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1夢李白1(몽이백1)-杜甫(두보)

(꿈 속에 이백을 보다)

死別已吞聲
(사별이탄성) : 사별 후의 이별은 소리마저 삼켜버리나
生別常惻惻
(생별상측측) : 생이별 뒤는 항상 슬프기만 하구나
江南瘴癘地
(강남장려지) : 강남은 열병이 많은 땅인데
逐客無消息
(축객무소식) : 귀양 간 그대는 소식 없어라
故人入我夢
(고인입아몽) : 옛 친구 꿈속에 나타나
明我長相憶
(명아장상억) : 나를 반기니 서로가 오랫동안 생각해서라
君今在羅網
(군금재라망) : 그대는 지금 비단 이불 속에 있어야 하거늘
何以有羽翼
(하이유우익) : 무슨 일로 날개가 달려있는가
恐非平生魂
(공비평생혼) : 평상시 그대 모습 아니거니
路遠不可測
(로원불가측) : 길이 멀어 확인 할 수 없어라
魂來楓林青
(혼래풍림청) : 혼백이 올 적엔 단풍나무숲 푸르렀는데
魂返關塞黑
(혼반관새흑) : 혼백이 돌아가니 변방의 관문이 어두워지네
落月滿屋梁
(락월만옥량) : 지는 달빛 집 마루에 가득하여
猶疑照顏色

(유의조안색) : 여전히 그대 얼굴색을 비추고 있다
水深波浪闊
(수심파랑활) : 물은 깊고 물결이 드넓으니
無使蛟龍得
(무사교룡득) : 이무기나 용에게 잡히지 말게나
 

011

이백 꿈을 꾸다 1/2 

 

죽어 이별한 것이라면

흐느껴 울면 그만이련만,

살아서의 이별이라

언제나 슬프구나.

 

강남 땅

장려병도 많다는데

유배간 그대는

한번가고 소식 없네.

 

그대 어제 밤

내 꿈속에 왔으니

내 얼마나 그대를

그리워했는지 알겠지요.

 

그대는 지금

유배가 있는데

어떻게

날개를 가졌을까?

 

아마도

살아 있는 혼은 아니겠지요?

길이 너무 멀어

헤아릴 수 없구나.

 

혼이 올 때

단풍잎도 푸르더니

혼이 가니

관산도 어둡구나.

 

지는 달

대들보에 가득한데

이 달이야

그대 낮도 비추겠지.

 

물은 깊고

파도는 높으니

조심하시게

교룡에게 먹힐라.

 

[참고]

*중국의 한시의 최고봉은 당시인데 양한시대를 거쳐 육조시대에 이르러

시의 평측법과 압운법이 완성되어 중국발음으로 한시를 읽으면

그 자체로 노래가 된다.

이 당나라 시대에 두 천재시인 이백과 두보가 열한 살 차이로 동시대에 태어나

낙양에서 조우하기도 했다. [이백이 11세 많음]

도가사상에 바탕한 이백의 시가 초월적 상상력에 비견할 자가 없다면

유가사상에 기반을 둔 두보의 사실주의 시는 현실비판 측면에서 당할 자가 없다.

 

두 보의 <春日憶李白> 에 대한 해설을 통해 학습을 심화한다.

인터넷에서 작품명을 치면 번역까지 읽을 수 있다.

 

春日憶李白

-봄날에 이백을 생각하다

 

白也詩無敵

백야시무적, 이백의 시는 당할 이 없어,

飄然思不群

표연사불군,자유분방한 그 생각 워낙 뛰어나,

淸新庾開府

청신유개부, 청신한 북방의 유신(庾信)에다가,

俊逸鮑參軍 

준일포참군, 헌칠하고 뛰어난 남방의 포조(鮑照)를 겸하였네.

渭北春天樹

위북춘천수, 봄 나무들 싱그러운 위북의 나,

江東日暮雲, 

강동일모운, 저무는 날 구름에 마음 설렐 강동의 그대.

何時一樽酒

하시일준주, 언제 둘이서 술잔을 나누며,

重與細論文. 

중여세론문다시금 자상하게 시와 글에 대해 논하여 볼고.

 

감상(鑑賞)

이 시는 비교적 많이 읽힌 작품으로

玄宗 天寶(현종 천보) 6(747) 36세 때에 지었다고 한다.

두시언해에서 이백과 관련된 시는 모두 8수인데,

이 시 외에

冬日有懷李白(동일유회이백)’

夢李白(몽이백)’

送孔巢父謝病歸遊江東兼呈李白(송공소보사병귀유강동겸정이백)’

與李十二白同尋范十隱居(여이12백동심범10은거)’

贈李白(증이백 2)’

天末懷李白(천말회이백)’ 등이 있다.

 

이 시는 첫머리에 白也라 하여 이백을 높이지 않았으나,

이어서 無敵이니 不群이라 표현하여 최고의 讚辭(찬사)를 보내고,

이어 2[3~4]에서는 유신과 포조를 들어 그를 찬양했다.

3[5~6]에서 전환하여 그를 그리는 정을 표출하여

그대가 없는 여기 장안의 봄이 무슨 뜻이 있으며,

그대가 있는 강남의 저녁노을 구름도 내가 없으니 제 빛을 내랴.’

하고 읊어, 이백을 향한 지극한 정을 나타내었다.

 

이 구절은 특히 對句(대구)가 멋져서

 渭水江雲(위수강운), 暮雲春樹(모운춘수),

  雲樹之懷(운수지회), 春樹暮雲情(춘수모운정)’

이라는 새로운 語彙(어휘)가 생기게 되어

먼 곳의 벗을 생각하는 간절한 정을 표현하는 말로 쓰이고 있으니,

시인의 어휘 창조가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가를 보여 준다.

그리고는 언제 만나 함께 술 마시며

시와 글에 대해 논할 수 있으랴 하고 시인답게 끝맺어,

더불어 대화할 상대는 오직 이백뿐이라는 뜻을 숨겼다.

그런데도 이 둘은 이후 만나지 못했다고 하니 안타깝다.

'중국고전 > 唐詩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3왕유, 송별(送別)  (0) 2016.04.05
012.두보, 夢李白2/2  (1) 2016.04.03
010.두보, 가인(佳人)  (0) 2016.04.02
009 두보,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0) 2016.04.02
008두보, 망악(望岳)  (0) 2016.04.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