虎叱
https://kydong77.tistory.com/18892
https://ko.wikipedia.org/wiki/%EC%97%B4%ED%95%98%EC%9D%BC%EA%B8%B0
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C%A7%88_(%EC%86%8C%EC%84%A4)
https://kydong77.tistory.com/8090?category=487437
호질(虎叱) -박지원
[1]범 이야기
1)범의 위엄은 허상이다
虎睿聖文武
(호예성문무) : 범은 모든 일에 뛰어날 뿐만 아니라 착하고 성스러우며, 문채롭고 무인다우며,
慈孝智仁
(자효지인) : 인자롭고 효성이 지극하며, 슬기롭고 어질며,
雄勇壯猛
(웅용장맹) : 기운차고 날래며, 용맹스럽고 사나워
天下無敵
(천하무적) : 천하에 대적할 이가 없다.
然狒胃食虎
(연비위식호) : 그러나 비위는 호랑이를 먹고,
竹牛食虎
(죽우식호) : 죽우도 호랑이를 먹고,
駮食虎
(박식호) : 박도 호랑이를 먹고,
五色獅子食虎於巨木之岫
(오색사자식호어거목지수) : 오색사자도 큰 나무의 꼭대기에서 호랑이를 먹고,
玆白食虎
(자백식호) : 자백도 호랑이를 먹고,
표犬飛食虎豹
(표견비식호표) : 표견도 날아서 호랑이를 잡아 먹고
黃要取虎豹心而食之
(황요취호표심이식지) : 황요 등은 호랑이의 심장을 취하여 먹는다.
猾無骨爲虎豹所呑
(활무골위호표소탄) : 활이란 동물은 뼈가 없는 관계로 호랑이가 꿀떡 삼켜 버리면
內食虎豹之肝
(내식호표지간) : 뱃속에 들어가서 그 간을 먹으며,
酋耳遇虎
(추이우호) : 추이(酋耳)란 짐승은 호랑이를 만나면
則裂而啖之
(칙렬이담지) : 갈기갈기 찢어서 씹어먹는 습성이 있다.
虎遇猛㺎(호우맹용) : 그리고 호랑이가 맹용을 만나면
則閉目而不敢視
(칙폐목이불감시) : 무서워서 눈을 감고 보지도 못한다.
人不畏猛㺎而畏虎
(인불외맹용이외호) : 그러나 사람은 이와는 반대로 맹용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호랑이를 무서워한다.
虎之威其嚴乎
(호지위기엄호) : 어쨌든 호랑이의 위세란 대단한 것인저.
[주D-001]비위(狒胃) : 짐승 이름. 비비(狒狒)의 일종.
[주D-002]박(駮) : 말과 같은 짐승인데, 《산해경(山海經)》에, “몸은 희고 꼬리는 검으며 외뿔에 범처럼 생겼으며, 어금니와 발톱을 가졌고, 호표를 먹는다.” 하였다.
[주D-003]오색 사자(五色獅子) : 호회(虎薈)에, “누런 털에 오색이 찬란하고, 꼴은 사자와 같다.” 하였다.
[주D-004]자백(玆白) : 《급총궐서(汲冢闕書)》에, “꼴이 말 같으며, 톱니가 날카로워서 호표를 먹는다.” 하였다.
[주D-005]표견(䶂犬) : 거수국(渠搜國)에 있는 개. 일명은 노견(露犬)인데, 날아서 호표를 먹는다 하였다.
[주D-006]황요(黃要) : 개의 일종. 표범과 비슷하고, 허리 이상은 누르고 이하는 검으며, 작은 놈은 청요(靑要)라 하는데, 요(要)는 요(腰)와 같다.
[주D-007]활(猾) : 범의 입에 들어가도 범이 물지 못한다. 그러면 범의 뱃속에서부터 먹어 나온다.
[주D-008]추이(酋耳) : 범의 일종. 크고 꼬리가 길다 한다.
2)범이 사람을 잡아먹으면 그 창귀는 굴각, 이올, 육혼이 되어 범을 돕는다
虎食狗則醉
(호식구칙취) : 범이 개를 잡아먹으면 술을 마신 것처럼 취하고
食人則神
(식인칙신) : 범이 사람을 한번 잡아먹으면 신들린 듯하다
虎一食人
(호일식인) : 호랑이가 한번 사람을 먹으면
其倀爲屈閣
(기창위굴각) : 그 창귀가 굴각이 되어
在虎之腋
(재호지액) : 범의 겨드랑이에 붙어 살면서
導虎入廚
(도호입주) : 범을 남의 집 부엌에 인도하여서
舐其鼎耳
(지기정이) : 솥전을 핥으면
主人思饑
(주인사기) : 그 집 주인이 갑자기 시장끼를 느껴
命妻夜炊
(명처야취) : 한밤중이라도 아내더러 밥을 지으라고 하게 된다
虎再食人
(호재식인) : 두번째로 그 사람을 잡아 먹는다.
其倀爲彛兀
(기창위이올) : 그러면 창귀는 이올이란 귀신이 되어서
在虎之輔
(재호지보) : 호랑이의 볼에 붙어 다니며
升高視虞
(승고시우) : 높은 곳에 올라 우를 살핀다.
若谷穽弩
(약곡정노) : 만약 산골짜기에 이르러서 함정이 있으면
先行釋機
(선행석기) : 먼저 가서 위험이 없도록 차귀를 풀어 놓는다.
