실) : "조금도 잃지 않고

埋於某山某谷也

(매어모산모곡야) : 어느 산 어느 골짜기에 묻어 두었답니다."

 

又問

(우문) : 이생이 또 물었다.

兩家父母骸骨安在

(양가부모해골안재) : "두 집 부모님의 해골을 어디에 모셨소?"

女曰

(여왈) : 여인이 말하였다.

暴棄某處

(폭기모처) : "어느 곳에다 그냥 버려 두었지요."

 

敍情罷

(서정파) : 정겨운 이야기를 끝낸 뒤에

同寢極歡如昔

(동침극환여석) : 잠자리를 같이 하였는데, 지극한 즐거움이 예전과 같았다.

 

明日

(명일) : 이튿날

與生俱往尋瘞處

(여생구왕심예처) : 여인이 이생과 함께 자기가 묻혀 있던 곳을 찾아갔는데,

果得金銀數錠及財物若干

(과득금은수정급재물약간) : 과연 금과 은 몇 덩어리가 있었고, 물도 약간 있었다.

又得收拾兩家父母骸骨

(우득수습양가부모해골) : 그들은 두 집 부모님의 해골을 거두고

貿金賣財

(무김매재) : 금과 재물을 팔아

各合葬於五冠山麓

(각합장어오관산록) : 각각 오관산 기슭에 합장하였다.

封樹祭獻

(봉수제헌) : 나무를 세우고 제사를 드려

皆盡其禮

(개진기례) : 예절을 모두 다 마쳤다.

 

其後

(기후) : 그 뒤에

生亦不求仕官

(생역불구사관) : 이생도 또한 벼슬을 구하지 않고

與崔氏居焉

(여최씨거언) : 최씨와 함께 살게 되었다.

幹僕之逃生者

(간복지도생자) : 목숨을 구하려고 달아났던 종들도

亦自來赴

(역자래부) : 또한 스스로 돌아왔다.

 

生自是以後

(생자시이후) : 이생은 이때부터

懶於人事

(라어인사) : 인간세상의 모든 일을 다 잊어버렸으며,

雖親戚賓客賀弔

(수친척빈객하조) : 아무리 친척이나 손님들의 길흉사가 있더라도

杜門不出

(두문불출) : 방문을 닫아걸고 나가지 않았다.

常與崔氏

(상여최씨) : 언제나 최씨와 더불어

或酬或和

(혹수혹화) : 시를 지어 주고받으며

琴瑟偕和

(금슬해화) : 금실 좋게 지내었다.

 

6]이생, 최랑과 영별하다

 

荏苒數年

(임염수년) : 그럭저럭 몇 년이 지난

一夕

(일석) : 어느 날 저녁에

女謂生曰

(녀위생왈) : 여인이 이생에게 말하였다.

三遇佳期

(삼우가기) : "세 번이나 가약을 맺었지만

世事蹉跎

(세사차타) : 세상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歡娛不厭

(환오불염) : 즐거움이 다하기도 전에

哀別遽至

(애별거지) : 슬프게 헤어져야만 하겠어요."

遂嗚咽

(수오인) : 여인이 목메어 울자

生驚問曰

(생경문왈) : 이생이 놀라면서 물었다.

何故至此

(하고지차) : "어찌 이렇게 되었소?"

 

女曰

(녀왈) : 여인이 대답하였다.

冥數不可躱也

(명수불가타야) : "저승길은 피할 수가 없답니다.

天帝以妾與生

(천제이첩여생) : 하느님께서 저와 당신의

緣分未斷

(연분미단) : 연분이 끊어지지 않았고

又無罪障

(우무죄장) : 또 전생에 아무런 죄도 지지 않았다면서,

假以幻體

(가이환체) : 이 몸을 환생시켜

與生暫割愁腸

(여생잠할수장) : 당신과 잠시라도 시름을 풀게 해주었었지요.

非久留人世

(비구류인세) : 그러나 제가 오랫동안 인간 세상에 머물면서

以惑陽人

(이혹양인) : 산 사람을 미혹시킬 수는 없답니다."

 

命婢兒進酒

(명비아진주) : 그리고는 몸종 향아를 시켜서 술을 올리게 하고는,

歌玉樓春一闋

(가옥루춘일결) : 「옥루춘곡(玉樓春曲)」에 맞추어 노래 한 가락을 지어 부르며

以侑生

(이유생) : 이생에게 술을 권하였다.

 

歌曰

(가왈) : 노래는 이러했다

 

干戈滿目交揮處

(간과만목교휘처) : 칼과 창이 어우러져 싸움이 가득한 판에

玉碎花飛鴛失侶

(옥쇄화비원실려) : 옥 부서지고 꽃 떨어지니 원앙도 짝을 잃었네.

殘骸狼籍竟誰埋

(잔해랑적경수매) : 흩어진 해골을 그 누가 묻어 주랴.

血汚遊魂無與語

(혈오유혼무여어) : 피에 젖어 떠도는 혼이 하소연할 곳도 없었네.

