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자주]장아함경을 보니 한용운의 대표작의 하나로 꼽히는 <나룻배와 행인>의 의미가 명료해져 여기에 함께 싣습니다. 부처님은 당신이 뱃사공이라했는데 만해 선생은 자신이 나룻배라 했습니다. 시인은 부처님보다 더큰 행원을 품었던 것 같습니다.

나루를 건너고자하는 자를 강 건너 피안에 닿게 하는 것, 그것이 보살행이고 수순중생(隨順衆生)이고, 중구삭금(衆口삭[金+樂]金)이며, 관음보살의 마음인 듯합니다.

그의 독립운동도 불교유신운동도 항상 중생의 올바른 마음을 따르는 부처님 마음에서 나왔습니다.

나룻배와 행인
─한용운

나는 나룻배.
당신은 行人.

당신은 흙발로 나를 짓밟읍니다.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갑니다.
나는 당신을 안으면 깊으나 얕으나 급한 여울이나 건너갑니다.

만일 당신이 아니 오시면 나는 바람을 쐬고 눈비를 맞으며 밤에서 낮까지 당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당신은 물만 건너면 나를 돌아보지도않고 가십니다그려.

그러나 당신이 언제든지 오실 줄만은 알아요.
나는 당신을 기다리면서 날마다 날마다 낡아갑니다.

나는 나룻배.
당신은 行人.



오도송(悟道頌

-한용운

대장부란 어디메나 다 고향인 것을
나그네 시름에 잠긴 사람 그 얼마나 많나
한 마디 버럭 질러 삼천 세계 뒤흔드노니
눈 속에 복사꽃 펄펄 날리네.



[불설장아함경 제2권]

爾時。世尊出巴陵弗城。至于水邊。
그 때 세존께서 파릉불성을 나와서 강가에 이르렀다.



時水岸上人民衆多。中有乘船渡者。
그 때 언덕 위에는 많은 사람이 있었고, 그 중에는 배를 타고 강을 건너가는 사람도 있고,


或有乘筏。或有乘桴而渡河者。
혹은 뗏목을 타고 건너는 사람도 있었으며, 또는 작은 뗏목을 타고 강을 건너는 사람도 있었다.


爾時。世尊與諸大衆。
그 때 세존께서는 대중들과 함께

譬如力士屈伸臂頃。忽至彼岸。

힘센 사람이 팔을 굽혔다 펼 정도의 짧은 시간에 저쪽 언덕으로 건너가셨다.


世尊觀此義已。卽說頌曰
세존께서는 이런 이치를 관찰해 마치고 곧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佛爲海船師  法橋渡河津
大乘道之輿  一切渡天人

부처는 바다의 사공이요
법의 다리 놓아 강을 건너는 나루 되시며
대승도(大乘道)의 큰 수레로
일체의 천상과 인간을 건네주시네.

亦爲自解結  渡岸得昇仙
都使諸弟子  縛解得涅槃

또한 스스로 번뇌를 끊고
저 언덕으로 건너 신선이 되며
또 그 모든 제자들로 하여금
결박을 풀어 열반을 얻게 하시네.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칭찬여래가  (0) 2008.08.30
1. 예경제불가  (0) 2008.08.30
보현행원품 도입부  (0) 2008.08.29
균여전에 수록된 향가  (0) 2008.08.29
향가연구의 문제와 연구서들  (0) 2008.08.29

40권본 화엄경 보현행원품

이운허 역, 동국대학교역경원.

大方廣佛華嚴經卷第四十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kyoung/index_kyoung.asp?kyoungName=%B4%EB%B9%E6%B1%A4%BA%D2%C8%AD%BE%F6%B0%E640%B1%C7%BA%BB&kyoungList=2

[은자주]이 도입부에 이어서십원(十願)에 대한 설명과 게송이 나온다. 십원 부분은 향가 작품 10수에 맞추어 정리하기로 한다. 균여대사가 그 진수를 모아 우리말로 된 보현십원가 10[전체는 11수]로 압축한 것이다. 교술장르인 가사가 불교에서 시작된 이유도 알 만하다. 우리말로 바꾸어야 대중들에게 그 뜻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罽賓國三藏般若奉 詔譯

 “선남자여, 여래의 공덕은 시방세계의 부처님들이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는 부처님 세계의 티끌 수 같은 겁 동안에


相續演說不可窮盡。 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불가사의한 해탈의 경계에 들어가는 보현보살님의 행동과 서원을 담은 불경의 한 부분입니다.)


