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금소총 제252화 - 건망증이 심한 관장 (官長善忘)
한 고을의 관장이 건망증이 너무 심했다.
그리하여 자기 밑에서 일보는 좌수(座首)1)의 성씨를 항상 잊어버리니,
1)좌수(座首) : 지방관청 관리의 우두머리.
매일 물어도 다음날이 되면 또 잊어버리기 일쑤였다.
이렇게 여러 날이 지나도록 좌수의 성씨를 기억하지 못하다가,
어느 날 역시 성을 물으니 좌수는 전날처럼 엎드려,
"소인의 성은 홍가(洪哥)이옵니다." 하고 늘 하던 대답을 했다.
그러자 관장은 매일 잊어버리는 것이 민망하여 깊이 생각한 끝에,
이 날은 한 가지 계책을 마련했다.
곧 종이에 홍합(紅蛤)을 하나 그려서 벽에 붙여 놓고,
그것을 보면서 좌수의 성씨가 '홍씨'임을 기억하려고
마음먹었던 것이다.
이튿날이었다.
그 좌수가 들어와 인사를 하는데, 관장은 아무리 기억해 보려고 해도 성씨가 생각나지 않았다.
그러던 중 관장은 벽에 그려 붙인 홍합이 생각나서 그것을 쳐다보고 기억을 더듬는데,
여전히 좌수의 성씨는 기억할 수가 없었다.
이에 관장은 한참 동안 이렇게 저렇게 생각을 하다 보니,
마치 그 그림이 여자의 음부처럼 보이는 것이었다.
그래서 무릎을 치면서 좌수를 향해,
"그대의 성씨가 보가(寶哥)였지?" 하고 물었다.
[세속에서 여자의 음문을 '(-지)'라고 하니,
'보'자를 따와서 그렇게 해석한 것임].
이에 좌수는 다시 고쳐 아뢰었다.
"소인의 성은 보가(寶哥)가 아니옵고 홍가(洪哥)이옵니다."
곧 관장은 멋쩍은 듯이 웃으면서 이렇게 말했다.
"아, 그랬구려. 내가 벽에 홍합을 그려 놓고도 알지 못하고
엉뚱하게 다른 생각을 했소이다.'
이에 듣고 있던 사람들이 모두 웃음을 터뜨렸다고 한다.
[운영자註]
<고금소총>의 원문은 우리말로 소통해 오던 것을 조선조 후기에 한문으로 기록한 것이다.
위 설화를 보면 여성의 음부를 '조갑지'에 비유한 것은 조선 후기에도 통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고전문학 > 국역고금소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54화 - 아들이 먼저 차지하다 (衙子先取) (0) | 2016.06.28 |
---|---|
제253화 - 나온 곳으로 돌아간다 (出處反處) (0) | 2016.06.25 |
제251화 - 안주로 김치를 달라고 하다 (求菜安酒) (0) | 2016.06.23 |
제250화 - 거짓 의원 포식하다 (誇醫飽食) (0) | 2016.06.23 |
제249화 - 객이 대동강 물이 다한다고 애석해 하다 (客惜水盡) (0) | 2016.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