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해 망월석탑

 

 보주태후허씨릉

가락국기

駕洛國記

[은자주]가락국은 나라 이름부터 문화 전체가 한반도의 것이 아닌 해양문화다. 수로왕은 이름뿐이고 허황후의 나라라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닌 둣하다, 가락국에 대한 사전지식을 다시 싣는다.

가락국기 해설

가락, 가야의 뜻;물고기. 가야국의 文章;雙魚紋(인도 아요디아국의 문장)

아요디아는 인도 중북부에 위치함. 630년경 현장의 대당서역기에는 주위가 5천여리라 함.힌두신 비쉬누를 모신 힌두교의 성지이고 석가의 설법지이기도 함.

1)神魚像;태양족 마누의 수호신.대홍수시대에 마누에게 배를 만들게 하고 배를 인도하여 산에 정착시킨 전설상의 동물.

2)허황후가 바지를 벗어 산신에게 폐백 드린것은 우리나라에는 없는 인도 아유타국의 풍습.

3)김수로왕이 축조한 명월사(흥국사)탑신의 일부 화강암에는 불상을 양쪽에서 수호하는 두 마리의 뱀을 조각함. 인도에는 뱀 두 마리가 불상을 수호하는 조각도 있음.

4)파사석탑에 쓰인 석재는 인도의 돌로 배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싣고 온 것으로 추정됨.

<본초강목> 파사석에 닭의 피를 섞으면 물로 변하고 태우면 유황냄새가 남.

5)신어산의 은하사 본존불의 기단부와 천정에 신어 배치.

*음력 4~6월의 계절풍으로 미뤄 볼 때 허황후는 5월경에 인도를 출발함.

*허황후의 오빠인 장유화상은 7왕자 데리고 지리산 칠불암으로 들어가 성불함.

*[金秉模]

김해 龜旨峰 기슭에는 "駕洛國首露王妃,普州太后許氏陵"[아래 사진에 있음]이란 비석 하나가 서 있다.허황옥의 가계가 출발한 곳은 인도 아유타국이었으나 그들 집단은 중국 四川省 安岳의 옛 지명인 普州로 망명 이주하였다.蜀地인 사천성에서도 雙魚를 모시는 신앙집단이 살았다는 증거가 나오고 있다. 브라만(司祭) 출신 여인인 허황옥은 이 곳에서 출생하여 성장하던 중 A.D.47년에 일어난 반란을 계기로 그 곳을 떠나 이듬해 가락국에 도착하였다. 대부분의 許巫師는 武昌지방에 새로 신전을 짓고 살았다. 후한 때 촉지방에서 일어난 두 번째 반란은 101년에 있었는데 이 때의 주동자는 許聖이었다.47년의 반란도 허씨가 이끄는 소수민족이었을 것이다. 許는 姓이 아니라 世習巫師를 뜻하는 職種을 나타낸 말로 許聖이란 사람은 巫師 곧 신앙지도자일 것이다.

(조선일보1991.5.14. 수로왕비의 비밀참조)


(文廟朝大康年間, 金官知州事文人所撰也, 今略而載之.)

(문종조 대강년간 금관지주사 문인이 지은 것이다. 이제 간락히 하여 싣는다)

開闢之後, 此地未有邦國之號, 亦無君臣之稱.

천지가 개벽한 후로 이곳에는 아직 나라 이름도 없었고, 또한 군신의 칭호도 없었다.

越有我刀干‧汝刀干‧彼刀干‧五刀干‧留水干‧留天干‧五天干‧神鬼干等九干者,

이 때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 등 아홉 간이 있었다.

是酋長, 領總百姓, 凡一百戶, 七萬五千人.

이들 추장들이 백성들을 통솔했는데 모두 1백호로 7만5천 명이었다.

多以自都山野, 鑿井而飮, 耕田而食.

이 사람들은 거의 산과 들에 모여서 살았으며,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고 밭을 갈아 먹었다.

屬後漢世祖光武帝建武十八年壬寅三月禊浴之日,

후한의 세조 광무제 건무 18년 임인(A.C.42)3월 계욕일(액땜을 하는 날로 목욕을 하고, 물가에서 술을마심)에

所居北龜旨(是峯巒之稱, 若十朋伏之狀, 故云也)有殊常聲氣呼喚,

그들이 살고 있는 북쪽 구지(龜旨-산봉우리의 이름)에서 이상한 기운이 일며, 수상한 소리가 들렸다.

衆庶二三百人集會於此, 有如人音, 隱其形而發其音曰:

마을 사람들 2,3백명이 그 곳에 모였는데 사람 소리와 같기도 하지만 그모습은 보이지 않는데 소리만 들려왔다.

「此有人否?」

"이 곳에 누가 있는가?'

九干等云: 「吾徒在!」

구간(九干)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이 여기 있습니다."

又曰: 「吾所在爲何?」 "내가 있는 이 곳이 어디인가?"

對云「龜旨」也. "구지입니다."

又曰: 「皇天所以命我者, 御是處, 惟新家邦, 爲君后. 爲玆故降矣.

이에 또 말했다.

"하늘이 나에게 명령하기를 이 곳에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 임금이 되라고 하므로, 이를 위하여 여기에 내려왔다.

你等須掘峯頂撮土, 歌之云

너희들은 산 꼭대기의 흙을 파서 제단을 쌓고 노래하라.

龜何龜何,   거북아 거북아

首其現也.   머리를 내 밀어라.

若不現也,   만약 내밀지 않으면

燔灼而喫也󰡕, 구워 먹겠다.

 

以之蹈舞, 則是迎大王‧歡喜踴躍之也.」

노래를 부르고 뛰며 춤을 추면 곧 너희들은 대왕을 맞이하여 기뻐서 춤추게 될 것이다."

九干等如其言, 咸忻而歌舞.

구간들은 이 말에 모두 기뻐서 노래하고 춤추었다.

未幾, 仰而觀之, 唯紫繩自天垂而着地,

얼마후 하늘을 우러러 보니 한 줄기 자주색 빛이 하늘로부터 드리워져 땅에 닿는 것이 었다.

尋繩之下, 乃見紅幅裹金合子.

줄끝을 찾아가 보니 붉은 보자기에 금합이 싸여 있었다.

開而視之, 有黃金卵六圓如日者.

열어 보니 황금빛 알 여섯 개가 있었는데 둥글기가 해와 같은 것이었다.

衆人悉皆驚喜, 俱伸百拜,

여러 사람들은 모두 놀라고 기뻐하여 다 함께 수없이 절을 했다.

尋還裹著, 抱持而歸我刀家, 寘榻上, 其衆各散.

조금 있다가 다시 싸서 안고 아도간의 집으로 돌아와 걸상 위에 놓아 두고 무리는 제각기 흩어졌다.

過浹辰, 翌日平明, 衆庶復相聚集開合,

하루가 지나가고 그 이튿날 아침에 마을 사람들이 다시 모셔 그 합을 열자,

而六卵化爲童子, 容貌甚偉. 仍坐於床,

여섯개의 알은 화하여 아기가 되어 있었는데 용모가 매우 깨끗했으며 이내 평상 위에 앉았다.