爾時普賢菩薩摩訶薩。稱歎如來勝功德已。

그때에 보현보살마하살이 부처님의 거룩하신 공덕을 두루 찬탄하고 나서

告諸菩薩及善財言。

여러 보살들과 선재동자에게 다시 말씀하셨다.

善男子。如來功德。假使十方一切諸佛經不可說不可說佛刹極

微塵數劫。

계속하여 말하더라도 끝까지 다할 수가 없느니라.

若欲成就此功德門。應修十種廣大行願。。

만일 이러한 공덕을 성취하려면 마땅히 열 가지 넓고 큰 행과 원을 닦아야 하느니라.

何等爲十

무엇이 열 가지인가?

一者禮敬諸佛。二者稱讚如來。三者廣修供養。

四者懺悔業障。五者隨喜功德。六者請轉法輪。

七者請佛住世。八者常隨佛學。九者恒順衆生。

十者普皆迴向

하나는 부처님께 예경함이요,

둘은 여래를 찬탄함이요,

셋은 여러 가지로 공양함이요,

넷은 업장을 참회함이요,

다섯은 남의 공덕을 따라 기뻐함이요,

여섯은 법륜(法輪) 굴리시기를 청함이요,

일곱은 부처님이 세상에 오래 계시기를 청함이요,

여덟은 부처님을 따라서 배움이요,

아홉은 중생의 뜻에 늘 따라 줌이요,

열은 모두 회향함이니라.”

善財白言。

선재동자가 사뢰기를,

大聖。云何禮敬乃至迴向。
『거룩하신 이여! 어떻게 예경하오며 어떻게 회향해야 하나이까?』

普賢菩薩。告善財言。

보현보살이 선재동자에게 말씀하였다.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예경제불가  (0) 2008.08.30
나룻배와 행인 ─한용운  (0) 2008.08.30
균여전에 수록된 향가  (0) 2008.08.29
향가연구의 문제와 연구서들  (0) 2008.08.29
바다에서 허황후 오시다/ 가락국기  (0) 2008.08.28

均如傳에 수록된 향가


[은자주]균여대사의 전기 <균여전>은 100여 년에 걸친 불가(佛家)의 문화유산이다. 화엄경 보현행원품 성립부터 기산(起算)하면 중국의 한역을 거쳐 천여 년은 족히 추가되리라.

보현십원가 11수는 均如大師(923-973)의 소작(所作)로 전기(傳記)의 제7장 ⑦歌行化世分에 수록하였다. 崔行歸는 향가를 七言律詩로 번역하고 서문까지 지었는데(983년) 이것이 제8장 ⑧譯歌現德分이다.

그후 고려 문종 29년(1075) 혁연정(赫連挺)은 일곱 장을 추가한 끝에 드디어 균여대사의 전기 均如傳[약칭, 원제: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을 편찬하였던 것이다. 향가 11수, 한역가 11수, 균여전 등 세 단계의 과정을 거쳐 우리는 그 전모를 알 수 있으니 어느 분의 노고도 결코 가볍다 할 수 없다. 원작이 없었다면 한역가도 없었을 것이요, 한역가가 없었다면 향찰로 표기된 원작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기 어려웠을 것이요, 이 두 개의 장이 없다면 균여전의 전기는 승려 한 분의 일대기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주의 할 것은 향가라면 으레 신라시대의 노래인데, 여기 보현십원가의 향가 11수는 고려시대의 작품이다.

다음 꼭지에서부터 향가, 한역가, 화엄경 보현행원품을 묶어 한 작품씩 살펴보고자 한다.


[균여전소재 11首]

普賢十願歌(均如大師)

◇普賢菩薩十種願王歌(原題)


(1)균여전의 구성(全九章)

①降誕靈驗分 ②出家請益分 ③姉妹齊賢分

④立義定宗分 ⑤解釋諸章分 ⑥感通神異分

歌行化世分 ⑧譯歌現德分 ⑨感應降魔分


(2)歌行化世分

-均如大師(923-973, 고려 太祖6- 고려 光宗24) 창작은 949-973년으로 추정.

◇普賢十願歌 11수

①禮敬諸佛歌 ②稱讚如來歌 ③廣修供養歌

④懺悔業障歌 ⑤隨喜功德歌 ⑥請轉法輪歌

⑦諸佛住世歌 ⑧常隨佛學歌 ⑨恒順衆生歌

⑩普皆廻向歌 ⑪總結無盡歌


(3)⑧譯歌現德分

-漢詩로 飜譯한 崔行歸의 序(983). 七言律詩.