虎三食人
(호삼식인) : 호랑이가 세번째로 사람을 잡아 먹으면
其倀爲鬻渾
(기창위죽혼) : 그 창귀는 육혼이란 귀신이 되어서
在虎之頤
(재호지이) : 호랑이 턱에 붙어서
多贊其所識朋友之名
(다찬기소식붕우지명) : 그가 평소에 잘 알던 친구의 이름을 불러댄다.
3)창귀들이 추천한 저녁 메뉴
(1)상투 튼 선비
虎詔倀曰
(호조창왈) : 어느 날 범이 창귀를 불러 놓고 하는 말이,
日之將夕
(일지장석) : "오늘도 곧 날이 저무는데
于何取食
(우하취식) : 어디 가서 먹을 것을 구한단 말이냐." 하니
屈閣曰
(굴각왈) : 굴각이 대답하기를,
我昔占之
(아석점지) : "제가 전에 점쳐 보았더니
匪角匪羽
(비각비우) : 뿔을 가진 짐승도 아니고 날짐승도 아닌
黔首之物
(검수지물) : 검은 머리를 가진 것이
雪中有跡
(설중유적) : 눈 위에 발자국이
彳亍踈武
(척촉소무) : 비틀비틀 성긴 걸음,
瞻尾在腦
(첨미재뇌) : 뒤통수에 꼬리가 붙어
莫掩其尻
(막엄기고) : 꽁무니를 감추지 못하는 그런 놈입니다." 하니
[주D-009]뿔……놈입니다 : 사람을 가리킨다.
(2)의원
彛兀曰
(이올왈) : 다음에 이올이 말하기를,
東門有食
(동문유식) : "동문에 먹을 것이 하나 있는데,
其名曰醫
(기명왈의) : 그 놈의 이름은 의원(醫員)이라고 합니다.
口含百草
(구함백초) : 의원(醫員)은 약초를 다루고 먹으니
肌肉馨香
(기육형향) : 그 고기도 별미(別味)인 줄로 아옵니다.
(3)무당
西門有食
(서문유식) : 그리고 서문에도 먹을 것이 있는데
其名曰巫
(기명왈무) : 그것은 무당입니다.
求媚百神
(구미백신) : 그 계집은 천지 신명께 온갖 미태(媚態)를 부리고
日沐齊潔
(일목제결) : 매일 목욕재계(沐浴齋戒)를 하여
請爲擇肉於此二者
(청위택육어차이자) : 깨끗하고 맛있는 계집이오니 이 둘 중에서 골라서 잡수시길 바라옵니다." 라고 추천했다.
(4)범이 화를 내다
虎奮髯作色曰
(호분염작색왈) : 범이 화를 내며 하는 말이,
醫者疑也
(의자의야) : "의(醫)란 의(疑)인데
以其所疑而試諸人
(이기소의이시제인) : 저 자신도 의심스러운 것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시험하여,
歲所殺常數萬
(세소살상수만) : 해마다 죽이는 것이 항상 몇 만이 넘는다.
巫者誣也
(무자무야) : '무(巫)란 무(誣)인데
誣神以惑民
(무신이혹민) : 결국 무당이란 귀신을 속이고 사람들을 미혹하게 하니
歲所殺常數萬
(세소살상수만) : 해마다 목숨 잃는 것이 수만이나 된다
衆怒入骨
(중노입골) : 그래서 여러 사람의 노여움은 그들의 뼈 속에까지 스며들어
化爲金蚕
(화위금잠) : 금잠이란 벌레가 되어서
毒不可食
(독불가식) : 독기가 있어 먹을 수 없다."
[주D-010]금잠(金蠶) : 《박물지(博物志)》에, “남방 사람이 금잠을 기르는데, 촉금(蜀錦)을 먹이고, 그 똥을 음식 속에 넣으면 독이 있다.” 하였다.
(5)석덕지유를 추천했으나 범은 역시 못마땅해하다
鬻渾曰
(죽혼왈) : 이에 육혼이 또 말한다.
有肉在林
(유육재림) : "어떤 고기가 저 숲속에 있는데
仁肝義膽
(인간의담) : 인자한 염통과 의기로운 쓸개며
抱忠懷潔
(포충회결) : 충성스런 마음을 지니고 순결한 지조를 품었으며,
戴樂履禮
(대악리례) : 악은 머리 위에 이고 예는 신처럼 신고 다닌답니다.
口誦百家之言
(구송백가지언) : 뿐만 아니라 그는 입으로 제자(諸子)백가(百家)의 말들을 외며,
心通萬物之理
(심통만물지리) : 마음속으로는 만물의 이치를 통했으니
名曰碩德之儒
(명왈석덕지유) : 그의 이름은 석덕지유라 하옵니다.
背盎軆胖
(배앙체반) : 등살이 오붓하고 몸집이 기름져서
五味俱存
(오미구존) : 오미(五味)를 갖추고 있답니다." 하였다.
虎軒眉垂涎
(호헌미수연) : 범이 그제야 눈썹을 치켜세우고 침을 내리 흘리며
仰天而笑曰
(앙천이소왈) : 하늘을 쳐다보고 씽긋 웃으면서 말한다.
朕聞如何
(짐문여하) : "짐(朕)이 이를 좀더 상세히 듣고자 하니 자세히 말하라." 했다.
倀交薦虎曰
(창교천호왈) : 그러자 창귀들이 서로 범에게 추천하기를,
一陰一陽之謂道
(일음일양지위도) : "일 음· 일 양을 도(道)라 하옵는데,
儒貫之
(유관지) : 저 유가 이를 꿰뚫으며
五行相生
(오행상생) : 오행(五行)이 서로 낳고
六氣相宣
(륙기상선) : 육기(六氣)가 서로 이끌어 주는데,
[주D-011]육기(六氣) : 음(陰)ㆍ양(陽)ㆍ풍(風)ㆍ우(雨)ㆍ회(晦)ㆍ명(明).