衆庶拜賀, 盡恭敬止.

사람들은 모두 절하고 하례하면서 극진히 공경했다.

日日而大 踰十餘晨昏, 身長九尺則殷之天乙,

나날이 자라더니 10여일을 지나자 키가 9척으로 은나라 천을(天乙-은나라 탕왕)과 같고,

顔如龍焉則漢之高祖, 眉之八彩則有唐之高,

얼굴이 용안임은 한나라 고조와 같았고, 눈썹의 여덟 가지 빛깔은 당 고조와 같았고,

眼之重瞳則有虞之舜,

눈동자가 겹으로 된 것은 우나라 순임금과 같았다.

其於月望日卽位也. 始現故諱首露, 或云首陵(首陵是崩後諡也),

그 달 보름에 왕위에 올랐는데 세상에 처음 나타났다고 하여 이름을 수로라 하거나 혹은 수릉이라 했다.

國稱大駕洛, 又稱伽耶國, 卽六伽耶之一也.

나라를 대가락이라 하고, 또 가야국이라고도 했으니 곧 여섯 가야 중의 하나이다.

餘五人各歸爲五伽耶主.

나머지 다섯 사람도 각기 가서 다섯 가야국의 임금이 되었다.

東以黃山江, 西南以滄海, 西北以地理山, 東北以伽耶山, 南而爲國尾.

가야는 동쪽은 황산강, 서남쪽은 창해, 서북쪽은 지리산, 동북쪽은 가야산이며 남쪽은 나라의 끝이었다.

俾創假宮而人御, 但要質儉, 茅茨不剪, 土階三尺.

그는 임시로 대궐을 세우게 하고 거처하였는데, 질박하고 검소할 따름이니 집에 이은 이엉을 자르지 않았으며, 흙으로 만든 계단은 겨우 3척이었다.

二年癸卯春正月, 王若曰:

즉위한 2년 계묘(A.B. 43)정월에 왕이 말하기를,

「朕欲定置京都.」

"내가 도읍을 정하려 한다."

仍駕幸假宮之南新畓坪(是古來閑田, 新耕作故云也. 畓乃俗文也), 四望山嶽, 顧左右曰:

이내 임시 궁궐이 남쪽 신답평에 나가서 사방의 산악을 두루 바라보다가 신하들을 돌아보고 말했다.

「此地狹小如蓼葉, 然而秀異, 可爲十六羅漢住地.

"이 땅은 여뀌잎처럼 협소하기는 하지만 수려하고 기이하여 가히 16나한이 살만한 곳이다.

何況, 自一成三, 自三成七, 七聖住地,

더구나 1에서 3을 이루고 3에서 7을 이루므로 七聖(성이란 진리를 깨친 사람이라는 뜻)이 살 곳으로도 가장 적합하다.

固合于是. 托土開疆, 終然允臧歟.」

여기에 근거하여 강토를 개척하면 마침내 좋은 곳이 되겠구나."

築置一千五百步周廻羅城‧宮禁殿宇及諸有司屋宇‧虎庫倉廩之地. 事訖還宮,

이에 1,500보 둘레의 외성과 궁궐과 전당 및 여러 관청의 청사와 무기고, 창고를 지을 터를 마련한 뒤에 궁궐로 돌아왔다.

徧徵國內丁壯‧人夫‧工匠, 以其月二十日資始金陽, 曁三月十日役畢.

널리 나라 안의 장정과 인부 공장들을 불러모아서 그 달 20일에 성곽을 쌓기 시작하여 3월 10일에 공사를 끝냈다.

其宮闕屋舍, 俟農隙而作之, 經始于厥年十月, 逮甲辰二月而成,

궁궐과 屋舍만은 농한기를 이용하여 지었으므로 그해 10월에 비로소 시작하여 갑진(44)2월에 이르러서야 완성되었다.

涓吉辰御新宮, 理萬機而懃庶務.

좋은 날을 가려 새 궁으로 옮겨가서 모든 정사를 다스리며 서무에도 부지런하였다.


忽有琓夏國含達王之夫人妊娠, 彌月生卵, 化爲人, 名曰脫解.

홀연히 완하국 함달왕의 부인이 아기를 배어 달이 차서 알을 낳았는데 그 알이 변하여 사람이 되었다. 이름을 탈해라 했다.

從海而來, 身長三尺, 頭圍一尺.

탈해가 바다고부터 가락국에 왔는데 키는 3척이요, 머리 둘레는 1척이나 되었다.

悅焉詣闕, 語於王云:

그는 혼연히 대궐로 나아가 왕에게 말했다.

「我欲奪王之位, 故來耳.」

"나는 왕의 자리를 빼앗으러 왔소."

王答曰:

이에 왕이 대답했다.

「天命我俾卽于位, 將令安中國而綏下民, 不敢違天之命以與之位,

"하늘이 나를 명하여 왕위에 오르게 함은 장차 나라를 안정시키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려 함이다.

又不敢以吾國吾民, 付囑於汝.」

나는 감히 천명을 어기고 왕위를 너에게 줄 수 없으며, 또한 이 백성들을 너에게 맡길 수도 없다."

解云: 「若爾可爭其術.」

탈해: "그렇다면 술법으로 겨뤄보자."

王曰「可」也.

왕: “좋소.”

俄頃之間, 解化爲鷹, 王化爲鷲,

잠깐 사이에 탈해가 변해서 매가 되자, 왕은 변하여 독수리가 되었다.

又解化爲雀, 王化爲鸇.

탈해가 또 변해서 참새가 되니 왕은 변해서 새매가 되었다.

于此際也, 寸陰未移,

그 변하는 시간은 지극히 짧은 순간이었다.

解還本身, 王亦復然.

탈해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오자 왕도 또한 본래 모습으로 돌아왔다.

解乃伏膺曰:

이에 탈해가 엎드려 항복하며 말하기를,

「僕也適於角術之場, 鷹之鷲, 雀之於鸇, 獲免焉,

"술법을 다투는 마당에 있어서 매가 독수리에게서, 참새가 새매에게서 죽음을 면하였으니,

此盖聖人惡殺之仁而然乎!

이것은 대저 성인께서 죽이기를 싫어하는 인덕을 지니셔서 그러하심입니다.

僕之與王, 爭位良難.」

내가 왕과 왕위를 다투기는 실로 어렵사옵니다."

便拜辭而出, 到麟郊外渡頭, 將中朝來泊之水道而行,

탈해는 곧 왕께 하직하고 교외에 나가 가까운 나루터에 이르러 중국 배가 와서 정박하는 수로로 취해서 떠났다.

王竊恐滯留謀亂, 急發舟師五百艘而追之,

왕은 그가 머물러 있으면서 반란을 일으킬 것을 염려하여 급히 수군을 실은 배 5백척을 보내어 쫓게 했다.

解奔入雞林地界, 舟師盡還.

탈해가 계림의 영토 안으로 달아나므로 수군은 이내 돌아왔다.

事記所載多異與新羅.

그러나 여기에 적힌 기사는 신라의 것과는 많이 다르다.