(4)均如傳[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 고려 문종 29년(1075) 赫連挺 撰.

[참조]均如(俗姓은 邊氏, 黃州출신,923-973.고려 太祖6- 고려 光宗24)) 향가 11수는 고려시대의 작품. 광종(재위 949-975) 949-973년으로 추정.


[참고]

崔行歸의 序(983)에 나타난 보배로운 말씀들

[第七 歌行化世分者]

師之外學 尤閑於詞腦(意精於詞 故云腦也)

균여대사는 불교 외의 학문으로는 특히 사뇌(지은이의 뜻이 가사에 정밀하게 표현되므로 腦)라 한다)에 익숙하여

依普賢十種願王 著歌一十一章.

보현보살의 열 가지 서원을 바탕으로 노래 11章을 지었다.

其序云

그 서문에 이르기를,

夫詞腦者 世人喜樂之具

“대저 詞腦라하는 것은 세상 사람들이 놀고 즐기는 데에 쓰는 도구요

願王者 卄卄(주,菩薩)修行之樞

願王이라 한 것은 보살 수행의 중추이다.

故得涉淺歸深

그러므로 얕은 데를 지나 깊은 데로 갈 수 있고,

從近至遠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에 이르는 것이니

不憑世道 無引劣根之由

세상의 도구에 의지하지 않고는 劣根을 가진 사람들을 인도할 단서가 없고,

非其陋言 莫現普因之路.

우리말이 아니면 큰 인연을 나타낼 길이 없다.”


[第八 譯歌現德分者] 漢詩를 飜譯한 崔行歸의 序(983).

然而詩搆唐辭 磨琢於五言七字

그러나 漢詩는 중국 글자로 였어서 五言, 七言으로 다듬고,

歌排鄕語 切磋於三句六名

향가는 우리말로 배열해서 三句六名으로 다듬는다.

(…중략…)

八九行之唐序 義廣文豊

8-9행의 한문으로 쓴 서문은 뜻이 넓고 문채가 풍부하며,

十一首之鄕歌 詞淸句麗

11수의 향찰로 쓴 노래는 그 가사가 맑고 곱다.

其爲作也 呼稱詞腦

창작된 것을 사내(詞腦, 東川의 뜻)라 부르니

可欺貞觀之詞

貞觀(唐太宗,627-649) 때의 시를 대단치 않게 생각할 만하고,

精若賦頭

정치(精緻)함은 賦 작품 중 으뜸인 것과 같아서

堪比惠明之賦

육조시대 晉의 惠帝(290-306), 東晉의 明帝(323-325) 때의 賦에 비길만하다.

而唐人見處 於序外以難詳

그러나 중국인이 보면 서문 외에는 자세히 알기 어렵고

鄕士聞時 就歌中而易誦

우리나라 선비들이 들을 적에는 노래에 참가하여 쉽사리 왼다.

皆沾半利 各漏全功.

양쪽 모두 반쪽 이익만 취하고 각기 온전한 성공은 놓친다.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룻배와 행인 ─한용운  (0) 2008.08.30
보현행원품 도입부  (0) 2008.08.29
향가연구의 문제와 연구서들  (0) 2008.08.29
바다에서 허황후 오시다/ 가락국기  (0) 2008.08.28
금빛 아기 일어나시다  (0) 2008.08.28

향가연구의 문제와 연구서들

◇향가연구의 제문제

1.語釋:신라어 재구에 어려움.

󰋬몽고어(김선기), 터어키어(강길운), 일본어, 만주어.

󰋬원칙:의미부(訓借), 형태부(音借)

󰋬어학적 문제:해독과 주석, 음운체계와 표기법, 어휘론.

2.형식문제:5행시(도솔가,강길운), 6행시(풍요,김선기)

󰋬형식 발생의 선후 문제(청우;同時多發)

3.작품명:

󰋬禱千手觀音歌(양주동), 盲兒得眼歌(소창진평), 千手大悲歌(김동욱), 觀音歌(홍기문), 눈밝안노래(김선기), 千手千眼觀音歌((김사엽)

󰋬怨歌(양주동), 信忠栢樹歌(소창진평), 掛冠歌(정렬모), 宮庭栢(지헌영), 잣나무노래(홍기문), 잣나모노래(김선기), 怨樹歌(양재연),

4.작가명(청우;諡號적 성격). 원왕생가(광덕의 처, 김동욱)

5.해석:

󰋬문학적(양주동), 어학적(김완진 1차 정리), 신화적(기호체계), 민속학적(辟邪進慶;처용가)

6.記述物의 처리: 작품에 포함 또는 분리.

