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1piNwtBBzeU
( 262년 07월
一年春一月 미추 이사금이 즉위하다
一年春三月 용이 궁 동쪽 연못에서 나타나다
一年秋七月 금성 서문의 화재로 민가가 불타다
二年春一月 이찬 양부를 서불한으로 삼다
二年春二月 국조묘에 제사지내고 사면한 후 구도를 갈문왕으로 봉하다
三年春二月 동쪽으로 순행하여 바다를 보다
三年春三月 황산에 행차해 나이 많고 가난한 사람을 진휼하다
五年秋八月 백제가 봉산성을 공격해 오자 성주 직선이 이를 물리치다
七年 남당에서 정치와 형벌의 잘잘못을 묻다
十一年春二月 농사짓는 일에 해가 없도록 영을 내리다
十一年秋七月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을 해치다
十一年冬十一月 백제가 변경을 침략하다
十五年春二月 신료들이 궁실을 고쳐 짓기를 청하였으나 왕이 따르지 않다
十七年夏四月 폭풍이 불어 나무가 뽑히다
十七年冬十月 백제 군사가 괴곡성을 포위하자 파진찬 정원이 이를 막다
十九年夏四月 가물고 죄수의 정상을 살피다
二十年春一月 홍권을 이찬으로, 양질을 일길찬으로, 광겸을 사찬으로 삼다
二十年春二月 시조묘에 배알하다
二十年秋九月 양산 서쪽에서 크게 사열하다
二十二年秋九月 백제가 변경을 침략하다
二十二年冬十月 백제가 괴곡성을 포위하자 일길찬 양질이 막다
二十三年春二月 나라 서쪽의 여러 성을 돌아다니며 위로하다
二十三年冬十月 왕이 죽다
출처 https://namu.wiki/w/%EB%AF%B8%EC%B6%94%20%EC%9D%B4%EC%82%AC%EA%B8%88
아래 기록을 순서대로 참고하면 김부식 <삼국유사> 원문과 번역을 독파할 수 있습니다.
味鄒尼師今(미추니사금)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sg_002r_0070_0010
미추이사금이 즉위하다 ( 262년 01월(음) )
味鄒尼師今立 一云味照.. 姓金. 母朴氏, 葛文王伊柒之女, 妃昔氏光明夫人, 助賁王之女. 其先閼智出於雞林, 脫解王得之, 養於宫中, 後拜爲大輔. 閼智生勢漢, 勢漢生阿道, 阿道生首留, 首留生郁甫, 郁甫生仇道, 仇道則味鄒之考也. 沾解無子, 囯人立味鄒. 此金氏有國之始也.
미추이사금이 즉위하다 ( 262년 01월(음) )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註 001이 왕위에 올랐다. 어떤 글에서는 미조(味照)라 하였다. 성은 김씨(金氏)이다. 어머니 박씨는 이칠갈문왕(伊柒葛文王)의 딸註 002이고, 왕비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註 003은 조분왕(助賁王)註 004의 딸이다. 김씨 시조 김알지(金閼智)註 005는 계림(鷄林)註 006에서 태어났는데, 탈해왕(脫解王)註 007이 거두어 궁중에서 기르다가, 나중에 대보(大輔)註 008에 임명하였다. 알지는 세한(勢漢)註 009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註 010를 낳고,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註 011를 낳고, 욱보는 구도(仇道)註 012를 낳았는데, 구도가 바로 미추의 아버지이다. 〔전왕〕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註 013에게 〔왕위를 이을〕 아들이 없어서, 나라 사람들이 미추를 왕으로 세웠다. 이것이 김씨가 나라를 갖게 된 시초이다.
註 001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생몰년은 미상~284년이며, 262~284년까지 재위한 신라 제13대 왕이다. 계보상 성은 김(金)이고 이름은 미추(味鄒, 未鄒)인데, 미조(味照, 未組, 未祖), 미고(未古), 미소(味炤, 未召) 등으로도 표기했다. 미추는 발음상 ‘및(밑)’이 되고 근본[元, 本]을 의미한다고 보아 시조를 의미한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前間恭作, 1925).미추이사금은 김씨로서 최초로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김씨 왕실의 가계를 살펴보면 시조 김알지(金閼智)로부터 세한(勢漢)-아도(阿道)-수류(首留)-욱보(郁甫)-구도(仇道)로 이어지며, 구도가 미추이사금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이칠갈문왕(伊柒葛文王)의 딸 생호부인(生乎夫人) 혹은 술례부인(述禮夫人) 박씨이고, 배우자는 조분이사금의 딸 광명부인(光明夫人) 석씨이다. 즉 그는 제11대 왕의 사위로,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이나 조분이사금의 사례처럼 당시 전왕의 사위가 왕위를 이을 수 있었던 왕위계승 원리 때문에 왕위에 올랐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조분이사금의 어머니 옥모부인(玉帽夫人) 김씨는 미추이사금의 누이가 되므로, 신라 왕실의 복잡하게 중첩된 근친혼의 양상을 잘 알 수 있다.후대 왕들과도 혼인관계로 연결되는데, 제17대 왕 나물마립간은 미추이사금의 동생 말구(末仇)의 아들이어서 그의 조카가 되는 동시에, 미추의 딸을 왕후로 삼아 사위도 된다. 제18대 왕인 실성마립간 역시 미추이사금의 딸을 왕후로 삼았다.〈참고문헌〉前間恭作, 1925, 「新羅王の世次と其名に就いて」, 『東洋學報』 15-2강종훈, 2000,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註 002이칠갈문왕(伊柒葛文王)의 딸: 『삼국유사』 권제1 왕력제1에는 이비갈문왕(伊非葛文王)의 딸 생호부인(生乎夫人) 혹은 술례부인(述禮夫人)이라 되어 있다.