高唐一下巫山女

(고당일하무산녀) : 무산의 선녀가 고당에 한번 내려온 뒤에

破鏡重分心慘楚

(파경중분심참초) : 깨어진 종(鐘)이 거듭 갈라지니 마음 더욱 쓰라려라.

從玆一別兩茫茫

(종자일별양망망) : 이제 한번 작별하면 둘이 서로 아득해질 테니

天上人間音信阻

(천상인간음신조) : 하늘과 인간세상 사이에 소식마저 막히리라.

 

每歌一聲

(매가일성) : 노래를 한마디 부를 때마다

飮泣數下

(음읍수하) : 눈물이 자꾸 내려

殆不成腔

(태불성강) : 거의 곡조를 이루지 못하였다.

生亦悽惋不已曰

(생역처완불이왈) : 이생도 또한 슬픔을 걷잡지 못하며 말하였다.

寧與娘子

(영여낭자) : "내 차라리 당신과 함께

同入九泉

(동입구천) : 황천(荒天)으로 갈지언정

豈可無聊獨保殘生

(기가무료독보잔생) : 어찌 무료하게 홀로 여생을 보전하겠소?

向者

(향자) : 지난 번

傷亂之後

(상난지후) : 난리를 겪고 난 뒤에

親戚僮僕

(친척동복) : 친척과 종들이 저마다

各相亂離

(각상난리) : 서로 흩어지고

亡親骸

(망친해) : 돌아가신 부모님의 해골이

狼籍原野

(랑적원야) : 들판에 내버려져 있었는데,

儻非娘子

(당비낭자) : 당신이 아니었다면

誰能奠埋

(수능전매) : 그 누가 장사를 지내 드렸겠소?

 

古人云

(고인운) : 옛 사람 말씀에,

生事之以禮

(생사지이례) : '어버이가 살아 계실 때에는 예로써 섬기고,

死葬之以禮

(사장지이례) : 돌아가신 뒤에는 예로써 장사지내라' 하셨는데,

盡在娘子

(진재낭자) : 이런 일을 모두 당신이 감당해 주었소.

天性之純孝

(천성지순효) : 당신은 정말 천성이 효성스럽고

人情之篤厚也

(인정지독후야) : 인정이 두터운 사람이오.

感激無已

(감격무이) : 나는 당신에게 고맙기 그지없고,

自愧可勝

(자괴가승) : 부끄러움을 견디지 못하겠소.

願娘子

(원낭자) : 원하기는 당신도

淹留人世

(엄류인세) : 인간 세상에 더 오래 머물다가

百年之後

(백년지후) : 백년 뒤에

同作塵土

(동작진토) : 나와 함께 티끌이 되었으면 좋겠구려."

 

女曰

(녀왈) : 여인이 말하였다.

李郞之壽

(이랑지수) : "당신의 목숨은

剩有餘紀

(잉유여기) : 아직 남아 있지만,

妾已載鬼籙

(첩이재귀록) : 저는 이미 귀신의 명부(冥府)에 실려 있답니다.

不能久視

(불능구시) : 그래서 더 오래 볼 수가 없지요.

若固眷戀人間

(약고권련인간) : 제가 굳이 인간세상을 그리워하며 미련을 가진다면

違犯條令

(위범조령) : 명부의 법도를 어기게 되니,

非唯罪我

(비유죄아) : 저에게만 죄가 미치는 게 아니라

兼亦累及於君

(겸역누급어군) : 당신에게도 또한 누가 미치게 된답니다.

但妾之遺骸

(단첩지유해) : 저의 유골이

散於某處

(산어모처) : 어느 곳에 흩어져 있으니,

倘若垂恩

(당약수은) : 만약 은혜를 베풀어주시려면

勿暴風日

(물폭풍일) : 그 유골이나 거두어 비바람을 맞지 않게 해주세요."

相視泣下數行云

(상시읍하수행운) : 두 사람은 서로 바라보며 눈물만 줄줄 흘렸다.

 

李郞珍重

(이랑진중) : "낭군님, 부디 안녕히 계십시오."

言訖漸滅

(언흘점멸) : 말이 끝나자 차츰 사라지더니

了無踪迹

(료무종적) : 마침내 자취가 없어졌다.

 

生拾骨

(생습골) : 이생은 여인의 말대로 유골을 거두어

附葬于親墓傍

(부장우친묘방) : 부모님의 무덤 곁에다 장사를 지내 주었다.

旣葬

(기장) : 장사를 지낸 뒤에는

生亦以追念之故

(생역이추념지고) : 이생도 또한 지나간 일들을 생각하다가

得病數月而卒

(득병수월이졸) : 병을 얻어, 몇 달만에 세상을 떠났다.

聞者莫不傷歎而慕其義焉

(문자막불상탄이모기의언) : 이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마다 가슴 아파 탄식하며 그들의 아름다운 절개를 사모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노르웨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