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溪谷磨崖石迦如來坐像)

 

https://www.youtube.com/watch?v=_3fF40cDmCQ&t=20s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6558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溪谷磨崖石迦如來坐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높이 8.80m.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8호. 높이 7m, 너비 5m의 자연석의 거대한 바위벽에 새겨진 불상으로 머리에서 어깨까지는 입체적으로 깊게 조각한 반면, 몸체로 내려올수록 얕은 선각(線刻)

encykorea.aks.ac.kr

높이 8.80m.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8호. 높이 7m, 너비 5m의 자연석의 거대한 바위벽에 새겨진 불상으로 머리에서 어깨까지는 입체적으로 깊게 조각한 반면, 몸체로 내려올수록 얕은 선각(線刻)으로 조각한 특이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溪谷磨崖石迦如來坐像))]

 

 

 

 

https://kydong77.tistory.com/18009

 

경주남산 칠불암과 &금오산 삼릉계곡의 마애불들/ 불곡 마애여래좌상

https://www.youtube.com/watch?v=Sz8zx8PaCdw 성주 풀이 - 성창순 외 https://www.youtube.com/watch?v=WQWh4wwQ-3U 경북 의성군 안계면 출신의 아지매들이 경주를 다녀왔다고 사진을 보내왔다. 부처님의 나라인..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개달음에 뿌리를 내리자.)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자 음역)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한국말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Gate Gate       가라. 가라. 
paragate        피안으로 건너가라.
parasamgate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bodhi svaha    깨달음에 뿌리를 내리게 해 주소서.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2912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093

 

 

 

https://www.youtube.com/watch?v=msWAC_ZT17M 

 

https://www.youtube.com/watch?v=cd-0Gd1e0tM 

 

관세음보살상

 

남산 마애보살반가상

 
삼존불상은 4.26m 높이의 바위 면에 꽉 차게 부조한 마애불로서, 거의 환조(丸彫)에 가까운 고부조(高浮彫)주 01)로 되어 있다. 본존은 높이가 2.6m나 되는 거대한 좌상이며, 두 협시보살도 2.1m로 인체보다 훨씬 장대하다.
본존은 머리가 둥글고 크며 소발(素髮)에 큼직한 육계(肉髻)가 솟아 있다.
이 삼존불 앞의 돌기둥에 새겨진 사방불은 높이가 2.23m 내지 2.42m 정도로 바위 모양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고 있는데, 네 상 모두 연화좌에 보주형 두광을 갖추고 결가부좌하였다.
동면상(東面像)은 본존불과 동일한 양식으로 통견(通肩)의 법의가 다소 둔중하나 신체의 윤곽이 뚜렷이 표현되고 있다. 왼손에는 약합(藥盒)을 들고 있어서 약사여래로 생각된다. 남면상(南面像)은 여러 면에서 동면상과 비슷하나, 가슴에 표현된 군의(裙衣)의 띠 매듭은 새로운 형식에 속하며, 무릎 위의 옷주름, 짧은 상현좌(裳懸座)의 옷주름이 상당히 도식화되었다.
서면상(西面像)은 동면상과, 북면상(北面像)은 남면상과 서로 유사하나, 북면상은 다른 세 불상과 달리 특히 얼굴이 작고 갸름하여 수척한 인상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 네 상의 명칭을 확실히 하기는 어려우나, 방위(方位)와 수인(手印)·인계(印契)에 의하여 볼 때 일단 동면상은 약사여래, 서면상은 아미타여래로 볼 수 있다.

이 불상군의 성격은 사방석주 각 면에 한 불상씩 사방불을 새기고, 그 앞의 바위에는 삼존불을 새겨 삼존불이 중앙 본존불적인 성격을 띤 오방불(五方佛)로서의 배치 형식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庵磨崖佛像群))]

 

 

https://www.youtube.com/watch?v=9Zf0jsSFDQo&t=27s 

 

https://www.youtube.com/watch?v=4QCntcm-i90&t=100s 

 

 

 

40여년 전 처음 뵙던 마애좌불 모습. 여태껏 항마촉지인을 하시고 사성제 팔정도를 설하시네요. 보다 오래도록 유지하기 위해 보수하고 오물을 청소하여 마애불 모습이 선명하지 못한 게 아쉬움으로 남았습니다.