儒導之
(유도지) : 저 유가 이를 조화시킨다고 합니다.
食之美者無大於此
(식지미자무대어차) : 그러니 먹어서 맛이 있는 것이 이보다 더한 것이 없으리라."
虎愀然變色易容而不悅曰
(호초연변색역용이불열왈) : 범이 이 말을 듣고 문득 추연히 낯빛을 붉히며 기쁘지 않은 어조로 말한다.
陰陽者
(음양자) : "아니야, 저 음·양이란 것은
一氣之消息也而兩之
(일기지소식야이량지) : 한 기운의 생성과 소멸에 불과하다거늘 그들이 두 가지를 겸했으니
其肉雜也
(기육잡야) : 그 고기가 잡될 것이며,
五行定位
(오행정위) : 오행이 각기 제 자리에 있어서
未始相生
(미시상생) : 애당초 서로 낳는 것은 아니거늘
乃今强爲子母
(내금강위자모) : 이제 그들이 억지로 자·모로 갈라서
分配醎酸
(분배함산) : 짜고 신맛을 분배시켰으니
其味未純也
(기미미순야) : 그 맛이 순하지 못할 것이며,
六氣自行
(륙기자행) : 육기는 스스로 행하는 것이어서
不待宣導
(불대선도) : 남이 이끌어줌을 기다릴 것이 없거늘
乃今妄稱財相
(내금망칭재상) : 이제 그들이 망녕되어 재성·보상이라 일컬어서
[주D-012]재성(財成)ㆍ보상(輔相) : 《역경(易經)》에, “천지의 도를 마련해 이룩하며, 천지의 의(宜)를 도와 준다.” 하였다.
私顯己功(사현기공) : 사사로이 자기 공을 세우려 하니,
其爲食也(기위식야) : 그것을 먹는다면
無其硬强滯逆而不順化乎
(무기경강체역이불순화호) : 어찌 딱딱하여 가슴에 체하거나 목구멍에 구역질이 나서 순하게 소화가 되지 못할 것이 아니냐."고 하였다.
[2]북곽선생과 동리자의 러브스토리
1)북곽선생
鄭之邑
(정지읍) : 정나라 어느 고을에
有不屑宦之士曰
(유불설환지사왈) : 벼슬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는 학자가 살았으니
北郭先生
(북곽선생) : '북곽 선생(北郭先生)'이었다.
行年四十
(행년사십) : 그는 나이 마흔에
手自校書者萬卷
(수자교서자만권) : 손수 교정(校訂)해 낸 책이 만 권이었고,
敷衍九經之義
(부연구경지의) : 또 육경(六經)의 뜻을 부연해서
[주D-013]구경(九經) : 《역경(易經)》ㆍ《서경(書經)》ㆍ《시경(詩經)》ㆍ《춘추좌전(春秋左傳)》ㆍ《예기(禮記)》ㆍ《주례(周禮)》ㆍ《효경(孝經)》ㆍ《논어(論語)》ㆍ《맹자(孟子)》.
更著書一萬五千卷
(경저서일만오천권) : 다시 저술한 책이 일만 오천 권이었다.
天子嘉其義
(천자가기의) : 천자(天子)가 그의 행의(行義)를 가상히 여기고
諸侯慕其名
(제후모기명) : 제후(諸侯)가 그 명망을 존경하고 있었다.
2)동리자
邑之東
(읍지동) : 그 고장 동쪽에는
有美而早寡者
(유미이조과자) : 미모의 과부가 있었는데,
曰東里子
(왈동리자) : 동리자(東里子)라는고 불렀다
天子嘉其節
(천자가기절) : 천자가 그 절개를 가상히 여기고
諸侯慕其賢
(제후모기현) : 제후가 그 현숙함을 사모하여,
環其邑數里而封之曰
(환기읍수리이봉지왈) : 그 마을의 둘레를 봉(封)해서
東里寡婦之閭
'동리과부지려'라고 정표(旌表)해 주기도 했다.
東里子善守寡
(동리자선수과) : 이처럼 동리자가 수절을 잘 하는 부인이라 했는데,
然有子五人
(연유자오인) : 실은 슬하의 다섯 아들이
各有其姓
(각유기성) : 각기 성이 달랐다.
3)五子의 정탐
五子相謂曰
(오자상위왈) : 어느 날 밤, 다섯 놈의 아들들이 서로 이르기를,
水北鷄鳴
(수북계명) : "강 건너 마을에서 닭이 울고
水南明星
(수남명성) : 강 저편 하늘에 샛별이 반짝이는데,
室中有聲
(실중유성) : 방안에서 흘러나오는 말소리는
何其甚似北郭先生也
(하기심사북곽선생야) : 어찌도 그리 북곽 선생의 목청을 닮았을까."하고
兄弟五人
(형제오인) : 다섯 놈이
迭窺戶隙
(질규호극) : 차례로 문틈으로 들여다보았다.
4)동리자의 구애와 북곽의 반응
東里子請於北郭先生曰
(동리자청어북곽선생왈) : 동리자가 북곽 선생에게 이르기를
久慕先生之德
(구모선생지덕) : "오랫동안 선생님의 덕을 사모했는데,
今夜願聞先生讀書之聲
(금야원문선생독서지성) : 오늘밤은 선생님 글 읽는 소리를 듣고자 하옵니다."하고 간청하매,
北郭先生
(북곽선생) : 북곽 선생은
整襟危坐而爲詩曰
(정금위좌이위시왈) : 옷깃을 바로 잡고 점잖게 앉아서 시(詩)를 읊었다.
