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2.夢李白2(몽이백2)-杜甫(두보)
(꿈 속에 이백을 보다)
浮雲終日行
(부운종일행) : 뜬 구름 종일토록 하늘을 떠다녀도
遊子久不至
(유자구불지) : 떠난 친구는 오래도록 오지 않네
三夜頻夢君
(삼야빈몽군) : 한밤에 자주 그대를 꿈속에서 보니
情親見君意
(정친견군의) : 우정의 친함으로 그의 마음을 보노라
告歸常局促
(고귀상국촉) : 돌아간다 말할 때 항상 풀 죽어 보이고
苦道來不易
(고도래불역) : 돌아오기 어렵다 괴롭게 말하네
江湖多風波
(강호다풍파) : 강호에 풍파 잦고
舟楫恐失墜
(주즙공실추) : 배 젓는 노 떨어뜨릴까 두려워하네
出門搔白首
(출문소백수) : 문 나서며 흰머리 긁는 것이
若負平生志
(약부평생지) : 평소 품었던 뜻을 잃어버린 듯하구려
冠蓋滿京華
(관개만경화) : 높은 벼슬아치들 서울에 가득한데
斯人獨憔悴
(사인독초췌) : 이 사람 내 친구는 홀로 얼굴 수척하다
孰云網恢恢
(숙운망회회) : 누가 말했나, 하늘의 그물이 한없이 넓다고
將老身反累
(장로신반루) : 늙어서 몸이 도리어 법망에 걸려들었네
千秋萬歲名
(천추만세명) : 천추만년에 이름을 남긴다고 해도
寂寞身後事
(적막신후사) : 죽은 뒤의 일은 적막하기만 하다.
012
꿈을 꾸다 2/2
뜬구름
종일토록 떠가는데
나그네된 그대는
오래도록 오지 않네.
연이어 사흘 밤
꿈에 그대를 보니
그대의 친밀한 정
진지함을 보임이라.
그대는 총총히 하직하고 돌아가며
괴롭게 말하네.
내가 찾아옴이
진실로 쉽지 않다고.
강호에는
풍파가 험악하여
배가 뒤집힐까
참으로 걱정이라네.
문을 나서면서
머리 긁적이며 어려워하는 모습
보통 때완 그 마음
다른 것 같았네.
장안에는
모두 부귀한 관리들인데
다만 그대 홀로
뜻을 얻지 못하였구나.
누가 말했던가? 하늘의 이치는
넓고 커서 포용하지 못함이 없다고.
그대는 도리어
늙어가면서 죄를 얻는데.
성대한 이름
천추만세에 흘러 전한들,
죽은 혼백은 적막한데
무슨 소용 있나?
*[사족]결구에서 두보의 몸에 밴 철저한 현실주의가 확연히 드러난다.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데……
[참고]
*중국의 한시의 최고봉은 당시인데 양한시대를 거쳐 육조시대에 이르러
시의 평측법과 압운법이 완성되어 중국발음으로 한시를 읽으면
그 자체로 노래가 된다.
이 당나라 시대에 두 천재시인 이백과 두보가 열 살 차이로 동시대에 태어나
낙양에서 조우하기도 했다.[이백이 11세 많음]
도가사상에 바탕한 이백의 시가 초월적 상상력에 비견할 자가 없다면
유가사상에 기반을 둔 두보의 사실주의 시는 현실비판 측면에서 당할 자가 없다.
두 보의 <春日憶李白> 에 대한 해설을 통해 학습을 심화한다.
인터넷에서 작품명을 치면 번역까지 읽을 수 있다.
春日憶李白
-봄날에 이백을 생각하다
白也詩無敵
(백야시무적
이백의 시는 당할 이 없어,
飄然思不群
표연사불군
자유분방한 그 생각 워낙 뛰어나,
淸新庾開府
청신유개부
청신한 북방의 유신(庾信)에다가,
俊逸鮑參軍
준일포참군
헌칠하고 뛰어난 남방의 포조(鮑照)를 겸하였네.
渭北春天樹
위북춘천수
봄 나무들 싱그러운 위북의 나,
江東日暮雲
강동일모운
저무는 날 구름에 마음 설렐 강동의 그대.
何時一樽酒
하시일준주
언제 둘이서 술잔을 나누며,
重與細論文.
중여세론문)
다시금 자상하게 시와 글에 대해 논하여 볼고.
감상(鑑賞)
이 시는 비교적 많이 읽힌 작품으로
玄宗 天寶(현종 천보) 6년(747) 36세 때에 지었다고 한다.
‘두시언해’에서 이백과 관련된 시는 모두 8수인데,
이 시 외에
‘冬日有懷李白(동일유회이백)’
‘夢李白(몽이백)’
‘送孔巢父謝病歸遊江東兼呈李白(송공소보사병귀유강동겸정이백)’
‘與李十二白同尋范十隱居(여이12백동심범10은거)’
‘贈李白(증이백 2수)’
‘天末懷李白(천말회이백)’ 등이 있다.
이 시는 첫머리에 ‘白也’라 하여 이백을 높이지 않았으나,
이어서 ‘無敵’이니 ‘不群’이라 표현하여 최고의 讚辭(찬사)를 보내고,
이어 2연[3~4구]에서는 유신과 포조를 들어 그를 찬양했다.
3연[5~6구]에서 전환하여 그를 그리는 정을 표출하여
‘그대가 없는 여기 장안의 봄이 무슨 뜻이 있으며,
그대가 있는 강남의 저녁노을 구름도 내가 없으니 제 빛을 내랴.’
하고 읊어, 이백을 향한 지극한 정을 나타내었다.
이 구절은 특히 對句(대구)가 멋져서
‘渭水江雲(위수강운), 暮雲春樹(모운춘수),
雲樹之懷(운수지회), 春樹暮雲情(춘수모운정)’
이라는 새로운 語彙(어휘)가 생기게 되어
‘먼 곳의 벗을 생각하는 간절한 정’을 표현하는 말로 쓰이고 있으니,
시인의 어휘 창조가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가를 보여 준다.
그리고는 언제 만나 함께 술 마시며
시와 글에 대해 논할 수 있으랴 하고 시인답게 끝맺어,
더불어 대화할 상대는 오직 이백뿐이라는 뜻을 숨겼다.
그런데도 이 둘은 이후 만나지 못했다고 하니 안타깝다.
'중국고전 > 唐詩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동, 정지상 한시의 영원한 생명력 (0) | 2016.04.05 |
---|---|
013왕유, 송별(送別) (0) | 2016.04.05 |
011두보, 夢李白1/2 (0) | 2016.04.03 |
010.두보, 가인(佳人) (0) | 2016.04.02 |
009 두보,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0) | 2016.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