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덕왕사 진응탑비(보물 제 24호) : 시대(고려) |
'비신'은 높이 2.78m, 너비 1.5m 크기의 대리석으로 되어 있으며, 현재 손상이 심하여 내용 판독이 어렵다. |
정교하게 표현이 된 돌거북과 이를 받치고 있는 바닥을 '하나의 돌'로 조성해 당대의 일반적 형식에서 벗어나 변화를 꾀한 흔적이 보인다 |
https://www.youtube.com/watch?v=9deMMBdm454
금산사 전각 배치도
http://www.buljahome.com/km_sansa/anne_garam.htm
사찰탐방:모악산 금산사'소개(가람배치도) _나누며 함께하는 www.buljahome.com [불자홈]
금산사'산내암자'☜ 그림이미지'에서,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나누어 양 옆으로 [전각이름]으로 표시를 하였습니다. 표시된 [이름]을 클릭하면 1차분 자료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금산사'소개의 주 목차키 내용은 1차분'이후 추가 변화된 내용이 표시됩니다. 탐방자료가 늘어나면 새로이 보충 되기에 필요에 따라, 혹은 이동의 편리를 위해 이전 자료내용이 주목차와 구분되어 이동하고 있습니다. ☞[지난♤소식 ◈ 문화재♤목록]☜
www.buljahome.com
금산사 문화재들
http://www.buljahome.com/km_sansa/munwhaje.htm
사찰탐방:금산사 문화재(성보박물관) _나누며 함께하는 www.buljahome.com [불자홈]
♧ 모악산 금산사(金山寺) 소개 성보 문화재 안내 사찰탐방_www.buljahome.com
www.buljahome.com
http://www.buljahome.com/km_sansa/j_miruk.htm
사찰탐방:전각 미륵전(금산사) _나누며 함께하는 www.buljahome.com [불자홈]
금산사 미륵전은 외형상으로는 3층 구조를 하고 있으나, 내부는 높이 11.82m의 통층(通層) 구조로 되어 있는 전각이다. 외부의 1층과 2층은 정면 5칸 측면 4칸이며, 3층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져 있는, 내 · 외부가 다른 모습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미륵전(彌勒殿) 외부의 1층은 대자보전(大慈寶殿), 2층은 용화지회(龍華之會), 3층은 미륵전(彌勒殿)이라는 각기 다른 이름이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대자보전(大慈寶殿)'은 미륵을 뜻
www.buljahome.com
http://www.buljahome.com/byk_wha/bwha_kmsan.htm
불전벽화(No.3); 금산사미륵전; 불교문화_불자의 홈 www.buljahome.com
Ⅴ.금산사 미륵전(金山寺 彌勒殿)의 벽화금산사의 미륵전에는 많은 벽화가 남아 있다. 내벽의 벽화는 포벽(包壁) 등에만 남아 있지만 외멱에는 비록 후대에 새로 제작(制作)되었으나 다양한 벽화가 현존한다.외벽 중 남벽에는 범 · 제석천(梵 · 帝釋天)과 천중사천왕(天衆四天王)을 비롯해 보살(菩薩), 동녀(童女), 비천(飛天) 등의 주제가 그려졌는데 이것은 수미산(須彌山)의 정경을 형상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후벽에는 모두 금강역사(金剛力士)의 다양한 모습이 그
www.buljahome.com
금산사 미륵전(金山寺 彌勒殿)의 벽화
https://www.youtube.com/watch?v=mMVRCvizacw
'불교 불경 > 사찰 연등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층석탑˙방등계단 사리탑/ 석련대˙6각다층석탑 (0) | 2019.12.21 |
---|---|
금산사 대적광전/ 5여래 6보살 (0) | 2019.12.21 |
소요산 자재암/ 원효와 요석공주 - 설총/ 향가25수 수록 (0) | 2019.10.11 |
통도사 영산전 팔상도(八相圖) (0) | 2019.10.04 |
법성포 부용루(芙蓉樓)/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 (0) | 2019.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