屬建武二十四年戊申七月二十七日, 九干等朝謁之次, 獻言曰:

건무 24년 무신(48)7월27일에 구간등이 왕을 조알할 때 말씀을 올렸다.

「大王降靈已來, 好仇未得.

"대왕께서 강람하신 후로 아직 좋은 배필을 구하지 못했습니다.

請臣等所有處女絶好者, 選入宮闈, 俾爲伉儷.」

신들이 기른 처녀 중에서 가장 좋은 사람을 궁중에 뽑아 왕비로 삼게 하시기 바랍니다."

王曰: 「朕降于玆天命也. 配朕而作后,

왕:"내가 이곳에 내려옴은 하늘의 명령이다. 나에게 짝을 지어 왕후로 삼게함도

亦天之命, 卿等無慮.」

역시 하늘의 명령이 있을 것이니 경들은 염려하지 말라."

遂命留天干押輕舟, 持駿馬, 到望山島立待;

왕은 드디어 유천간에게 명하여 가벼운 배와 빠른 말을 주어 망산도에 가서 기다리게 하고,

申命神鬼干就乘岾(望山島, 京南島嶼也. 乘岾, 輦下國也),

신귀간에게 명하여 승점(망산도는 서울 남쪽의 섬이고, 승점은 경기(京畿)안에 있는 나라)에 가도록 했다.


忽自海之西南隅, 掛緋帆, 張茜旗, 而指乎北.

문득 바다 서남쪽에서 붉은 빛의 돛을 단 배가 붉은 기를 휘날리며 북쪽을 바라보며 오고 있었다.

留天等先擧火於島上, 則競渡下陸, 爭奔而來.

유천간 등이 먼저 망산도 위에서 횃불을 올리니, 사람들이 다투어 육지로 내려와 다투어 뛰어왔다.

神鬼望之, 走闕奏之. 上聞欣欣,

승점에 있던 신귀간이 이를 바라보고 대궐로 달려와 왕께 아뢰자 왕은 듣고 매우 기뻐했다.

尋遣九干等, 整蘭橈, 揚桂楫而迎之, 旋欲陪入內, 王后乃曰:

아내 구간 등을 보내어 난초나무로 만든 키를 바로잡고 계수나무로 만든 노를 저어 그들을 맞이하여 곧 모시고 대궐로 들어가려 하자 왕후가 말했다.

「我與(爾)等素昧平生, 焉敢輕忽相隨而去!」

"나는 너희들과 본디 모르는 터인데 어찌 감히 경솔하게 따라가라 수가 있겠느냐?"

留天等返達后之語,

유천간 등이 돌아가서 왕후의 말을 전달했다.

王然之, 率有司動蹕, 從闕下西南六十步許地, 山邊設幔殿祗候.

왕은 그 말을 옳게 여기고 유사를 데리고 행차하여 대궐 아래에서 서남쪽으로 60보쯤 되는 산 기슭에 장막을 쳐서 임시 궁전을 만들어 놓고 기다렸다.

王后於山外別浦津頭, 維舟登陸, 憩於高嶠,

왕후는 산 밖의 별포 나루터에 배를 대고 육지로 올라와 높은 언덕에서 쉬었다.

解所著綾袴爲贄, 遺于山靈也.

그리고 자기가 입었던 비단 바지는 벗어 산신에게 폐백으로 바쳤다.

其地侍從媵臣二員, 名曰申輔‧趙匡,

또 시종해 온 잉신(시집갈때 따라가는 시신) 두사람이 있었는데 그 이름은 신보, 조광이었다.

其妻二人, 號慕貞‧慕良. 或臧獲幷計二十餘口,

그들의 아내는 모정,모량이라고 했으며, 또 노비까지 있었는데 모두 합하여 20여명이엇다.

所齎錦繡綾羅‧衣裳疋段‧金銀珠玉‧瓊玖服玩器, 不可勝記.

가지고 온 금수,능라의 옷과 필단,금은주옥과 구슬로 만든 패물 등은 이루 다 기록할 수 없을 만큼 많았다.

王后漸近行在, 上出迎之, 同入帷宮,

왕후가 이제 왕이 계신 곳에 가까이 이르니 왕은 친히 나아가 맞아 함께 장막궁전으로 들어갔다.

媵臣已下衆人, 就階下而見之卽退.

잉신 이하 모든 사람들은 뜰아래에서 뵙고 즉시 물러갔다.

上命有司, 引媵臣夫妻曰:

왕은 유사에게 명하여 잉신 내외를 안내하라고 말했다.

「人各以一房安置, 已下臧獲各一房五六人安置.」

"사람마다 방 하나씩을 주어 편안히 머무르게 하고 그 이하 노비들은 한 방에 5, 6명씩 있게 하라."

給之以蘭液蕙醑, 寢之以文茵彩薦, 至於衣服疋段寶貨之類, 多以軍夫遴集而護之.

그리고 그들에게 난초로 만든 음료와 혜초로 만든 술을 주고, 무늬와 채색이 있는 자리에서 자도록 했으며, 심지어 옷과 비단과 보화까지 주고는 많은 군인들을 모아 그들을 보호하게 했다.

於是, 王與后共在御國寢, 從容語王曰:

이에 왕이 앙후와 함께 침전에 들자 왕후가 조용히 말했다.

「妾是阿踰陁國公主也. 姓許名黃玉, 年二八矣.

"저는 아유타국(중인도에 있던 고대의 왕국)의 공주인데 성은 허씨이고 이름은 황옥이며, 나이는 16세입니다.

在本國時, 今年五月中, 父王與皇后顧妾而語曰:

본국에 있을 때 지난 5월에 부왕과 모후께서 저에게 말씀하시기를,

󰡔爺孃一昨夢中, 同見皇天上帝, 謂曰:

"부모가 어젯밤 꿈에 하늘의 상제를 뵈었는데, 상제께서

「駕洛國『元君首露者, 天所降而俾御大寶, 乃神乃聖, 惟其人乎!

가락국왕 수로는 하늘이 내려 보내어 왕위에 앉게 했으니 신령스럽고 성스러운 분은 오직 그 사람뿐이로다.

且以新蒞家邦, 未定匹偶, 卿等湏遣公主而配之.」

또 새로이 나라를 다스림에 아직 배필을 정하지 못했으니, 그대들은 공주를 보내 배필이 되게 하라.』

言訖升天.

말을 마치고 하늘로 올라 가셨습니다.


形開之後, 上帝之言, 其猶在耳, 你於此而忽辭親, 向彼乎往矣.󰡕

꿈을 깨었으나 상제의 말이 아직도 귓가에 생생하니 너는 이 자리에서 곧 우리와 작별하고 그곳으로 떠나라 하셨습니다.

妾也浮海遐尋於蒸棗, 移天夐赴於蟠桃, 螓首敢叨, 龍顔是近.」

그래서 저는 배를 타고 멀리 증조(蒸棗-신선이 사는 곳에 열리는 좋은 과일)를 찾고, 하늘로 가서 반도(삼천년에 한번씩 열리는 복숭아)를 찾아 이제 모양을 가다듬고 감히 용안을 가까이 하게 되었습니다."