 

 

 

삼륜대좌불, 미륵보살로 보기도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PPEvBQ2m3gs 

 

 

 

 

 

https://www.youtube.com/watch?v=C9w-AIYzJ94&t=46s

 

 

 

 

 

https://kydong77.tistory.com/18009

 

경주남산 칠불암과 &금오산 삼릉계곡의 마애불들/ 불곡 마애여래좌상

https://www.youtube.com/watch?v=Sz8zx8PaCdw 성주 풀이 - 성창순 외 https://www.youtube.com/watch?v=WQWh4wwQ-3U 경북 의성군 안계면 출신의 아지매들이 경주를 다녀왔다고 사진을 보내왔다. 부처님의 나라인..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660

 

바위에 새긴 부처, 경주남산 마애불/ 남산의 삼릉계곡 <금오신화> 창작

경주 금오산 삼릉계곡 용장사지 마애 석가여래좌상 ko.wikipedia.org/wiki/%EA%B2%BD%EC%A3%BC_%EB%82%A8%EC%82%B0_%EC%82%BC%EB%A6%89%EA%B3%84_%EB%A7%88%EC%95%A0%EC%84%9D%EA%B0%80%EC%97%AC%EB%9E%98%EC%A2%..

kydong77.tistory.com

*삼릉계곡의 마애여래좌상과 삼층석탑이 있는 곳을 용장사지라고도 부르는데, 김시습이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분노하여 학업을 폐하고 전국을 떠돌다가 정착한 곳이 용장사지 근처다. 인귀교환설화를 소재로 한, 한국최초의 한문소설인 5작품으로 구성된 <금오신화>의 제목의 금오는 남산의 다른 이름인 금오산에서 유래한다. 

 

https://kydong77.tistory.com/17950

 

천재의 광기 - 김시습 금오신화

 Do-Re-Mi - Julie Andrews https://www.youtube.com/watch?v=L1l1KUuTNlk Do-Re-Mi - Julie Andrews [가사번역 자막] https://www.youtube.com/watch?v=b7Slk-6CYd4 https://www.youtube.com/watch?v=jITsImZ..

kydong77.tistory.com

 

김시습 년보 참조

http://kydong77.tistory.com/2582

 

김시습전-율곡 이이

[주]세조의 왕위찬탈로 파탄난 인생, 그는 장부의 표상이라며 수염을 기른 중으로 일생을 방랑했다. 47세때 환속하여 조부신께 사죄문도 올렸지만 충신불사이군의 유교적 이데올로기는 태생의

kydong77.tistory.com


1468년(세조 14년) 34세 때, 이후 6년간 용장사에 거주함. 

겨울에 금오산에 거처하고 <산거백영(山居百詠)>을 저술하였다.

이즈음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를 저술하다.

경주 남산의 주봉이 금오산이다.

명나라 구우의 『전등신화』에 자극받아 인귀교환(人鬼交歡)설화를 수용하여 ‘신화(新話)’라 붙이다.

인귀교환설화란 산 사람[사내]과 죽은 사람의 혼령[여인]이

현실적 공간에서 사랑을 나누는 이야기다.

 

우리나라 최초의 인귀교환설화는 아래의 최치원설화다. 쌍녀분설화라고도 한다.

 

 

최치원설화/해괴망측한 사랑 이야기

 http://kydong77.tistory.com/8611

 

최치원설화/해괴망측한 사랑 이야기

[사진](상)런던 대영박물관 전경(前景). (하)대영박불관의 대리석 여인상 [주]최치원 설화 또는 쌍녀분 설화로 일컬어지는 이 설화는 해괴망측(駭怪罔測 )한 사랑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곧, 최치

kydong77.tistory.com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7950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https://www.youtube.com/watch?v=bm6kxKoYQV8 

 

 

https://www.youtube.com/watch?v=PPEvBQ2m3gs

 

 

https://www.youtube.com/watch?v=hlTtHDTAOHM

 

새갓골에서 출발하여 열암곡 앞으로 넘어진 돌부처님과 칠불암을 참례한 이영재를 거쳐 금오봉에 오름. 용장사지의 삼층석탑, 목없는 미륵보살[여래불로도 소개함], 마애좌불 참배한 후 금오봉으로 귀환하여 바둑바위, 상선암을 거쳐 삼릉주차장으로 하산하다.

