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의 찬미
윤심덕
작사 : 김우진
작곡 : 외 국 곡
광막한 황야를 달리는 인생아
너는 무엇을 찾으려 왔느냐
이래도 한세상 저래도 한평생
돈도 명예도 사랑도 다 싫다
녹수 청산은 변함이 없건만
우리 인생은 나날이 변했다
이래도 한세상 저래도 한평생
돈도 명예도 사랑도 다 싫다
https://www.youtube.com/watch?v=ehBtDoATvtg
https://www.youtube.com/watch?v=JZQUvmRR8vw
https://kydong77.tistory.com/17637?category=485565
이보용, 운명(運命)은 말하는 대로 결정된다
이보용, 운명(運命)은 말하는 대로 결정된다 http://www.ipcs21.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158&idx=37881 슬픈 노래를 부른 가수들은 대부분 일찍 타계했다는 논문이 있다. 가수의 수명, 부, 즐..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7638?category=485565
운명(運命)은 말하는 대로 결정된다
운명(運命)은 말하는 대로 결정된다 http://blog.daum.net/0323bk/279 슬픈 노래를 부른 가수들은 대부분 일찍 타계했다는 논문이 있다. 가수의 수명, 부, 즐거움과 노래 가사와는 상관관계가 있어, 신나고 즐거..
kydong77.tistory.com
다시 보는 이난영(2009년제작)
https://www.youtube.com/watch?v=uUed3Cjskt8
https://www.youtube.com/watch?v=_V6kgNEK36g
https://www.youtube.com/watch?v=EgHIQ2sT6HU
https://www.youtube.com/watch?v=twheHiU8zVU
https://www.youtube.com/watch?v=Nn6q4dcFwWE
https://www.youtube.com/watch?v=FT_FsjZvkDQ
https://kydong77.tistory.com/18045
목포의 눈물 & 주문진항
이난영 - 목포의 눈물 (1935) https://www.youtube.com/watch?v=FT_FsjZvkDQ 이난영-목포는 항구다 (1942) https://www.youtube.com/watch?v=CkZUqg00HiY 이난영 - 목포의 눈물, 목포는 항구다 https://www.y..
kydong77.tistory.com
*가사의 "삼백년 원한품은"을 한 해설자는 일본에 원한 품은 게 없다고 멋대로 강변했하지만 1592년의 임진왜란을 잊었단 말인가? 작사자의 가사 취지를 왜곡해도 분수가 있어야제. 가정과 가족도 잊은 채, 목숨을 걸고 결사항전하셨던 의병들과 독립투사들을 뭘로 보는겨?
[보충]
*작곡가 손목인은 가사의 "삼백년 원한품은" 땜시롱 조선총독부에서 <목포의 눈물>을 금지곡으로 지정하자 작사자 문일석은 임진왜란을 전제한 것이 아니며 사랑의 상징인 원앙새의 설화를 상기시킨 것이라고 해명하여 이 노래는 금지곡에서 풀려났다. 총독부 놈들 멍청한 구석도 있네요. 하지만 조선인들에게 노래로나마 탈출구를 마련해 준 현명함인지도 모르죠.
[특집다큐] 다시 보는 난영(2009년작)
https://www.youtube.com/watch?v=uUed3Cjskt8
https://www.youtube.com/watch?v=xO0LLIjlVpQ
다시 보는 이난영(2009년제작) 위 동영상 재록
https://www.youtube.com/watch?v=pJrRUtgmiew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82%9C%EC%98%81
이난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표곡 〈목포의 눈물〉 1935년 〈해조곡〉 1937년 〈다방의 푸른 꿈〉 1939년 〈울어라 문풍지〉 1940년 〈목포는 항구다〉 1942년 이난영(李蘭影, 1916년 6월 6일 ~ 1965년 4월 11일)은 전라남도 목포 출생의 일제강점기 트로트 가수이다. 대표곡으로는 〈목포의 눈물〉, 〈목포는 항구다〉, 〈해조곡〉 등이 있으며, 작곡가 박시춘, 작사가 반야월(진방남)과 함께 가요계의 3보(寶)'라고 불린다. 1936
ko.wikipedia.org
'음악 > 가요 성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현상, 여자야/ 최윤희, 문체부차관 (0) | 2019.12.20 |
---|---|
시셀 슈샤바 - Auld Lang Syne 外/ Going Home , Ready to go home 外 (0) | 2019.12.12 |
송가인, 한 많은 대동강 外/ 김국환, 달래강 (0) | 2019.10.13 |
PSY, 아버지 / 유지나, 아버지와 울 엄마 (0) | 2019.09.06 |
도니체티, 사랑의 묘약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