王答曰: 「朕生而頗聖, 先知公主自遠而屆, 下臣有納妃之請, 不敢從焉.

왕:"나는 태어나서부터 신성하여 공주가 멀리서 올 것을 이미 알았으므로 신하들이 왕비를 맞으라는 청을 따르지 않았소.

今也淑質自臻, 眇躬多幸.」

이제 현숙한 공주께서 이렇게 스스로 오셨으니 이 사람에게는 참으로 다행이오."

遂以合歡, 兩過淸宵, 一經白晝.

드디어 혼인하여 두 밤을 지내고 하루 낮을 지냈다.

於是, 遂還來船, 篙工楫師共十有五人, 各賜粮粳米十碩‧布三十疋, 令歸本國.

이에 그들이 타고 왔던 배를 돌려 보냈는데 뱃사공이 모두 15명이었다. 이들에게 각각 쌀 10석씩과 베 30필씩을 주어 본국으로 돌아가게 했다.

八月一日廻鑾, 與后同輦,

8월 1일에 왕은 왕후와 한 수레를 타고 대궐로 돌아왔다.

媵臣夫妻齊鑣並駕, 其漢肆雜物, 感使乘載, 徐徐入闕, 時銅臺欲午.

잉신 내외도 역시 나란히 수레를 탔으며, 중국에서 나는 갖가지 물품도 모두 수레에 싣고 천천히 대궐로 들어오니 그때 종루에서 정오를 알리려했다.

王后爰處中宮, 勑賜媵臣夫妻, 私屬空閑二室分入;

왕후는 궁중에 거처하게 하고, 잉신 내외와 그들의 노비들에게는 비어있는 두 집에 나누어 살게 하고,

餘外從者以賓舘一坐二十餘間, 酌定人數, 區別安置.

나머지 따라온 자들도 20여칸 되는 빈관 한채를 주어 사람 수를 보아 적당히 나누어 편안히 있게 하였다.

日給豊羡, 其所載珍物, 藏於內庫, 以爲王后四時之費.

그리고 날마다 물품을 풍부하게 주었으며, 그들이 싣고 온 진귀한 물건들은 내고(內庫)에 두어서 왕후의 사시 비용으로 쓰도록 했다.

一日上語臣下曰.

하루는 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九干等俱爲庶僚之長, 其位與名, 皆是宵人野夫之號, 頓非簪履職位之稱,

"구간들은 모든 벼슬의 으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다 소인이나 농부의 칭호이니 이는 높은 벼슬의 호칭이 못된다.

儻化外傳聞, 必有嗤笑之耻.」

혹 외국 사람들이 듣게 되면 필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遂改我刀爲我躬‧汝刀爲汝諧‧彼刀爲彼藏‧五方爲五常,

드디어 아도를 고쳐서 아궁이라 하고,여도를 여해,피도를 피장,오도를 오상이라 했으며,

留水‧留天之名, 不動上字, 改下字留功‧留德, (神)(天)改爲神道, 五天改爲五能,

유수와 유천은 윗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 유공,유덕이라 하고 신천을 고쳐서 신도, 오천을 고쳐서 오능이라 했다.

神鬼之音不易, 改訓爲臣貴.

신귀(神鬼)는 음을 바꾸지 않고 훈만 고쳐 신귀라 하였다.

取雞林職儀, 置角干‧阿叱干‧級干之秩, 其下官僚, 以周判漢儀而分定之,

계림의 직제를 취해서 각간 아질간 급간의 품계를 두었고, 그이하의 관료는 주나라 규례와 한나라 제도로써 나누어 정했다.

斯所以「革古鼎, 新設官分職」之道歟!

이것은 옛것을 고치고 새것을 취하여 관직을 나누어 설치하는 방법이로다.

於是乎, 理國齊家, 愛民如子, 其敎不肅而威, 其政不嚴而理.

이에 비로소 나라와 집안을 잘 다스리고 백성들을 자식처럼 사랑하니 그 교화는 엄숙하지 않아도 위엄이 서고, 그 정치는 엄하지 않아도 잘 다스려졌다.

況與王后而居也, 比如天之有地‧日之有月‧陽之有陰,

더구나 왕이 왕후와 더불어 사는 것을 비유하면 마치 하늘에 대하여 땅이 있고, 해에 대하여 달이 있으며, 陽에 대하여 陰이 있는 것과 같도다.

其功也塗山翼夏, 唐煖興嬌.

그 내조의 공은 도산(도산의 딸이 우왕에게 시집감)씨가 하나라 우왕을 돕고, 당원(요임금의 딸 아황, 여영으로 순임금에게 시집감)이 순임금을 도와 교씨를 일으킨 것과 같았다.

頻年有得熊羆之兆, 誕生太子居登公.

그 해에 왕후는 웅비지조(곰의 꿈을 꾸면 사내아이를 낳는다는 속설)의 꿈을 꾸고 태자 거등공을 낳았다.

靈帝中平六年己巳三月一日后崩, 壽一百五十七.

영제 중평 6년 기사(189) 3월 1일 왕후가 세상을 마치니, 나이는 157세였다.

國人如嘆坤崩, 葬於龜旨東北塢.

나라 사람들은 마치 땅이 무너진 듯 슬퍼하였으며, 구지봉 동북쪽 언덕에 장사했다.

遂欲忘子愛下民之惠, 因號初來下纜渡頭村曰主浦村,

그리고 앞으로 왕후가 백성들을 자식처럼 사랑하던 은혜를 잊지 않으려고, 왕후가 처음 배에서 내린 도두촌을 주포촌이라 하고,

解綾袴高岡曰綾峴, 茜旗行入海涯曰旗出邊.

비단바지를 벗은 언덕을 능현이라 했으며, 붉은 기를 단 배가 들어온 바닷가를 기출변이라 했다.

媵臣泉府卿申輔‧宗正監趙匡等到國三十年後, 各産二女焉, 夫與婦踰一二年而皆𢱍信也.

잉신 천부경 신보와 종점감 조광 등은 가락국에 온지 30년만에 각각 두 딸을 낳았는데 그 후 그들 부부는 12년을지나 세상을 떠났다.

其餘臧獲之輩, 自來七八年間, 未有玆子生, 唯抱懷土之悲, 皆首丘而沒. 所舍賓館, 圓其無人,

그밖에 노비들은 가락국에 온 지 7,8년이 지났으나 자식을 낳지 못했으며, 오로지 고향을 그리워하는 슬픔을 품고 세상을 떠나갔으니 그들이 거처하던 빈관은 텅비고 아무도 없었다.

元君乃每歌鰥枕, 悲嘆良多. 隔二五歲, 以獻帝立安四年己卯三月二十三日而殂落, 壽一百五十八歲矣.

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왕은 매양 외로운 베개를 의지하며 몹시도 슬퍼하다가 25년 후인 헌제 입안4년 기묘(199)3월 23일에 세상을 떠났다. 나이는 158세였다.

國中之人若亡天只, 悲慟甚於后崩之日.

