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망사(春望詞) 봄을 기다리는 노래
-설도
風花日將老
(풍화일장노) : 바람에 꽃잎은 날마다 지려는데
佳期猶渺渺
(가기유묘묘) : 만날 날은 아득하여 기약이 없도구나
不結同心人
(부결동심인) : 마음을 같이 할 사람 맺지 못하고
空結同心草
(공결동심초) : 헛되이 마음 갖이 하는 풀잎만 묶는다
설도(薛濤, ?770~830): 중국 당나라의 시인. 자는 홍도(洪度), 홍도(弘度). 성도(成都)에서 가기(歌妓)가 되었고 시문에 뛰어났으며, 원진, 백거이 등 당대의 시인과 교제하였다.
동심초[同心草]
김안서(金岸曙) 역시(譯詩), 김성태(金聖泰) 작곡의 가곡. 1945년에 작곡된 가곡으로 광복 이후 민족적인 서정을 강조하며 지은 노래이다. ‘8분의 6박자, 애타는 정으로’라는 악상기호가 붙어 있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만날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한갖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한갖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멜로디의 역동성과 서정성 등 대중적인 의미에서도 많이 불렸다. 피아노 반주부의 처리는 분산화음 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가사는 7세기 중국 당나라 시인인 설도(薛濤)의 작품을 안서(岸曙) 김억이 번역한 것으로 1955년 ≪한국가곡집≫에 처음 소개되었는데, 당시 원시의 작자가 신사임당(申師任堂)으로 오기(誤記)되어 잘못 소개되기도 하였다.
김억 [金億] (1896∼? )
평북 정주 출생. 시인·평론가. 처음 이름은 희권(熙權), 뒤에 억(億)으로 개명하였으며, 필명으로 안서 및 안서생(岸曙生), A.S., 또는 본명 억(億)을 사용하였다.
오산학교(五山學校)를 거쳐 1913년 일본 게이오의숙(慶應義塾) 영문과에 진학하였다가, 아버지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하였다. 6·25남침 당시 피난하지 못하고 서울에 남아 있다가 그의 계동 집에서 납북되었다. 그 뒤의 행적은 확실하지 않다.
문단 활동으로는 1914, 1915년 ≪학지광 學之光≫에 시 〈이별 離別〉·〈야반 夜半〉·〈나의 적은 새야〉·〈밤과 나〉 등을 발표한 것을 시발점으로 하여, 1918년 ≪태서문예신보 泰西文藝新報≫에 프랑스 상징주의 시의 번역과 소개 및 창작시를 발표함으로써 본격화되었다.
그 뒤 창조 및 폐허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창조 創造≫·≪폐허 廢墟≫·≪영대 靈臺≫·≪개벽 開闢≫·≪조선문단 朝鮮文壇≫·≪동아일보≫·≪조선일보≫ 등에 시·역시(譯詩)·평론·수필 등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1910년대 후반부터 활발해진 프랑스 상징파의 시와 타고르·투르게네프 등 해외 문학의 번역·소개에 있어서의 구실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과정에 그가 남긴 공적은 매우 컸다.
특히, 1921년 광익서관(廣益書館)에서 간행된 우리 나라 최초의 역시집 ≪오뇌(懊惱)의 무도(舞蹈)≫가 폐허 및 백조동인들의 초기 시에 미친 영향은 더욱 주목된다. 이와 같은 사실은 그가 행한 전신자적(轉信者的) 역할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1923년에 간행된 창작시집 ≪해파리의 노래≫는 한국 최초의 근대시집으로서, 프랑스 상징주의의 시와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어 그의 전신자적 구실을 짐작하게 해준다.
또한, 김소월(金素月)의 스승으로서 김소월을 민요시인으로 길러냈고, 자신도 뒤에 민요조의 시를 주로 많이 썼다.
저서로는, 시집 ≪해파리의 노래≫ 이외에도 ≪불의 노래≫(1925)·≪안서시집≫(1929)·≪안서시초≫(1941)·≪먼동이 틀제≫(1947)·≪안서민요시집≫(1948).
역시집으로 ≪오뇌의 무도≫ 이외에 타고르의 시집 ≪기탄자리≫(1923)·≪신월 新月≫(1924)·≪원정 園丁≫(1924)·≪잃어진 진주≫(1924), 일본의 고전인 ≪만엽집 萬葉集≫의 번역이 있다.
한시 번역시집으로≪망우초 忘憂草≫(1934)·≪동심초 同心草≫(1943)·≪꽃다발≫(1944)·≪지나명시선 支那名詩選≫(1944) 2권·≪야광주 夜光珠≫(1944)·≪선역애국백인일수 鮮譯愛國百人一首≫(1944)·≪금잔듸≫(1947)·≪옥잠화 玉簪花≫(1949),
편저로 ≪소월시초≫(1939)·≪소월민요집≫(1948)이 있다.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93430
[오늘 도봉산 계곡]
'문학 > 시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설 -오탁번 (0) | 2008.08.25 |
---|---|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미당 서정주 (0) | 2008.08.07 |
눈이 쏟아져 내리던 날 -용혜원 (2) | 2008.08.01 |
지금도 눈이 오는 날은 -나태주 (1) | 2008.08.01 |
눈 오는 날엔 -서정윤 (0) | 2008.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