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에펠탑에서 내러다 본 파리 시가지. 도시 전체가 평지더군요.
그래서 예술가들과 거지들이 모인다는 몽마르트 언덕을 얘기하나봐요.
아이들 놀이터인 동네 동산 높이도 안되는데...

인간 존재는 부단히 현실에서 일탈(逸脫)하려 한다.
제도나 조직이 규범을 강조하는 데 반비례하여 현실 공간에서 지친 영혼들이
여기에서 벗어나려 하는 것은 어쩌면 인간의 숙명적 조건인지도 모른다.
인간 존재에 대해 “상처받지 않은 영혼이 어디 있으랴!” 라고 한 시인의 진술도
있지만 “인간은 슬프려고 태어났다.”는 인간의 본질에 대한 시인의 선언도 있다.
예술가들의 奇行과 일화는 확실히 치기로 저질러 보는 일반인들의 그것과
구분되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 질문이고 몸부림이다. 북한산정을 향해
집을 앉힌 만해의 심우장(尋牛莊),
남이 李氏라고 부른다고 필명을 이상(李箱)으로 정해 버린 김해경(金海卿),
--일본애들은 지금도 성씨 뒤에 '상'을 붙입니다. 箱은 이 '상'의 음사입니다.--
장판지 대신 쌍룡양회 시멘트 포대를 깔고 앉아 호피 담요 운운하는 김관식,
문학지사에 들러 원고료를 선불해 가는 천상병,
청와대에서 박정희 대통령과 함께 막걸리를 마시다 대통령의 강권에 의해 말해본
박재삼의 청탁, 한밤중에 홀로 일어나 앉아 우는 고은 등 문인들의 일화는 끝이 없다.
이처럼 예술가들의 생활은 패턴 자체가 정상인들의 그것과 판연히 구분된다.
예술가들의 비정상적인 생활과 거기에서 얻은 깨달음과 결론은 그 자체가 작품의 재료와
기본틀을 제공한다.
예술이란 상처받은 영혼들을 치유하고 현실의 규범서 벗어나려는 인간 존재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명지어졌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멋진
연애를 하기도 하고 현실에서 금기시하고 질시하는 행동의 자유가 예술에는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수용자들은 작품에 탐닉하여 잠시 현실의 규제와 죄책감에서 해방되는
기쁨을 즐길 수 있다. 그것도 내밀하고 은밀하게 자신을 감춘 상태에서.
그러나 작품의 상황과 분위기는 현실의 그것과 엄격히 구분되므로 독자가 작품에서
느끼는 정서적 반응은 도연명의 《桃花源記》처럼 넉넉한 안식을 제공하는 일종의 백일몽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예술에서는 작가의 주관에 따른 현실의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기도 한다.
『걸리버 여행기』『수호전』등에서의 인물의 변형도 그 예로 들 수 있다.
『수호전』에서 실례를 찾아보기로 하자.판짐롄(반금련)과 우다랑(무대랑)의
후손들이 5백년간 오명 속에서 살아온 선조들의 명예회복에 나섰다.
『산동성 양각현 지리지』와 명대에 증보된 『무씨가보』에 의하면 우다랑은
하북성 청하현 사람. 소설 속에 묘사된 밀빵을 파는 왜소한 체구가 아니라
7척 장신에 진사급제, 양구현을 훌륭하게 다스려 명성을 날린 인재였다.
또한 판진롄도 소설에서처럼 서문경을 유혹하는 요부가 아니라 8대조 조부가
청하현에서 관리를 지낸 뼈대 있는 집안으로 우다랑의 진사급제 전에 시집가
네 아들을 둔 현모양처였다.
이들이 못난이와 탕녀로 전락한 동기는 출세한 우다랑에게 도움을 청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한 우다랑의 죽마고우에게서 유래한다. 과거에 이 친구의 도움을
받은 적도 있던 우다랑은 은밀하게 고향집을 수리해 주고 논밭도 내주었다.
그러나 이 사실을 알지 못한 화가인 그 친구는 우다랑을 못난이로,
판진롄을 음녀로 그려 길거리에 붙이기 시작했다.
이 이야기를 전해 들은 시내암이 소설의 모델로 이용하는 바람에 그들의 성격은
부정적 인물로 구현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