나라 사람들은 마치 부모를 잃은 듯 슬퍼함이 왕후가 돌아가시던 때보다 더했다.

遂於闕之艮方平地, 造立殯宮, 高一丈, 周三百步而葬之, 號首陵王廟也.

대궐의 동북쪽 평지에 빈궁을 세웠는데 높이가 한 길이며 둘레가 300보로서 그곳에 장사지내고 수릉왕묘라 했다.

銘曰:

元胎肇啓, 천지가 처음 열리니,

利眼初明. 비로소 日月이 밝았네,

人倫雖誕, 인륜은 비록 생겼다 하나

君位未成. 임금의 지위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네

中朝累世, 이미 중국은 여러 대를 거듭했지만,

東國分京. 동국에서는 아직도 서울이 갈려 있었네

雞林先定, 계림이 먼저 정해졌고,

駕洛後營. 가락국이 후에 경영되었도다.

自無銓宰, 스스로 맡아서 다스릴 자 없다면,

誰察民氓. 백성을 보살필 이 누구인가?

遂玆玄造, 드디어 상제께서

顧彼蒼生. 저 창생들을 돌보았도다.

用授符命 부명[天命]을 주어,

特遣精靈 특별히 정령을 보내셨다니.

山中降卵 산중에 알을 내려보내고,

霧裏藏刑 안개 속에 그 모습 감추었다네.

內猶漠漠, 안은 오히려 아득하고,

外亦冥冥 바깥도 역시 캄캄하네.

望如無象 바라보매 형상은 나타나지 않으나,

聞乃有聲. 귀 기울이면 소리가 있으니

群歌而奏, 무리들은 노래 불러 아뢰고,

衆舞而呈. 춤을 추어 바치었네

七日而後, 7일이 지나매,

一時所寧. 일시에 조용해졌네.

風吹雲卷, 바람이 불어 구름이 걷히고,

空碧天靑. 푸른 하늘이 펼쳐지고

下六圓卵, 여섯 개의 둥근 알이 내려오매,

垂一紫纓. 한 줄 자줏빛 끈이 드리웠네.

殊方異土, 수려한 땅에

比屋連甍. 즐비한 집들이 지붕을 잇달았네.

觀者如堵, 구경꾼들 담처럼 둘러서고,

覩者如羹. 보는 이들 국처럼 들끓었네.

五歸各邑, 다섯 분은 각 읍으로 흩어지고,

一在玆城. 한 분만 이 성에 남아 있었네.

同時同迹, 한 때에 나와 닮은 모습들,

如弟如兄. 아우와 형이매 한가지로다.

實天生德, 실로 하늘이 유덕한 분 낳아,

爲世作程. 세상을 위해 질서를 만들었도다.

寶位初陟, 처음 왕위에 오르니,

寰區欲淸. 세상은 이내 맑아지려 하였네.

華構徵古, 궁전 구조는 옛 법을 따랐고,

土階尙平. 土階는 오히려 평평했네

萬機始勉, 비로소 정사에 힘쓰고,

庶政施行. 여러 가지 일을 보살폈으니,

無偏無儻, 기울지도 치우치지도 않으매,

惟一惟精. 오로지 한결같았고 오로지 세밀했네.

行者讓路, 길 가는 이들은 길을 양보하고,

農者讓耕. 농부는 농토를 양보하니

四方奠枕, 사방은 모두 안정을 찾고,

萬姓迓衡. 만백성은 물을 맡은 관리를 맞이했도다.

俄晞薤露, 잠깐 사이 정구지의 이슬이 마르듯하여.

靡保椿齡. 문득 大椿(8천세)의 수명을 보전치 못하였네.

乾坤變氣, 천지의 기운이 변하고

朝野痛情. 조정과 민간의 사람들 모두 슬퍼하였네.

金相其躅, 금속 악기로 그의 발자취 돕고,

玉振其聲. 옥으로 그의 명성 떨쳤네.

來苗不絶, 후손이 끊어지지 않으매,

薦藻惟馨. 영묘(靈廟)의 제전은 향기로왔네.

日月雖逝, 비록 세월은 흘러갔지만,

規儀不傾. 그 규범은 기울지 않았네.

[구지봉 언덕배기의 허황후릉과 파사석탑비,

맨아래 두 장은 김해 시가지 평지에 모셔진 김수로왕릉]












김알지 탈해왕대

-金閼智 脫解王代, 三國遺事 紀異第四,

[은자주]신라의 왕족 성씨, 금관 사용, 묘제의 변모 양상 등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신라의 왕족 성씨

朴: 북방,1-3대.53대-55대.

昔:해상,4대 탈해(아랍?)-12대,14-16대.

金:유라시아 기마민족, 13대 미추닛금, 17대 내물마립간~52대, 56대 경순왕.

󰋬고구려; 북방에서 독립, 백제; 고구려에서 파생.

◇金氏의 뿌리는 유라시아의 초원을 지배하고 동서교역을 담당했던 기마민족[훈족(흉노), 투루크족, 몽고족]으로 스키타이 문화를 형성함.

󰋬적석․목곽분의 묘제: 유라시아의 유목민족들 평야에 봉분. 미추왕,

대능원[천마총]의 주인공들은 13대 미추왕, 17대 내물왕-22대 지증왕 일곱 왕.

󰋬금관 사용: 흑해 부근의 박물관에선 나무 양쪽에 사슴을 배치한 금관 보관, 사실적 조각.

◇금관은 김씨 왕들 초기에만 사용됨. 17대 내물마립간-28대 진덕여왕 2년.(356?-648)

금관: 나무 세 그루, 사슴뿔 2개. 나무는 하늘과의 통로, 사슴을 신성시함(수렵 대상, 시베리아)

◇묘제의 변모 양상

13대 미추 263-283. 평야에 봉분. 23년 冬十月. 王薨 葬大陵(一云 竹長陵)

천마총 정문에서 직진,봉분 앞에 시동석, 측면과 후면엔 대나무를 둘러친 무덤.

17대 내물356-401. 적석․목곽분. 황남대총.

22대 지증왕 500-513.4년 국호 신라. 처음으로 왕의 호칭 사용 및 시호 제정.

23대 법흥왕514-539. 횡혈식․석곽분. 산에 봉분함.

27年 秋七月. 王薨 諡曰法興. 葬於哀公寺北峰.

28대 진덕여왕 647-653. 3년(649)정월. 중국 의관 들여옴. 始服中朝衣冠.


永平三年庚申(一云中元六年 誤矣 中元盡二年而己) 八月四日

영평 3년(60년) 8월 4일에

瓠公夜行月城西里

호공이 밤에 월성 서리를 가다가

見大光明於始林中(一作鳩林)

*[은자주]始林 鳩林은 새벌 새블로 곧 사뇌 東川 東國의 뜻,

시림에서 크고 밝은 빛을 보았다.

有紫雲從天垂地

붉은 구름이 하늘로부터 땅에 뻗쳤는데

雲中有黃金櫃 掛於樹枝

그 구름 속에 황금의 궤가 나무가지에 걸려 있었고

光自櫃出

그 빛은 궤 속에서 나왔고,

亦有白鷄鳴於樹下

도한 흰 닭이 그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以狀聞於王

이 상황을 왕에게 아뢰었다.