󰋬신화적 해석, 歷史(寫實)적 해석.


향가연구서 목록

小倉進平:1929,鄕歌 및 吏讀의 硏究.

梁柱東:1942,古歌硏究/1965,增訂 古歌硏究,一潮閣.

池憲英:1948,鄕歌麗謠新釋

李鐸:1958,鄕歌新解讀,國語學論攷.

金善琪:1967-1975,향가의 새로운 풀이,現代文學 145호-250호 16회 分載.

金鍾雨:1971,鄕歌文學論,석학문화사/선명문화사.

鄭然粲:1972,鄕歌解讀의 一斑,鄕歌의 語文學的 硏究(김열규 이재선 공저)

徐在克:1975,新羅 鄕歌의 語彙硏究,계명대출판부.

金俊榮:1979,鄕歌文學,형설출판사.

崔 喆:1979,新羅歌謠硏究,개문사.

金完鎭:1980,鄕歌解讀法硏究,서울대출판부.

林基中:1981,新羅歌謠와 記述物의 硏究,이우출판사.

金雲學:1981,佛敎文學의 理論,일지사.

朴魯埻:1982,新羅歌謠의 硏究,열화당.

兪昌均:1994,鄕歌批解,螢雪出版社.

姜吉云:1995,鄕歌新解讀硏究,學文社.


연구서의 특징

梁柱東,增訂 古歌硏究,一潮閣,1965/1968.[문학적 관점]

兪昌均,鄕歌批解,螢雪出版社,1994.[어학적 관점]

金善琪,1967-1975,향가의 새로운 풀이,現代文學 145호-250호 16회 分載.[몽고어 참조]

姜吉云,鄕歌新解讀硏究,學文社,1995.[터어키어 참조] p.19.‘攴(복:치다):단어나 어절의 분계표, 支(지:가르다):이음표.<삼국사기>지리지에서는 ‘支’가 ’只‘와 함께 ’기‘나 ’지‘로 읽힘.

林基中,우리의 옛노래,현암사,1993.

󰋬[林]은 임기중 역으로 양주동 해독을 보완한 것임.


歌名 제시 여부 *( ) 표시는 연구자들이 부여한 것.

1.(慕竹旨郞歌);孝昭王代 竹旨郞 39.2-76:初得烏谷 慕郞而作歌曰,

2.老人獻花歌;水路夫人 41.2-78:老人獻花歌曰,

3.安民歌;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 43.2-79:安民歌曰,

4.讚耆婆郞歌;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 43.2-79:讚耆婆郞歌曰, (본문)讚耆婆郞詞腦歌

5.(處容歌);處容郞 望海寺 50.2-88:乃唱歌 作舞而退 歌曰,

6.(薯童謠);武王 57.2-98:乃作謠 誘群童而唱之云,

7.(禱千手觀音歌);芬皇寺 千手大悲 盲兒得眼 84.4-158:令兒作歌 禱之.遂得明 其詞曰,

8.風謠;志使錫 99.5-187:風謠云,

9.(願往生歌);廣德 嚴莊 116.7-219:德嘗有歌云,

10.兜率歌;月明寺 兜率歌 119.7-222:明乃作兜率歌賦之 其詞曰,

11.(祭亡妹歌);月明寺 兜率歌 119.7-222:作鄕歌祭之...歌曰,

12.彗星歌;融天師 彗星歌 眞平王代 122.7-228:時天師作歌 歌之...歌曰,

13.(怨歌);信忠掛冠 127.8-232:怨而作歌 帖於栢樹...乃召之 賜爵祿 栢樹乃蘇 歌曰,

14.(遇賊歌);永才遇賊 129.8-235:乃命□□□作歌 其辭曰,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현행원품 도입부  (0) 2008.08.29
균여전에 수록된 향가  (0) 2008.08.29
바다에서 허황후 오시다/ 가락국기  (0) 2008.08.28
금빛 아기 일어나시다  (0) 2008.08.28
마린보이 탈해왕 신화  (0) 2008.08.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