䲶鴦在屛
(원앙재병) : 원앙새는 병풍에 그려 있고,
耿耿流螢
(경경류형) : 반딧불 흘러 잠 못 이룬다
維鬵維錡
(유심유기) : 저기 저 가마솥 세발 솥은
云誰之型
(운수지형) : 무엇을 본떠서 만들었나 한다.
興也
(흥야):흥야라 (興-연상법/ 比 賦)
[주D-014]가마솥과……만들었나 : 발 없는 가마솥과 세발솥은 그 모형이 다 다르다. 이로써 성 다른 다섯 아들에게 비하였다. 대체 다섯 아이들이 성도 다르고 얼굴도 같지 않으니, 이는 어떤 잡놈들과 관계해서 이런 것들을 낳았다는 의미.
[주D-015]흥이라[興也] : 육의(六義)의 하나. 먼저 어떤 다른 물건을 읊어서 그 목적하고 있는 것을 끄집어 일으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원앙새를 먼저 이끌어서 남녀의 사건을 전개하는 것이다.육의는 [風雅頌/比賦興]
5)五子의 공격에 추락하는 북곽의 권위
-도망치다 들판의 똥통에 빠지다
五子相謂曰
(오자상위왈) : 다섯 놈이 서로 소곤대기를,
禮不入寡婦之門
(례불입과부지문) : "예의 상으로 과부의 방에 들어올 리 없다
北郭先生賢者也
(북곽선생현자야) : 북곽 선생은 현자이니까
吾聞鄭之城門壞而狐穴焉
(오문정지성문괴이호혈언) : 우리 고을의 성문이 무너져서 여우 구멍이 생겼대.
吾聞狐老千年
(오문호로천년) : 여우란 놈은 천 년을 묵으면
能幻而像人
(능환이상인) : 사람 모양으로 둔갑할 수 있단다. 틀림없이 그 여우란 놈이
是其像北郭先生乎
(시기상북곽선생호) : 저건 바로 북곽 선생으로 둔갑한 것이다."하고
相與謀曰
(상여모왈) : 함께 의논했다.
吾聞得狐之冠者
(오문득호지관자) : "들으니 여우의 갓을 얻으면
家致千金之富
(가치천금지부) : 큰 부자가 될 수 있고,
得狐之履者
(득호지리자) : 여우의 신발을 얻으면
能匿影於白日
(능닉영어백일) : 대낮에 그림자를 감출 수 있고,
得狐之尾者
(득호지미자) : 여우의 꼬리를 얻으면
[주D-016]여우의 꼬리 : 꼬리라 하였지마는, 사실은 샅을 일컬었다.
善媚而人悅之
(선미이인열지) : 애교를 잘 부려서 남의 사랑을 받을 수 있다더라.
何不殺是狐而分之
(하불살시호이분지) : 어찌 저 놈의 여우를 때려잡아서 나눠 갖지 않으랴."
於是五子共圍而擊之
(어시오자공위이격지) : 다섯 놈들이 방을 둘러싸고 우루루 쳐들어 갔다.
北郭先生大驚遁逃
(북곽선생대경둔도) : 북곽 선생은 크게 당황하여 도망쳤다.
恐人之識己也
(공인지식기야) : 사람들이 자기를 알아볼까 겁이 나서
以股加頸
(이고가경) : 두 다리 사이에 목을 들이박고
鬼舞鬼笑
(귀무귀소) : 귀신처럼 춤추고 낄낄거리며
出門而跑
(출문이포) : 문을 나가서 내닫다가
乃陷野窖
(내함야교) : 그만 들판의 구덩이 속에 빠져 버렸다.
穢滿其中
(예만기중) : 그 구덩이에는 똥이 가득 차 있었다.
6)들판의 똥통에서 기어나오던 북곽이 범과 맞딱뜨리다
-북곽 범을 만나 아유하다
攀援出首而望
(반원출수이망) : 간신히 기어올라 머리를 들고 바라보니
有虎當徑
(유호당경) : 뜻밖에 범이 길목에 앉아 있었다.
虎顰蹙嘔哇
(호빈축구왜) : 범은 북곽 선생을 보고 오만상을 찌푸리고 구역질을 하며
掩鼻左首而噫曰
(엄비좌수이희왈) : 코를 싸쥐고 머리를 왼쪽으로 돌리고 이르기를,
儒句臭矣
(유구취의) : "유자여! 더럽다."
北郭先生頓首匍匐而前
(북곽선생돈수포복이전) : 북곽 선생은 머리를 조아리고 범 앞으로 기어 가서
三拜以跪
(삼배이궤) : 세 번 절하고 꿇어앉아
仰首而言曰
(앙수이언왈) : 머리를 쳐들고 우러러 아뢴다.
虎之德其至矣乎
(호지덕기지의호) : "호랑님의 덕은 지극하시지요.
大人效其變
(대인효기변) : 대인(大人)은 그 변화를 본받고,
帝王學其步
(제왕학기보) : 제왕(帝王)은 그 걸음을 배우며,
人子法其孝
(인자법기효) : 자식된 자는 그 효성을 본받고,
將帥取其威
(장수취기위) : 장수는 그 위엄을 취하며,
名並神龍
(명병신룡) : 거룩하신 이름은 신령스런 용(龍)의 짝이 되는지라,
一風一雲
(일풍일운) : 풍운이 조화를 부리시매니
下土賤臣
(하토천신) : 하토(下土)의 천신(賤臣)은
敢在下風
(감재하풍) : 감히 아랫바람에 서옵나이다."