駕幸其林

왕이 친히 그 숲에 나아가서

開櫃有童男 臥而卽起

그 궤를 열어 보니 사내아이가 누워 있다가 곧 일어났다.

如赫居世之故事

이것은 혁거세의 고사와 같으므로

故因其言 以閼智名之

그 말을 인연하여 알지라 이름하였다.

閼智卽鄕言小兒之稱也

알지는 우리말로 아이를 일컫는 말이다.

抱載還闕

왕이 그 아이를 안고 궁으로 돌아오니

鳥獸相隨 喜躍蹌蹌

새와 짐승들이 서로 따르며 기뻐하여 너훌너훌 춤을 추었다.

王擇吉日 冊位太子

왕이 길일을 택하여 태자로 책봉했으나

後讓於婆裟 不卽王位

후에 알지는 왕위를 파사왕[제5대]에게 물려주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因金櫃而出 乃姓金氏

금궤에서 나왔으므로 성을 김(金)씨라 하였다.

閼智生熱漢 漢生阿都 都生首留

알지는 열한을 낳았고, 열한은 아도를 낳고 아도는 수류를 낳고,

留生郁部 部生俱道(一作仇刀) 道生未鄒

수류는 욱부를 낳고, 욱부는 구도를 낳고 구도는 미추를 낳았는데,

鄒卽王位

미추는 왕위에 즉위했다. [13대 미추왕]

新羅金氏自閼智始

신라의 김씨는 알지에서 시작되었다.

[계림 탄강지 비각, 포석정, 대릉원 저수지]







탈해왕 신화

-三國遺事 紀異第四 脫解王

[은자주] 1989년 9월27일 박인호(57), 유성미씨(50)의 1녀1남 중 둘째로 태어난 마린보이 박태환이 수영장에 처음 발을 담근 것은 5살 때였다고 한다.

박태환의 기사 중 눈길을 끄는 것은 한겨레닷컴 기사였다. 무용수의 유연성과 색소폰 연주자의 폐활량, 아마 맞을 것이다. 원조(遠祖)를 찾는다면 탈해왕과 역시 바다에서 출현한 김수로 왕비 허황후를 들 수 있다.

허황후는 이 불로그에서 소개한 바 있다.

http://blog.paran.com/kydong/24616056

http://blog.paran.com/kydong/24772353

‘천재성+노력’이 피운 ‘불모지의 꽃’

지난해 초부터 1년 남짓 박태환 전담코치를 맡았던 박석기 <문화방송> 해설위원은 박태환의 강점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타고난 신체와 재질”이라고 잘라 말했다. “수영은 우선 기술부터 만들어줘야 한다. 태환이는 무엇보다 기술이 뛰어나다. 1m83, 74㎏으로 서양 선수들보다 작지만 기술로 체력을 이긴다.” 박태환의 유연성이 남다른 것은, 젊었을 때 무용을 했던 어머니 유성미(51)씨의 피를 물려받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폐활량은 보통 사람의 경우 3천∼4천㏄ 정도인데, 7천㏄나 된다는 게 코칭스태프의 설명. 이것도 색소폰 주자였던 부친 박인호(58)씨의 영향을 받았다.

脫解齒叱今(一作吐解尼師今)

*[은자주]叱과 師는 사잇소리 "ㅅ“ 표기임, 齒는 훈독,尼는 음독.

탈해 닛금(토해 닛금)은

南解王時

남해왕 때에

(古本云 壬寅年至者謬矣. 近則後於弩禮卽位之初 無爭讓之事 前則在於赫居之世 故知壬寅非也)

(일연주;고본에 이르기를, 임인년에 왔다는 것은 잘못이다. 가깝다면 노례왕 즉위초보다 뒤이니 왕위를 다투어 양보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요, 앞서다면 혁거세왕 때에 있었을 것이므로 임인년은 아니다.)

駕洛國海中有船來泊

가락국의 바다에 어떤 배가 와서 닿았다.

其國首露王

그 나라의 수로왕이

與臣民鼓譟而迎 將欲留之

신하와 백성들과 북을 치고 떠들면서 머무르게 하려고 했으나

而舡乃飛走 至於鷄林東下西知村阿珍浦(今有上西知下西知村名)

배는 급히 달아나 계림의 동쪽 하서지촌 아진포에 이르렀다.

時浦邊有一嫗 名阿珍義先

이때 갯가에 한 늙은 할멈이 이름을 아진의선이라 하였는데

乃赫居王之海尺之母

이가 바로 혁거세왕 때의 고기잡이 할멈이었다.

望之謂曰

그녀는 배를 바라보고 말했다.

此海中元無石嵓

“이 바다 가운데에 원래 바위가 없는데

何因鵲集而鳴

어찌해서 까치가 모여서 울고 있는가.”

拏舡尋之 鵲集一舡上

배를 끌어당겨 찾아보니 까치가 배 위에 모여들고

舡中有一櫃子 長二十尺 廣十三尺

그 배 안에 궤 하나가 있었는데, 길이는 스무자나 되고 넓이는 열 세 자였다.

曳其船 置於一樹林下

그 배를 끌어다가 나무 숲 밑에 매어두고

而未知凶乎吉乎

이것이 흉한 일인지 길하 일인지를 몰라

向天而誓爾

하늘을 향해 고하였다.

俄而乃開見 有端正男子

얼마 후에 궤를 열어보니 잘 생긴 사내아이가 있었고,

竝七寶奴婢滿載其中

또 일곱 가지 보물과 노비가 그 속에 가득하였다.

供給七日 迺言曰

이레동안 잘 대접하였더니 그 사내아이는 말하였다.

我本龍城國人(亦云正明國 或云琓夏國 琓夏或作花廈國 龍城在倭東北一千里)

“나는 본시 용성국 사람으로

我國嘗有二十八龍王 從人胎而生

우리나라엔 일찌기 28용왕이 있었는데 모두 다 사람의 태에서 났으며,

自五歲六歲 繼登王位

5-6세 때부터 왕위에 올라

敎萬民修正性命

만민을 가르쳐 성명(性命)을 바르게 하였습니다.

而有八品姓骨

팔품의 성골이 있는데

然無揀擇 皆登大位

그들은 간택하는 일이 없이 모두 왕위에 올랐습니다.


時我父王含達婆 聘積女國王女爲妃

이때 우리 부왕 함달파가 적녀국의 왕녀를 맞이하여 왕비로 삼았는데

久無子胤 禱祀求息

오래도록 아들이 없으므로 기도를 하여 자식을 빌었는데

七年後産一大卵

7년만에 커다란 알 하나를 낳았습니다.

於是大王會問群臣

이에 대왕은 군신을 소집하여 묻기를,

人而生卵

“사람으로 알을 낳은 일은

古今未有 殆非吉祥

고금에 없는 일이며 아마도 길하고 상서로운 일은 아닐 것이다.“ 하고

乃造櫃置我

궤를 만들어서 나를 그 속에다 넣고

幷七寶奴婢載於舡中

일곱 가지 보물과 노비들을 함께 배 안에 실은 후에

浮海而祝曰

바다에 띄우고 축원하기를,

任到有緣之地 立國成家

‘마음대로 인연이 있는 땅에 닿아 국가를 세우라.’고 하였습니다.

