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내용
부임, 율기, 봉공 등 12편, 총 72조 수록
원문 이미지 링크
부임(赴任) 육조(六條)
율기(律己) 육조(六條)
봉공(奉公) 육조(六條)
애민(愛民) 육조(六條)
이전(吏典) 육조(六條)
호전(戶典) 육조(六條)
예전(禮典) 육조(六條)
병전(兵典) 육조(六條)
형전(刑典) 육조(六條)
공전(工典) 육조(六條)
진황(賑荒) 육조(六條)
해관(解官) 육조(六條)
https://composerofhappiness.tistory.com/21
목민심서(牧民心書) 제2장 율기육조(律己六條), 다산 정약용이 강조한 정신
안녕하세요, 목민심서 두번쨰 글입니다 지난번 썼었던 첫번째 글에서는 제1장 부임육조의 내용을 알아보았었는데요 이어서 오늘은 제2장 율기육조의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율기(律己)
composerofhappiness.tistory.com
목민심서(牧民心書) 3.봉공육조(奉公六條)
三. 봉공육조(奉公六條) 1. 선화(宣化 : 덕으로 교화함을 널리펴라) 郡守縣令 本所以承流宣化 今唯...
blog.naver.com
목민심서 애민(愛民) 6조 해설
목민심서 애민(愛民) 6조 해설 애민(愛民) 해설 애민은 백성을 사랑함을 말한다. 수령칠사(守令七事) 이외...
blog.naver.com
강학당 > 목민심서 > 애민육조(愛民六條)ㅡ6. 구재(救災 : 재난을 구제)
6. 구재(救災 : 재난을 구제) 水火之災 國有恤典 行之惟謹 宜於恒典之外 牧自恤之. 凡有災厄 수화지재 국유휼전 행지유근 의어항전지외 목자휼지 범유재액 其救焚拯溺 宜如自焚自溺 不可緩也.
www.lwk.kr
수재(水災)나 화재(水災)의 재해에 대해서는 국가에서 구제하는 법이 있으니 삼가
행할 것이며 정해진 법 외에도 목민관이 마땅히 스스로 구제해야 한다.
무릇 재액(災厄)이 있으면 물,불에서 구해내고 한다.
마치 내가 불에 타고 물에 빠진 것 같이하여 서둘러야 하며 미루거나 늦추어서는 안 된다.
환란이 있을 것을 생각하고 미리 예방하는 것은 이미 재앙을 당하여 은혜를 베푸는
것보다 낫다. 제방을 쌓고 언덕을 만들어서 수재도 방지하고 수리(水利)도 일으키는
것은 두 가지로 이익을 얻는 방법이 된다. 그 재해가 지난 후에 백성을 어루만져 주고
안정시켜 주어야 하니 이것 또한 민목(民牧)의 어진 정사이다.
비황(飛蝗)이 하늘을 뒤덮으면 물러가도록 빌고 잡아 없애서 백성들의 재해를 덜어
주어야 어진 목민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95%BD%EC%9A%A9
정약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산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다산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산 정약용 초상 조선국 사헌부 수찬(朝鮮國 司憲府 修撰) 임기 1792년 2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B%AA%A9%EB%AF%BC%EC%8B%AC%EC%84%9C
목민심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민심서》(牧民心書)는 1818년(순조 18년)에 정약용이 지방관을 비롯한 관리의 올바른 마음가짐 및 몸가짐에 대해 기록한 행정지침서로 《여유당전서(與猶堂
ko.wikipedia.org
《목민심서》는 목민관으로 부르는 지방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指針)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한 저서이다. 부임(赴任)·율기(律己, 자기 자신을 다스림)·봉공(奉公)·애민(愛民)·이전(吏典)·호전(戶典)·예전(禮典)·병전(兵典)·형전(刑典)·공전(工 典)·진황(賑荒)·해관(解官, 관원을 면직함)의 12편으로 나누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4Yl7yEBggo
https://www.youtube.com/watch?v=aA0LKhxNy6U
https://www.youtube.com/watch?v=HzW-7-QrqX4
https://www.youtube.com/watch?v=sq2qDLL40Ec
https://www.youtube.com/watch?v=HoYBYzyranY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939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중근, 산업화의 원동력은 군사문화/ 정보화시대의 창조경제 外 (0) | 2020.11.24 |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0) | 2020.10.14 |
北漢山/ 三角山 - 백운대(白雲臺), 인수봉(仁壽峰), 만경대(萬鏡臺) (0) | 2020.07.27 |
6.25전쟁, 한국전쟁 (0) | 2020.06.25 |
단군신화, 고조선의 '아사달'은 난공불락의 城/ 마츄피츄 (0) | 2020.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