[주D-017]대인(大人)은……본받고 : 《역경(易經)》에 나오는 구절.
[주D-018]제왕(帝王)은……배우며 : 《송사(宋史)》 태조기(太祖紀)에 나오는 말.
[주D-019]남의……본받고 : 《서경(書經)》 채침(蔡沈)의 주(註)에 나오는 말.
[주D-020]장수는……취하며 : 무관직에는 범호(虎) 자를 많이들 쓴다. 예를 들면 촉한(蜀漢) 때의 오호대장(五虎大將)과 같은 것.
[주D-021]신룡(神龍)과……일으키시니 : 《역경》에 나오는 말.
[3]범의 꾸중
1)유(儒)는 유(諛)라
虎叱曰
(호질왈) : 범은 북곽 선생을 여지없이 꾸짖었다
毋近前
(무근전) : “내 앞에 가까이 오지 말아라.
曩也吾聞之
(낭야오문지) : 접때 내가 들으니
儒者諛也
(유자유야) : 내 듣건대 유(儒)는 유(諛)라 하더니
果然
(과연) : 과연 그렇구나.
汝平居集天下之惡名
(여평거집천하지악명) : 네가 평소에 천하의 악명을
妄加諸我
(망가제아) : 망령되이 나에게 덮어씌우더니,
今也急而面諛
(금야급이면유) : 이제 사정이 급해지자 면전에서 아첨을 떠니
將誰信之耶
(장수신지야) : 장차 누가 이를 믿겠느냐?
2)범의 본성이 인간의 본성보다 어질다
夫天下之理一也
(부천하지리일야) : 천하의 이치는 하나이다.
虎誠惡也
(호성악야) : 범의 본성(本性)이 악한 것이라면
人性亦惡也
(인성역악야) : 인간의 본성도 악할 것이요,
人性善則虎之性亦善也
(인성선칙호지성역선야) : 인간의 본성이 선(善)한 것이라면 범의 본성도 선할 것이다.
汝千語萬言
(여천어만언) : 너희들의 떠드는 천 소리 만 소리는
不離五常
(불리오상) : 오상륜(五常)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고,
戒之勸之
(계지권지) : 경계하고 권면하는 말은
恒在四綱
(항재사강) : 항상 사강(四綱)에 머물러 있다.
[주D-022]오상(五常) : 부의(父義)ㆍ모자(母慈)ㆍ형우(兄友)ㆍ제공(弟恭)ㆍ자효(子孝).
[주D-023]사강(四綱) : 예(禮)ㆍ의(義)ㆍ염(廉)ㆍ치(恥).
然都邑之間
(연도읍지간) : 그런데 도회지에
無鼻無趾
(무비무지) : 코 베이고, 발꿈치 짤리고,
文面而行者
(문면이행자) : 얼굴에다 자자(刺字)질하고 다니는 것들은
皆不遜五品之人也
(개불손오품지인야) : 다 오륜을 지키지 못한 자들이 아니냐?
然而徽墨斧鉅
(연이휘묵부거) : 포승줄과 먹실, 도끼, 톱 같은 형구(刑具)를
日不暇給
(일불가급) : 매일 쓰기에 바빠 겨를이 나지 않는데도
莫能止其惡焉
(막능지기악언) : 죄악을 중지시키지 못하는구나.
而虎之家自無是刑
(이호지가자무시형) : 범의 세계에서는 원래 그런 형벌이 없으니
由是觀之
(유시관지) : 이로 보면
虎之性不亦賢於人乎
(호지성불역현어인호) : 범의 본성이 인간의 본성보다 어질지 않느냐?
3)범의 도리는 광명 정대(光明正大)하다
虎不食草木
(호불식초목) : 범은 초목을 먹지 않고,
不食虫魚
(불식충어) : 벌레나 물고기를 먹지 않고,
不嗜麴蘖悖亂之物
(불기국얼패란지물) : 술 같은 좋지 못한 음식을 좋아하지 않으며,
不忍字伏細瑣之物
(불인자복세쇄지물) : 순종 굴복하는 하찮은 것들을 차마 잡아먹지 않는다.
入山獵麕鹿
(입산렵균록) : 산에 들어가면 노루나 사슴 따위를 사냥하고,
在野畋馬牛
(재야전마우) : 들로 나가면 말이나 소를 잡아먹되
未甞爲口腹之累飮食之訟
(미상위구복지루음식지송) : 먹기 위해 비굴해진다거나 음식 따위로 다투는 일이 없다.
虎之道
(호지도) : 범의 도리가
豈不光明正大矣乎
(기불광명정대의호) : 어찌 광명 정대(光明正大)하지 않은가.
4)하늘이 정사를 공평하게 한다면 너희가 나의 먹이가 되어야 한다
虎之食麕鹿
(호지식균록) : 범이 노루나 사슴을 잡아먹을 때는
而汝不疾虎
(이여불질호) : 사람들이 미워하지 않다가,
虎之食馬牛
(호지식마우) : 말이나 소를 잡아먹을 때는
而人謂之讐焉
(이인위지수언) : 사람들이 원수로 생각하는 것은
豈非麕鹿之無恩於人
(기비균록지무은어인) : 어찌 노루나 사슴은 사람들에게 은공이 없고
而馬牛之有功於汝乎
(이마우지유공어여호) : 소나 말은 유공(有功)하기 때문이 아니냐?