 

 

아래 탐방로의 금오봉에서 용장사지 삼층석탑, 목없는 미륵보살, 마애좌불 참배후 금오봉으로 귀환하여 삼릉주차장으로 하산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ScT7DcBApMA&t=539s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84%B1%EC%A0%9C

 

사성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성제(四聖諦, 산스크리트어: catvāri āryasatyāni) 또는 사제(四諦)는 《아함경(阿含經)》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이다. "제(諦 · Satya)"는 진리 또는 깨우침을

ko.wikipedia.org

 

사성제(四聖諦, 산스크리트어: catvāri āryasatyāni) 또는 사제(四諦)는 《아함경(阿含經)》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이다. "제(諦 · Satya)"는 진리 또는 깨우침을 뜻한다. 사성제는 "네 가지 높은 깨우침(Ārya: 높은, Satya: 깨우침)" 또는 "4가지 고귀한 진리(Four Noble Truths)"라는 뜻인데, 고제(苦諦) · 집제(集諦) · 멸제(滅諦) · 도제(道諦)의 4가지 진리 또는 깨우침을 의미한다. 흔히 이 네 가지를 간단히 고집멸도(苦集滅道)라고 부른다.

고제(苦諦, Duhakaha Satya)는 범부(凡夫), 즉 깨치지 못한 사람의 삶은 (苦)라고 하는 진리이다.[3] 즉, 인간은 색 · 수 · 상 · 행 · 식의 오온으로 이루어진 존재인데, 깨치지 못한 사람, 즉 아직 부처가 되지 못한 사람에게 있어서 그의 삶은 고통이라는 통찰이다.

집제(集諦, Samudaya Satya)는 고통의 원인에 관한 진리로, 범부(凡夫), 즉 깨치지 못한 사람이 겪는 고고 · 괴고 · 행고 등 모든 고통의 원인은 업(業)과 번뇌(煩惱)에서 비롯됐다는 통찰이다. 남방상좌부 불교에서는 번뇌 중에서 인간의 갈애(渴愛, 갈망함) 또는 망집(妄執)[3]을 핵심적인 고통의 원인으로 본다. 반면 대승불교에서는 "나" 또는 "나의 것"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무지(無知) · 무명(無明)에서 비롯된 아집(我集) 또는 망집(妄執)[3]을 고통의 주 원인으로 본다.

멸제(滅諦, Nirodha Satya)는 고통의 소멸에 관한 진리, 혹은 고통의 원인의 완전한 소멸에 관한 진리다. 고통의 원인인 갈애(渴愛) · 아집(我集) 또는 망집(妄執)이 완전히 소멸될 수 있음을 통찰하는 것이다.[3] 고통의 원인이 완전히 소멸된 상태를 열반(涅槃) 또는 해탈(解脫)이라 한다.[3]

도제(道諦, Mārga Satya) 

 팔정도(八正道)

도제(道諦, Mārga Satya)는 고통을 소멸시키는 행을 하는 진리를 말한다. 즉, 도제를 행함으로써 실제로 멸제("고통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를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데, 이런 면에서 도제는 멸제의 원인이 되는 실천 또는 수행을 의미한다. 불교의 모든 교의는 사실상 도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원시 불교에서는 도제를 정견(正見) · 정사(正思) · 정어(正語) · 정업(正業) · 정명(正命) · 정정진(正精進) · 정념(正念) · 정정(正定)의 팔정도(八正道)인 것으로 설명한다.[3]

 

팔정도(八正道)의 여덟 구성요소 또는 여덟 개의 길은 다음과 같다.[1]

  1. 정견(正見): 바르게 보기
  2. 정사유(正思惟) · 정사(正思): 바르게 생각하기
  3. 정어(正語): 바르게 말하기
  4. 정업(正業): 바르게 행동하기
  5. 정명(正命): 바르게 생활하기
  6. 정정진(正精進) · 정근(正勤): 바르게 정진하기
  7. 정념(正念): 바르게 깨어 있기
  8. 정정(正定): 바르게 삼매(집중)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R4hVeetJgfE 

*[수행자의인간관]

인간은 정신적 물질적 현상이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019

 

12연기(十二緣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십이인연(十二因緣)·십이유지(十二有支)라고도 한다. 12개의 각 항은 윤회(輪廻)의 생존(生存)을 구성하는 부분이라는 의미에서 유지(有支)라고 한다. 십이지(十二支)는 ① 무명(無明), ② 행(行),

encykorea.aks.ac.kr

 
무명(無明)부터 노사(老死)까지 12가지 인과관계로 인연을 설명하는 불교교리.
내용
십이인연(十二因緣)·십이유지(十二有支)라고도 한다. 12개의 각 항은 윤회(輪廻)의 생존(生存)을 구성하는 부분이라는 의미에서 유지(有支)라고 한다.
십이지(十二支)는
① 무명(無明), ② 행(行), ③ 식(識), ④ 명색(名色), ⑤ 육처(六處), ⑥ 촉(觸),
⑦ 수(受), ⑧ 애(愛), ⑨ 취(取), ⑩ 유(有), ⑪ 생(生), ⑫ 노사(老死)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2연기(十二緣起))]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