便有赤龍 護舡而至此矣

문득 붉은 용이 나타나 배를 호위하고 여기까지 오게 된 것입니다.”

言訖 其童子曳杖率二奴

말을 끝내자 그 아이는 지팡이를 끌고 두 종을 데리고

登吐含山上作石塚 留七日

토함산 위에 올라가 돌집을 지어 그 곳에서 아레 동안 머물렀다.

望城中可居之地 見一峯如三日月

성 안에 살만한 곳을 바라보다가 마치 초승달 모양으로 된 봉우리가 보았는데

勢可久之地

그 지세가 오래 살만한 땅이었다.

乃下尋之 卽瓠公宅也

이에 내려와서 그 곳을 찾아가 보니 바로 호공[朴公]의 집이었다.

乃設詭計 潛埋礪炭於其側

이에 지략을 써서 몰래 숫돌과 숯을 그 집 곁에 묻어놓고

詰朝至門云

다음날 아침 그 집 문 앞에 가서 말했다.

此是吾祖代家屋

“이 집은 조상 대대로 이어온 우리집입니다.”

瓠公云 否 爭訟不決 乃告于官

호공이 그렇지 않다고 하여 쟁송이 판결나지 않아 관가에 고했다.

官曰 以何驗是汝家

관가에서 동자에게 물었다.

“무슨 증거로 너의 집인고?”

童曰

아이가 말했다.

我本冶匠 乍出隣鄕

“나는 본시 대장장이였는데 잠시 이웃 고을에 나간 동안에

而人取居之 請掘地撿看

다른 사람이 빼앗아서 살고 있으므로 땅을 파서 조사해 보기를 청합니다.”

從之 果得礪炭

그 말을 따랐다. 과연 숫돌과 숯이 나왔다.

乃取而居焉

이에 그 집을 빼앗아 살았다.

時南解王知脫解是智人

이 때 남해왕은 탈해가 지혜로운 사람임을 알고

以長公主妻之 是爲阿尼夫人

맏공주를 그의 아내로 삼게 하니 이가 곧 아니부인이었다.


一日吐解登東岳 廻程次

하루는 탈해가 동악에 올랐다가 돌아오는 길에

令白衣索水飮之

백의(白衣)에게 물을 찾아 떠오게 하였다.

白衣汲水中路先嘗而進

백의는 물을 떠서 가지고 오다가 중도에서 자기가 먼저 마시고 탈해에게 올리려고 하였다.

其角杯貼於口不解. 因而嘖之 白衣誓曰

뿔잔이 입이 붙어 떨어지지 않아 탈해가 이로 인하여 꾸짖었다. 백의가 맹세했다.

爾後若近遙不敢先嘗

“이제는 가까운 곳이든 먼 곳이든 먼저 마시지 않겠습니다.”

然後內解

걸한 후에 뿔잔이 입에서 떨어졌다.

自此白衣 讋服 不敢欺罔

그 이후로 백의는 탈해를 두려워하여 감히 속이지 않았다.

今東岳中有一井 俗云遙乃井是也

지금 동악에 우물 하나가 있는데, 세상사람들이 요내정이라 말하는 것이 바로 그 우물이다.

及弩禮王崩 以光虎帝中元六(二)年丁巳六月 乃登王位

노례왕이 붕어하시고 광무제 중원 6년(57년) 6월에 탈해는 왕위에 올랐다.


以昔是吾家取他人家 故因姓昔氏

옛날에 자기 집이라 하여 남의 집을 빼앗았으므로 인하여 성을 석(昔)씨라고 하였다.

或云 因鵲開櫃 故去鳥字 姓昔氏

혹은 까치로 인해서 상자를 열었으므로 ‘鵲자에서 새 조(鳥)를 제거하고 성을 석(昔)씨로 했다고도 한다.

解櫃脫卵而生 故因名脫解

그리고 궤를 열자 알을 깨고 나왔으므로 탈해라고 이름했다고 한다.


在位二十三年 建初四年己卯崩

왕위에 오른 지 23년만인 건초 4년(79년)에 붕어하셨다.

葬䟽川丘中 後有神詔

소천구에 장례를 지냈는데 그 후 신이 명령하기를,

愼埋葬我骨

'내 뼈를 조심해서 묻어라' 했다고 한다.

其觸髏周三尺二寸 身骨長九尺七寸

두개골의 둘레는 3자 2치였고 신장 뼈의 길이는 9자 7치였다.

齒凝如一 骨節皆連琑

치아[齒]는 서로 엉기어 하나가 된 듯하고 뼈마디 사이는 모두 연이어져 있어,

所謂天下無敵力士之骨

이른바 바로 천하에 적이 없는 역사의 골격이었다.

碎爲塑像 安闕內

뼈를 부수어서 소상(塑像)을 만들어 대궐 안에 안치했다.

神又報云

탈해신이 또 말하기를,

我骨置於東岳 故令安之

“내 뼈를 동악에 안치하라,” 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 곳에 모시게 하였다.

(一云 崩後二十七世文虎王代 調露二年庚辰三月十五日辛酉夜

見夢於太宗 有老人貌甚威猛曰

태종에게 현몽하였다. 노인의 모습이 심히 위엄 있고 용맹한 이가 말하기를,

我是解脫也 拔我骨於䟽川丘

“나는 탈해이다. 소천구에서 내 유골을 추려서

塑像安於土含山.

소상을 토함산에 안치하라.”고 했다

王從其言 故至今國祀不絶

태종대왕은 그 말을 따랐으므로 지금껏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가 끊어지지 아니하니,

卽東岳神也云)

곧 동악신이시다.)





 

아기왕이 한 번 일어나리라

-신라시조 혁거세왕

新羅始祖 赫居世王, 삼국유사 권1

 

前漢地節元年壬子(古本云建虎元年, 又云建元三年等, 皆誤)三月朔,

民皆放逸 自從所欲

백성들이 방

전한 지절 원년(B.C.69년) 3월 초하룻날,

六部祖各率子弟, 俱會於閼川岸上, 議曰:

여섯부의 조상들은 자제를 거느리고 알천의 언덕위에 모여서 의논을 하였다.

「我輩上無君主 臨理蒸民

"우리들은 위로 임금이 없어서 백성들에 임하여 다스리지만

자하여 스스로 하고자하는 바를 따르니

盍覓有德人 爲之君主 立邦設都乎?」 *합:何不

어찌 덕 있는 사람을 찾아 임금으로 삼고 나라를 세워 도읍을 정하지 않으리오."

於是 乘高南望

이에 그들이 높은 곳에 올라가서 남쪽을 바라보니

楊山下蘿井傍 異氣如電光垂地

양산 아래 나정(蘿井) 곁에 이상한 기운이 번갯불처럼 땅에 닿았더라.

有一白馬跪拜之狀

백마 한 마리가 꿇어 앉아 절을 하는 형상이었다.