然而不有其乘服之勞戀效之誠
(연이불유기승복지로련효지성) : 그런데 너희들은 소나 말들이 태워 주고 일해 주는 공로와 따르고 충성하는 정성을 갖지 않고
日充庖廚
(일충포주) : 날마다 푸줏간을 채워
角鬣不遺
(각렵불유) : 뿔과 갈기도 남기지 않고,
而乃復侵我之麕鹿
(이내부침아지균록) : 다시 우리의 노루와 사슴을 침노하여
使我乏食於山
(사아핍식어산) : 우리들로 하여금 산에도 들에도
缺餉於野
(결향어야) : 먹을 것이 없게 만든단 말이냐?
使天而平其政
(사천이평기정) : 하늘이 정사를 공평하게 한다면
汝在所食乎所捨乎
(여재소식호소사호) : 너희는 나의 먹이가 되어야 하겠느냐, 그렇지 말아야 할 것이겠느냐?
5)잔인하고 박행함이 인간보다 더한 것은 없다
夫非其有而取之
(부비기유이취지) : 대체 제 것이 아닌데 취하는 것을
謂之盜
(위지도) : 도(盜)라 하고,
殘生而害物者
(잔생이해물자) : 생(生)을 빼앗고 물(物)을 해치는 것을
謂之賊
(위지적) : 적(賊)이라 하나니,
汝之所以日夜遑遑
(여지소이일야황황) : 너희가 밤낮으로 쏘다니며
揚臂努目
(양비노목) : 팔을 걷어붙이고 눈을 부릅뜨고
挐攫而不恥
(나확이불치) : 노략질하면서 부끄러운 줄 모르고,
甚者
(심자) : 심한 놈은
呼錢爲兄
(호전위형) : 돈을 불러 형님이라 부르고,
[주D-024]돈을……부르고 : 옛날 돈이 구멍이 났으므로 공방형(孔方兄)이라 하였고, 또는 돈을 가형(家兄)이라 한 이도 없지 않았다. 진(晉) 나라 노포(魯褒)의 〈전신론(錢神論)〉에 나오는 말들.
求將殺妻
(구장살처) : 장수가 되기 위해서 제 아내를 살해하였다면
[주D-025]장수되기……일 : 전국 때 명장 오기(吳起)의 고사.
則不可復論於倫常之道矣
(즉불가부론어륜상지도의) : 다시 윤리 도덕을 논할 수도 없다.
乃復攘食於蝗
(내부양식어황) : 뿐 아니라 메뚜기에게서 먹이를 빼앗아 먹고,
奪衣於蚕
(탈의어천) : 누에에게서 옷을 빼앗아 입고,
禦蜂而剽甘
(어봉이표감) : 벌을 막고 꿀을 따며,
甚者
(심자) : 심한 놈은
醢蟻之子
(해의지자) : 개미 새끼를 젖담아서
以羞其祖考
(이수기조고) : 조상에게 제수로 진설하니
[주D-026]개미……제사하니 : 《예기》 내칙편(內則篇)에 나오는 일.
其殘忍薄行
(기잔인박행) : 잔인하고 박행함이
孰甚於汝乎
(숙심어여호) : 무엇이 너희보다 더 하겠느냐?
6)인간은 천하의 도적이다
汝談理論性
(여담리론성) : 너희가 이(理)를 말하고 성(性)을 논할 적에
動輒稱天
(동첩칭천) : 걸핏하면 하늘을 들먹이지만,
自天所命而視之
(자천소명이시지) : 하늘의 소명(所命)으로 보자면
則虎與人
(즉호여인) : 범이나 사람이나
乃物之一也
(내물지일야) : 다같이 만물 중의 하나이다.
自天地生物之仁而論之
(자천지생물지인이론지) : 천지가 만물을 낳은 인(仁)으로 논하자면
則虎與蝗蚕蜂蟻與人並畜
(칙호여황천봉의여인병축) : 범과 메뚜기․누에․벌․개미 및 사람이 다같이 땅에서 길러지는 것으로
而不可相悖也
(이불가상패야) : 서로 해칠 수 없는 것이다.
自其善惡而辨之
(자기선악이변지) : 그 선악을 분별해 보자면
則公行剽刦於蠭蟻之室者
칙공행표겁어봉의지실자) : 벌과 개미의 집을 공공연히 노략질하는 것은
獨不爲天地之巨盜乎
(독불위천지지거도호) : 홀로 천지간의 거대한 도둑이 되지 않겠는가?
肆然攘竊於蝗蚕之資者
(사연양절어황천지자자) : 메뚜기와 누에의 밑천을 약탈하는 것은
獨不爲仁義之大賊乎
(독불위인의지대적호) : 홀로 인의(仁義)의 대적(大賊)이 아니겠는가?
7)동류끼리 잡아먹는 것은 인간밖에 없다
虎未甞食豹者
(호미상식표자) : 범이 일찍이 표범을 잡아먹지 않는 것은
誠爲不忍於其類也
(성위불인어기류야) : 동류를 차마 그럴 수 없어서이다.
然而計虎之食麕鹿
(연이계호지식균록) : 그런데 범이 노루와 사슴을 잡아먹은 것이
不若人之食麕鹿之多也
(불약인지식균록지다야) : 사람이 노루와 사슴을 잡아먹은 것만큼 많지 않으며,
計虎之食馬牛
(계호지식마우) : 범이 말과 소를 잡아먹은 것이
不若人之食馬牛之多也
(불약인지식마우지다야) : 사람이 말과 소를 잡아먹은 것만큼 많지 않다.
