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각 기둥 네 모서리에는......

 

잘 알려진 대로 전등사 대웅보전의 처마 네 귀퉁이에는

특이하게 네 귀퉁이의 들보를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떠받치고 쪼그리고 앉은 여인의 나체상을 배치하였다.

전등사를 창건할 당시 창건에 참여했던 도편수가

사하촌의 어느 여인과 사랑에 빠졌는데,

이 여인이 도편수의 돈을 훔쳐 다른 남자와 도망쳤다고 한다.

이에 실의의 빠진 도편수는 그 여인의 조각을 만들어

대웅보전 지붕 아래 네 귀퉁이의 들보를 떠받치게 해놓았다고 한다.

 

어쨌거나 절의 큰 법당 지붕에 여인의 나체상을 앉힌 것은 부처님도 웃을 일이다.

 

http://kydong77.tistory.com/admin/entry/post/?id=8375

 

 

 

 

 

 

 

 

 

 

 

 

 

 

 

 

'불교 불경 > 사찰 연등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각산 도선사1  (0) 2016.05.13
강화 전등사3  (0) 2016.05.13
강화 전등사1  (0) 2016.05.13
[스크랩]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0) 2016.03.09
삼각산 도선사12  (0) 2015.11.25

4/22(금) 불탄일 한 달 전이어었는데도 연등은 이미 화려하게 꾸며져 있었다.

흐린 날씨에다 가랑비까지 내리는 게 원망스러웠다.

 

 

 

 

 

 

 

 

 

 

 

 

 

 

 

 

 

 

'불교 불경 > 사찰 연등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전등사3  (0) 2016.05.13
강화 전등사2  (0) 2016.05.13
[스크랩]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0) 2016.03.09
삼각산 도선사12  (0) 2015.11.25
삼각산 도선사11  (0) 2015.11.25

 

 2007. 10. 19.

 

[출처] http://blog.daum.net/seogwipo/13072216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산54-1번지

문경 봉암사 백운대 계곡에 모셔진

마애 미륵보살좌상입니다.

 

 200년 10월 19일 봉암결사 60주년 법회에 참석하였다가 참배를 하였습니다.

 

 이 보살좌상은 경상북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121호입니다.

 

 봉암사의 마애불상은 조선시대의 고승인 환적스님(1603-1690)이 조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원불(願佛)입니다..  

 환적스님은 1690년 해인사 백련암에서 입적하셨습니다만, 가야산 해인사에 호랑이들이 사람을 살생하지 못하도록 한 스님으로 유명한데, 사찰에 호랑이를 타고 있는 벽화가 바로 환적대사입니다.

 

 이 스님의 진영은 해인사 백련암에 모셔저 있습니다. 또한 스님께서는 백련암 위에 환적대라는 곳에서 수행하시면서 가야산 산신령을 놀려주곤 했다합니다.

 

 환적스님이 봉안한, 이 보살상은, 봉암사(鳳巖寺) 계곡을 따라 조금 올라가면 백운대(白雲臺)라고 불리는 경관 좋은 곳에 다다르는데. 이 곳 개울가에서 동북을 향한 높이 4m, 폭4.4m의 큰바위면에 조각되어 있습니다.

 

 마애보살좌상으로 머리 부분 주위를 약간 길게 파서 감실(龕室)처럼 만들어 광배(光背)를 겸하는 동시에 머리 부분을 두드러지게 조각하였으나, 그러나 아래로 내려오면서 앉은 상태나 하체는 거의 선각(線刻)으로 얇게 처리되어 있습니다.

 

 보관(寶冠)의 중앙에 화문(花文)이 있고, 미간(眉間)의 백호(白毫)가 뚜렷하고, 반월형 눈썹 아래 반안(半眼)을 하고 있고, 코는 끝이 손상된것을 후에 보수하였으며, 입은 아주 얇고 작게 만들어졌습니다.

 

 둥근 얼굴에 어깨바로위까지 내려오는 긴 귀를 가졌으며, 턱은 좁다랗게 내려오는 것이 마치 주걱턱과 같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 되어 있습니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인데 선각으로 처리되었으며, 군의(裙衣)의 띠매듭이 뚜렷하고 옷주름선은 유려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무릎의 의습(衣褶)은 복선(複線)으로 장식성을 가하였으며, 가슴에는 군의 매듭이 화려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오른손을 들고 왼손을 가슴에 얹어 두 손으로 연꽃을 들고 있고, 손 밑에 드러난 발은 두 손과 더불어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으며, 오른발이 위로 올라가게 결가부좌(結跏趺座)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하체를 높게 처리하면서도 무릎사이를 넓게 하여 안정감을 보여주고 있으며, 대좌는 연화좌이나 마멸이 심하여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이 불상과 관련하여 희산구법(曦山舊法)에 백운대미륵비명(白雲臺彌勒碑銘)이 실려 있는데, 거기서는 이 「석면미륵상(石面彌勒像)」이 환적의천선사(幻寂義天禪師)의 원불(願佛)이라고 하였으며, 이를 통해 존명(尊名)이 미륵(彌勒)으로 정해질 가능성이 많을 것으로 보이나, 그러나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탄력과 힘이 감소되고 형식화되어 고려 말기 또는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봉암사 백운대계곡의 석조 마애미륵보살좌상을 윈불로 모셨다는

환적선사 진영입니다.

 

스님들의 영정을 진영(眞影)이라고 합니다.

이 진영은 경북 상주 남장사의 진영각에 모셔진 것입니다.

 

원불(願佛)은 호신불로서 수행자가 항상 모시고 다니면서 경배 드리는 불상이나 보살상을 말합니다. 

'불교 불경 > 사찰 연등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전등사2  (0) 2016.05.13
강화 전등사1  (0) 2016.05.13
삼각산 도선사12  (0) 2015.11.25
삼각산 도선사11  (0) 2015.11.25
삼각산 도선사10  (0) 2015.11.24

 

 

 

 

 

 

 

 

 

 

 

 

 

 

 

 

 

 

 

 

 

'불교 불경 > 사찰 연등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전등사1  (0) 2016.05.13
[스크랩]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0) 2016.03.09
삼각산 도선사11  (0) 2015.11.25
삼각산 도선사10  (0) 2015.11.24
삼각산 도선사9  (0) 2015.11.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