註 003광명부인(光明夫人): 『삼국유사』 권제1 왕력제1에는 약간 표기를 달리하여 제분왕(諸賁王, 조분이사금)의 딸 광명랑(光明娘)이라 하였다.
註 004조분왕(助賁王): 신라 제11대 왕 조분이사금으로, 왕이라는 표현은 후대에 고친 것이다. 본서 권2 신라본기2 조분이사금 즉위년(230)의 조분이사금에 대한 주석 참조.註 005김알지(金閼智):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이다. 본서 권1 신라본기1 탈해이사금 9년(65) 3월조의 알지에 대한 주석 참조.註 006계림(鷄林): 시조 신화에서 김알지가 태어났다고 전하는 숲으로, 지금의 경주 월성 서쪽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이름을 시림(始林)이라고 했으나, 김알지 탄생을 계기로 계림으로 이름을 고치고 국호로 삼았다는 기록이 본서 권1 신라본기1 탈해이사금 9년(65) 3월조에 있다.註 007탈해왕(脫解王): 신라의 제4대 왕 탈해이사금으로, 왕이라는 표현은 후대에 고친 것이다. 본서 권1 신라본기1 탈해이사금 즉위년(57)조 기사의 탈해이사금에 대한 주석 참조.註 008대보(大輔): 본서 권38 잡지7 직관상에 의하면 대보(大輔)는 남해차차웅 7년(10) 탈해를 임명한 것이 시초였다고 한다. 정확한 성격을 알 수는 없지만,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직위라 추정된다. 대보에 대해서는 본서 권1 신라본기1 탈해이사금 즉위년(57)조 기사의 주석 참조.註 009세한(勢漢): 김알지의 아들로 이 기사에서는 세한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삼국유사』 권제1 기이제1 김알지탈해왕대(金閼智脫解王代)조에는 열한(熱漢)이라 기재되어 있어 차이가 있다. 둘은 동일인의 이표기로 생각되며, 보통 ‘세한’이 원형이고 ‘열한’이 오기 혹은 후대의 변형으로 보는 편이지만(前間恭作, 1925), ‘열한’을 원형으로 보는 견해(末松保和, 1954)도 있다.그런데 신라 왕실의 시조로 ‘성한’이라는 이름이 금석문에서 확인된다. 「경주 문무왕릉비(慶州 文武王陵碑)」의 ‘15대조 성한왕(十五代祖星漢王)’과 「광조사진철대사비(廣照寺眞澈大師碑)」의 ‘성한(星漢)’, 「경주 흥덕왕릉 비편(慶州 興德王陵 碑片)」의 ‘태조성한(太祖星漢)’이 그것이다. 한자가 다르기는 하지만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毘盧寺眞空大師普法塔碑)」의 ‘성한(聖韓)’ 역시 같은 사람으로 생각된다.발음상 세한과 성한이 유사하여 이 둘을 같은 사람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前間恭作, 62쪽; 今西龍, 512쪽; 末松保和, 110~112쪽; 木下禮仁, 42~59쪽; 長田夏樹, 188쪽; 文暻鉉, 44쪽; 강종훈, 89쪽). 그러나 김씨 시조 알지의 아들로 되어 있는 세한과 신라 왕실 시조라고 전하는 성한(星漢·聖韓)을 같은 사람으로 볼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李基東, 368~371쪽; 盧明鎬, 1979; 李鍾旭, 137~140쪽; 金昌鎬, 99~100쪽; 정연식, 231~233쪽). 세한과 성한을 동일인으로 보는 입장 중에 이 기사의 계보를 그대로 따르지 않고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으로 보는 견해(前間恭作, 1925)도 있으며, 또 실제 계보와 무관하게 금석문에서만 보이는 시조적 존재로 파악하기도 한다(末松保和, 1954).〈참고문헌〉前間恭作, 1925, 「新羅王の世次と其名につきて」, 『東洋學報』15-2今西龍, 1933, 『新羅史硏究』, 近澤書店末松保和, 1954,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長田夏樹, 1966, 「新羅文武王陵碑文初探」, 『神戶外大論叢』17-1‧2‧3, 188木下禮仁, 1966, 「新羅始祖系譜の構成-金氏始祖を中心として-」, 『朝鮮史硏究会論文集』2文暻鉉, 1972, 「新羅建國說話의 硏究」, 『大丘史學』4盧明鎬, 1979, 「新羅初期 政治組織의 性格과 上古紀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李鍾旭, 1980, 『新羅上代王位繼承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137~140쪽金昌鎬, 1983, 「新羅太祖星漢의 再檢討」, 『歷史敎育論集』5李基東, 1984,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一潮閣강종훈, 2000,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89정연식, 2011, 「신라의 태조 미추왕과 은하수 星漢」, 『韓國古代史硏究』62
註 010아도(阿道): 김씨 왕실 계보에서 김알지의 손자이며 미추이사금의 고조부인 인물이다. 본서 권1 신라본기1 일성이사금 15년(148)조의 박아도에 대한 주석 참조.