計虎之食人
(계호지식인) : 범이 사람을 잡아먹은 것이
不若人之相食之多也
(불약인지상식지다야) : 사람이 서로를 잡아 먹는 것만큼 많지 않다.
去年關中大旱
(거년관중대한) : 지난해 관중(關中)이 크게 가물자
民之相食者數萬
(민지상식자수만) : 백성들이 서로 잡아먹은 것이 수만이었고,
往歲山東大水
(왕세산동대수) : 전해에는 산동(山東)에 홍수가 나자
民之相食者數萬
(민지상식자수만) : 백성들이 서로 잡아먹은 것이 수만이었다.
雖然(
수연) : 비록 그러하나
其相食之多
(기상식지다) : 사람들이 서로 많이 잡아먹기로야
又何如春秋之世也
(우하여춘추지세야) : 춘추(春秋) 시대 같은 때가 있었을까?
春秋之世
(춘추지세) : 춘추 시대에
樹德之兵十七
(수덕지병십칠) : 공덕을 세우기 위한 싸움이 열에 일곱이었고,
報仇之兵十三
(보구지병십삼) : 원수를 갚기 위한 싸움이 열에 셋이었는데,
流血千里(류혈천리) : 흘린 피가 천 리에 물들었고,
伏屍百萬
(복시백만) : 거꾸러져 죽은 시체가 백만이나 되었더니라.
8)범의 예성(睿聖)과 무용(武勇) & 인의(仁義)
而虎之家水旱不識
(이호지가수한불식) : 범의 세계는 큰물과 가뭄의 걱정을 모르기 때문에
故無怨乎天
(고무원호천) :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讐德兩忘
(수덕량망) : 원수도 공덕도 다 잊어버리기 때문에
故無忤於物
(고무오어물) : 누구를 미워하지 않으며,
知命而處順
(지명이처순) : 운명을 알아서 따르기 때문에
故不惑於巫醫之姦
(고불혹어무의지간) : 무(巫)와 의(醫)의 간사에 속지 않고,
踐形而盡性
(천형이진성) : 타고난 그대로 천성을 다하기 때문에
故不疚乎世俗之利
(고불구호세속지리) : 세속의 이해에 병들지 않으니,
此虎之所以睿聖也
(차호지소이예성야) : 이것이 곧 범이 예성(睿聖)한 것이다.
窺其一班
(규기일반) : 우리 몸의 얼룩무늬 한 점만 엿보더라도
足以示文於天下也
(족이시문어천하야) : 족히 문채(文彩)를 천하에 자랑할 수 있으며,
不藉尺寸之兵
(불자척촌지병) : 한 자 한 치의 칼날도 빌리지 않고
而獨任爪牙之利
(이독임조아지리) : 다만 발톱과 이빨의 날카로움을 가지고
所以耀武於天下也
(소이요무어천하야) : 무용(武勇)을 천하에 떨치고 있다.
彛卣蜼尊
(이유유존) : 종이(宗彛)와 유준(蜼尊)은
所以廣孝於天下也
(소이광효어천하야) : 효(孝)를 천하에 넓힌 것이며,
一日一擧而烏鳶螻螘
(일일일거이오연루의) : 하루 한 번 사냥을 해서 까마귀나 솔개․청마구리․개미 따위에게까지
共分其餕
(공분기준) : 대궁을 함께 나누어 주니
仁不可勝用也
(인불가승용야) : 그 인(仁)한 것이 이루 말할 수 없고,
讒人不食
(참인불식) : 굶주린 자를 잡아먹지 않고,
廢疾者不食
(폐질자불식) : 병든 자를 잡아먹지 않고,
衰服者不食
(쇠복자불식) : 상복(喪服) 입은 자를 잡아먹지 않으니
[주D-027]고자질하는……않으니 : 이 세 가지를 먹지 않는다는 말은 우리나라 재래로부터 내려오는 속담.
義不可勝用也(의불가승용야) : 그 의로운 것이 이루 말할 수 없다.
9)인간의 잔학(殘虐)함
-그물, 창, 화포, 붓
不仁哉
(불인재) : 불인(不仁)하기 짝이 없다,
汝之爲食也
(여지위식야) : 너희들의 먹이를 얻는 것이여!
機穽之不足
(기정지불족) : 덫이나 함정을 놓는 것만으로도 오히려 모자라서
而爲罿也罞也罛也罾也罦也罭也
(이위 동야 모야 고야 증야 부야 역야)
注]罞(모):고라니그믈. 罛(고):물고기그물. 罾(증):어망과 통발. 罦(부):덮치기. 罭(역):어망.
: 저 새 그물과 작은 노루 그물[網] , 물고기 그물과 큰 물고기 그물, 수레 그물과 삼태 그물 따위들을 만들었으니,
始結網罟者
(시결망고자) : 처음 그것을 만들어 낸 놈이야말로
裒然首禍於天下矣
(부연수화어천하의) : 세상에 가장 재앙을 끼친 자이다.
有鈹者 戣者 殳者 斨者 叴者 矟者 鍜者 鈼者者
(유피자 규자 수자 장자 구자 삭자 하자 작자자)
: 게다가 큰바늘과 쥘창, 날 없는 창과 도끼, 세모창과 한길 여덟 자 창, 뾰죽 창과 작은 칼, 긴 창까지 만들었지.