尋撿之 有一紫卵(一云靑大卵).

그곳을 찾아가 살펴본즉 자줏빛 알 하나가 있었다.

馬見人長嘶上天

말은 사람을 보더니 길게 울고는 하늘로 올라갔다.

剖其卵得童男

그 알을 깨어보니 사내아이가 나왔는데

形儀端美 驚異之

대개 신라말이다.

或作

외모가 단정하고 아름다워 모두 놀라고 이상하게 여겼다.

浴於東泉(東泉寺在詞腦野北) 身生光彩

그 아이를 동천에서 목욕을 시키자 몸에서 광채가 났다.

鳥獸率舞 天地振動 日月淸明

새와 짐승들이 따르며 춤을 추고 이내 천지가 진동하고 해와 달이 청명했다.

因名赫居世王.

그로 인하여 그 아이를 혁거세왕이라고 이름하였다.

 

(蓋鄕言也.

弗矩內王 言光明理世也.

혹은 불그내왕이라고도 한다. 광명으로 세상을 다스린다는 뜻이다.

說者云 是西述聖母之所誕也.

설자는 말하기를, 이는 서술성모가 탄생한 것이니

故中華人讚仙桃聖母

중국인들이 선도성모를 찬양하여

有娠賢肇邦之語是也.

“현인(賢人)을 임신하여 나라를 시작하였네.”라고 한 말이 이것이다.

乃至雞龍現瑞産閼英

계룡이 상서로움을 나타내고 알영을 낳았다는 이야기도

又焉知非西述聖母之所現耶?)

또한 서술성모가 현신(現身)한 것은 아닌지 어찌 알리오?

 

位號曰 居瑟邯.

위호는 거슬한이라고 했다.

 

(或作居西干

혹은 거서간이라고도 한다.

初開口之時 自稱云

처음 입을 열 때에 스스로 칭하기를,

閼智居西干一起

“아기거서간이 한 번 일어나리라.” 했으므로,

因其言稱之 自後爲王者之尊稱)

거서간은 그의 말을 따라 호칭한 것으로, 그 후로 왕이 된 이의 존칭이었다.

 

時人爭賀曰

당시의 사람들은 서로 앞다투어 치하를 하였다.

「今天子已降

"이제 천자가 하늘에서 내려왔으니

宜覓有德女君配之.」

마당히 덕이 있는 왕후를 찾아 배필을 삼아야 합니다."

 

是日 沙梁里閼英井(一作娥利英井)邊

이 날 사량리에 있는 알영정 주변에

有雞龍現而左脇誕生童女(一云龍現死 而剖其腹得之)

계룡이 나타나 왼쪽 갈비에서 계집아이를 낳았다.

姿容殊麗 然而唇似雞觜

얼굴와 모습이 매우 고왔으나 입은 닭의 부리와 같았다.

將浴於月城北川 其觜撥落

월성의 북천에 가서 목욕을 시키니 그 부리가 떨어졌으므로

因名其川曰撥川.

그 내를 발천이라고 하였다.

營宮室於南山西麓(今昌林寺) 奉養二聖兒.

남산의 서쪽 기슭에 궁궐을 짓고 성스러운 두 사람을 받들어 길렀다.

男以卵生 卵如瓠.

사내아이가 알에서 나왔데 그 알이 박과 같았다.

鄕人以瓠爲朴 故因姓朴.

향인들은 박을 박(朴)이라 하am로 그 성을 박(朴)이라 하였다.

女以所出井名名之.

계집아이는 그녀가 나온 우물의 이름을 따서 알영이라 이름하였다.

二聖年至十三歲 以五鳳元年甲子

두 성인이 나이가 열세살이 되자 오봉원년 갑자에

男立爲王 仍以女爲后

사내아이는 왕이 되고 그 여자를 왕후로 삼았다.

國號徐羅伐 又徐伐(今俗訓京字云徐伐. 以此故也). 或云斯羅 又斯盧.

나라의 이름을 서라벌 또는 서벌이라 하고 혹은 사라 또는 사로라고 하였다.

 

初王生於雞井 故或云 雞林國

처음에 왕이 계정[나정]에서 탄생을 하였기 때문에 나라이름을 계림국이라고도 하였다.

以其雞龍現瑞也.

이것은 계룡이 상서로움을 나타냈기 때문이었다.

 

一說 脫解王時 得金閼智 以雞鳴於林中

일설에는 탈해왕 때 김알지를 얻을 때 숲속에서 닭이 울었다고 하여

乃改國號爲雞林.

국호를 고쳐 계림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은자주]雞林, 始林은 모두 고유어 '새벌 새불'로'東川 東國'의 뜻임.

後世遂定新羅之號.

후세 드디어 신라라고 국호를 정하였다.

 

理國六十一年. 王升于天.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이 되던 해에 박혁거세왕은 하늘로 올라갔는데

七日后 遺體散落于地.

이레후에 몸뚱이가 땅에 흩어져 떨어졌다.[풍장(風葬)]

 

后亦云亡.

그리고 왕후도 역시 훙거(薨去)했다고 한다.

國人欲合而葬之

나라의 사람들이 이들을 합장하여 장사를 지내려 하자

有大蛇逐禁 各葬五體爲五陵.

큰 뱀이 나타나 방해를 하므로 머리와 사지를 제작기 장사지내어 오릉을 만들었다.

亦名蛇陵. 曇嚴寺北陵是也.

또한 사릉(蛇陵)이라고 이름하였다. 담엄사 북쪽의 능이 바로 이것이다.

太子南解繼位.

태자 남해왕이 즉위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신화의 특징]

 

1.天賜卵;신성시 됨.人卵은 遺棄 過程 수반됨.아름답고 찬란한 황금과 황슴빛 수반됨.

2.井泉,櫃,金合子;농경민의 정착생활 반영. 降雨의 담당자 池龍.井泉에는 瑞氣 天氣 어림.

3.天馬思想;1)祭儀적 面유사 p66:8행. <新羅別記 刑白馬而盟 先祀天神及山川之靈...

2)하늘의 使者로 降雨를 담당하는 龍馬.天馬.동명왕의 五龍車.

4.仙桃聖母 신화: 삼국유사 권5 感通 제7 仙桃聖母隨喜佛事 유사,p.216. 神母本中國帝室之女 名娑蘇 早得神仙之術 歸止海東 久而不還. (...중략...) 其始到辰韓也 生聖子 爲東國始君 蓋赫居閼英 二聖之所自也.

삼국사기 권12.政和年間 宋에 朝貢갈 때 김부식이 文翰의 소임을 맡고 祐神館에 이르러 女仙의 像을 모신 一堂을 보았다.

館伴學士王黼曰 此貴國之神公 等知之乎

遂言曰 古有帝室之女 不夫而孕 爲人所疑 乃泛海抵辰韓 生子 爲海東始主 帝女爲地仙 長在仙桃山 此其像也

臣又見大宋國 信使王襄 祭東神聖母文 有‘娠賢肇邦’之句 乃知東神 則仙桃山神聖者也 然而不知其子王於何時. [혁거세왕을 말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