註 011욱보(郁甫): 김씨 왕실 계보에서 김알지의 고손자이자 미추이사금의 조부가 되는 인물이다. 『삼국유사』 권제1 기이제1 김알지탈해왕대(金閼智脫解王代)조에는 욱부(郁部)로 기록되어 있다.
註 012구도(仇道): 아달라이사금대와 벌휴이사금대에 활동한 생몰년 미상의 인물로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의 부친이다. 본서 권2 신라본기2 아달라이사금 19년(172) 정월조의 구도에 대한 주석 참조.
註 013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 신라 제12대 왕이다. 본서 권2 신라본기2 첨해이사금 즉위년(247)조의 첨해이사금에 대한 주석 참조.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sg_002r_0070_0020
궁궐 동쪽 연못에 용이 나타나다 ( 262년 03월(음) )
元年, 春三月, 龍見宫東池.
원년(262) 봄 3월에 용이 궁궐 동쪽 연못에 나타났다.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sg_002r_0070_0030
금성 서문에 불이 나다 ( 262년 07월(음) )
秋七月, 金城西門災, 延燒人家三百校勘 001餘區.
註 001금성(金城): 신라의 왕성이다. 본서 권1 신라본기1 혁거세거서간 21년(B.C.37)조의 금성에 대한 주석 참조.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sg_002r_0070_0040
양부를 서불한에 임명하다 ( 263년 01월(음) )
二年, 春正月, 拜伊湌良夫爲舒弗邯, 兼知内外兵馬事.
註 001이찬(伊湌): 신라 경위(京位) 17관등(官等) 중 제2등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서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 9년(32)조의 이척찬에 대한 주석 참조.
註 002양부(良夫): 본서 권2 신라본기2 첨해이사금 3년(249) 7월조에 남당의 설치와 함께 이찬에 임명되었다가, 이때 서불한에 임명되어 군사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이후 행적은 알 수 없다.
註 003서불한(舒弗邯): 신라 경위 17관등 중 제일 높은 이벌찬(伊伐湌)의 이칭이다. 이벌찬에 대해서는 본서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 9년(32)조의 이벌찬에 대한 주석 참조.
註 004중앙과 … 하였다: 신라 초기에 제1, 2관등인 서불한(舒弗邯)·이벌찬(伊伐湌), 이찬(伊湌)의 임명 기사에 그들에게 군사와 국정운영을 맡겼다는 표현이 같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본 기사와 같이 군사만 맡았다고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이 당시 이들이 책임을 맡았던 군사와 국정이 엄격히 구분되는 업무 분야는 아니었다고 여겨진다. 이찬 등이 관직이 아니므로, 군사와 국정이 이찬 등의 고정적인 직무라 하기는 힘들고, 아직 관직과 관등이 분화하지 않은 상황에서 최고 직위의 역할을 서술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sg_002r_0070_0050
국조묘에 제사를 지낸 후 사면을 베풀고 선친 구도를 갈문왕에 봉하다 ( 263년 02월(음) )
註 001국조묘(國祖廟): 시조묘라 생각된다. 시조묘에 대해서는 본서 권1 신라본기1 남해차차웅 3년(6) 정월조의 시조묘에 대한 주석 참조.註 002구도(仇道): 아달라이사금대와 벌휴이사금대에 활동한 생몰년 미상의 인물로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의 부친이다. 본서 권2 신라본기2 아달라이사금 19년(172) 정월조의 구도에 대한 주석 참조.註 003갈문왕(葛文王): 갈문왕(葛文王)은 신라 왕호의 일종으로, 6세기 초 신라 금석문들에서 매금왕(寐錦王)이라 칭해지는 왕과는 엄격히 구분되는 지위이지만 동시에 왕에 준하는 특수한 지위였다고 이해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본서 권1 신라본기1 일성이사금 15년(148)조 기사의 주석 참조.
[이하 중략]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sg_002r_0070_0230
미추이사금이 죽다 ( 284년 10월(음) )
'국내여행 > 경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남산 암벽에 조각한 신라인들의 佛心/사성제(四聖諦) 八正道 (0) | 2021.12.24 |
---|---|
경주 대릉원 천마총, 천년의 역사/ 천마도& 금관 (0) | 2021.12.23 |
석굴암 불국사 양동마을 (0) | 2018.10.18 |
경주남산 칠불암과 &금오산 삼릉계곡의 마애불들/ 불곡 마애여래좌상 (0) | 2018.10.18 |
이팝나무꽃 02 (0) | 2012.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