注] 鈹(피):종기. 째는 데 쓰이는 양날이 있는 파종침. 창. 戣(규):양지창. 殳(수):창, 모둥이. 斨(장):도끼. 厹(구):세모창. 矟(삭):삼지창. 鍜(하):목투구. 鈼(작):釜也, 鉹(창칼치)也. 礮(포):돌쇠뇌. 逞(령):굳세다, 쾌하다, 즐겁다.
有礮發焉
(유포발언) : 화포(火砲)란 것이 있어서, 이것을 한번 터뜨리면
聲隤華嶽
(성퇴화악) : 소리는 산을 무너뜨리고
火洩陰陽
(화설음양) : 천지에 불꽃을 쏟아
暴於震霆
(폭어진정) : 벼락치는 것보다 무섭다.
是猶不足以逞其虐焉
(시유불족이령기학언) : 그래도 아직 잔학(殘虐)을 부린 것이 부족하여,
則乃吮柔毫
(즉내연유호) : 이에 부드러운 털을 쪽 빨아서
合膠爲鋒
(합교위봉) : 아교에 붙여 뾰족한 물건을 만들어 냈으니,
體如棗心
(체여조심) : 그 몸은 대추씨 같고
長不盈寸
(장불영촌) : 그 길이는 한 치도 못 되는 것이다.
淬以烏賊之沫
(쉬이오적지말) : 이것을 오징어의 시커먼 물에 적셔서
縱橫擊刺
(종횡격자) : 종횡으로 치고 찔러 대는데,
曲者如矛
(곡자여모) : 구불텅한 것은 세모창 같고,
銛者如刀
(섬자여도) : 예리한 것은 칼날 같고,
銳者如釖
(예자여도) : 예리한 것은 낫같고,
歧者如戟
(기자여극) : 두 갈래 길이 진 것은 가지창 같고,
直者如矢
(직자여시) : 곧은 것은 화살 같고,
彀者如弓
(구자여궁) : 팽팽한 것은 활 같아서,
此兵一動
(차병일동) : 이 병기(兵器)를 한번 휘두르면
百鬼夜哭
(백귀야곡) : 온갖 귀신이 밤에 곡(哭)을 한다.
[주D-028]보드라운……지경이라니 : 붓으로 문자를 써서 온갖 못된 짓을 다한다는 비유. 옛날 창힐(倉頡)이 한자(漢子)를 처음 짓자, 귀신이 밤에 울었다 하였다.
其相食之酷
(기상식지혹) : 서로 잔혹하게 잡아먹기를
孰甚於汝乎
(숙심어여호) : 너희들보다 심히 하는 것이 어디 있겠느냐?”
[5]북곽선생의 권위회복
1)북곽은 범의 구중을 듣고도 경전을 들먹이며 범의 풍교를 배우겠노라 아첨한다
北郭先生離席俯伏
(북곽선생리석부복) : 북곽 선생은 자리를 옮겨 부복(俯伏)해서
逡巡再拜
(준순재배) : 머리를 새삼 조아리고 아뢰었다.
頓首頓首曰
(돈수돈수왈) : 머리를 거듭 조아리며
傳有之
(전유지) : “맹자(孟子) 이루편(離婁篇)에 일렀으되
雖有惡人
(수유악인) : ‘비록 악인(惡人)이라도
齋戒沐浴
(재계목욕) : 목욕 재계(齋戒)하면
則可以事上帝
(즉가이사상제) : 상제(上帝)를 섬길 수 있다.’ 하였습니다.
下土賤臣
(하토천신) : 하토의 천한 신하는
敢在下風
(감재하풍) : 감히 아래 처지에 서옵니다.”
屛息潛聽
(병식잠청) : 북곽 선생이 숨을 죽이고 명령을 기다렸으나
久無所命
(구무소명) : 오랫동안 아무 명령이 없기에
誠惶誠恐
(성황성공) : 참으로 황공해서
拜手稽首
(배수계수) : 절하고 조아리다가
仰而視之
(앙이시지) : 머리를 들어 바라보니,
東方明矣
(동방명의) : 이미 먼동이 터 훤히 밝았는데
虎則已去
(호칙이거) : 범은 이미 떠나고 없었다.
2)들에 나온 농부 만나 권위를 온전히회복하다
農夫有朝菑者
(농부유조치자) : 그 때 새벽 일찍 밭 갈러 나온 농부가 있었다.
問先生何早敬於野
(문선생하조경어야) : “선생님, 이른 새벽에 들판에서 무슨 기도를 드리고 계십니까?”
北郭先生曰
(북곽선생왈) : 북곽 선생은 엄숙히 말했다.
吾聞之
(오문지) : “내가 들으니 시경시에
謂天蓋高
위천개고) : ‘하늘이 높다 해도
不敢不局
(불감불국) : 머리를 아니 굽힐 수 없고,
謂地蓋厚
(위지개후) : 땅이 두텁다 해도
不敢不蹐
(불감불척) : 조심스럽게 딛지 않을 수 없다.’ 하셨느니라.”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8090?category=487437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한문학 > 연암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지원(朴趾源), 호질(虎叱) 재록 (0) | 2022.12.04 |
---|---|
박지원(朴趾源), 코끼리 이야기[象記]/ 열하일기 산장잡기 外 (0) | 2020.07.12 |
박지원(朴趾源), 허생전/ 열하일기, 附 초기9전 (0) | 2019.11.09 |
박지원(朴趾源), 虎叱(호질)/ 열하일기 4.관내정사 (0) | 2019.11.09 |
양반전兩班傳/ 선비란 무엇인가? (0) | 2019.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