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junos111/8053022?category=286352
所謂 平天下(소위평천하)가 在治其國者(재치기국자)는
이른바 천하를 평안하게 하는 것이 나라를 다스리는데 있다는 것은
上(상)이 老老而民(노로이민)이 興孝(흥효)하고
임금이 노인을 대접하면 백성들이 효도하는 데 힘쓰고,
上(상)이 長長而民(장장이민)이 興弟(흥제)하며
임금이 어른을 대접하면 백성들이 공손하는데 힘쓰고,
上(상)이 恤孤而民(휼고이민)이 不倍(불배)하나니
임금이 고아를 불쌍히 여기면 백성들이 배반하지 않는다.
是以(시이)로 君子(군자)는 有絜矩之道也(유혈구지도야)니라.
이런 까닭으로 군자에게는 혈구지도(보편적인 법도를 헤아릴 줄 아는 도)가 있는 것이다.
所惡於上(소오어상)으로 毋以使下(무이사하)하며
윗 사람이 무례하게 굴어 싫다면 (그것을 잘 헤아려) 그런 식으로 아랫사람을 부리지 말며,
所惡於下(소오어하)로 毋以事上 (무이사상)하며
아랫사람이 무례하다면 그것을 잘 미루어 윗사람을 그런 식으로 섬기지 말아야 하며
所惡於前(소오어전)으로 毋以先後 (무이선후)하며
앞에 대해 싫다고 생각하는 바가 있다면 그것을 뒤로 돌리지 말 것이며,
所惡於後(소오어후)로 毋以從前 (무이종전)하며
뒤에 대해 싫다고 생각하는 바가 있다면 그런 식으로 앞을 좇지 말 것이며
所惡於右(소오어우)로 毋以交於左 (무이교어좌)하며
오른쪽에 대해 미워하는 바가 있다면 그런 식으로 왼쪽과 교류하지 말 것이며,
所惡於左(소오어좌)로 毋以交於右 (무이교어우)를
왼쪽에 대해 미워하는 바가 있다면 그런 식으로 오른쪽과 교류하지 않는 것,
此之謂絜矩之道(차지위혈구지도)니라.
이것을 일러 혈구지도(보편적인 법도를 헤아릴 줄 아는 도)라고 한다.
詩云 (시운) : <시경>에 이르기를
“樂只君子(낙지군자)여 民之父母(민지부모)라"하니
"즐거운 군자여, 백성의 부모로다" 하니
民之所好(민지소호)를 好之(호지)하며 民之所惡(민지소오)를 惡之(오지)함를
백성들이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며, 백성들이 싫어하는 것을 미워하며,
此之謂民之父母(차지위민지부모)니라.
이것을 말하여 백성들의 부모라고 한 것이다.
詩云 (시운) : <시경>에 이르기를
“節彼南山(절피남산)이여 維石巖巖(유석암암)이로다.
"높고 큰 저 남산이여, 우뚝한 바위가 높기도 하구나.
赫赫師尹(혁혁사윤)이여
빛나는 사윤(주나라의 태사 벼슬을 한 윤씨를 가리킴)이여,
民具爾瞻(민구이첨)이라"하니
백성들이 모두 그대를 보고 있네" 라고 하였으니
有國者 不可以不愼(유국자 불가이불신)이니
나라가 있는 임금은 삼가지 않을 수 없으니
辟則爲天下谬矣(피즉위천하류의)니라.
도를 잃게 되면 천하를 그르치게 될 것이다.
詩云(시운) : <시경>에 이르기를,
"殷之未喪師(은지미상사)에 克配上帝(극배상제)러니 儀監于殷(의감우은)이어다.
"은나라가 백성들의 신임을 잃지 않아 능히 하늘에 짝하였으니
마땅히 은나라를 거울로 삼을지어다.
峻命不易(준명불이)라"하니
큰 명(하늘의 뜻)을 받는 것은 쉽지 않으리라" 하니
道得衆則得國(도득증즉득국)하고
무리(백성들의 인심)을 얻으면 나라를 얻고
失衆則失國(실중즉실국)이니라.
무리(백성들의 인심)를 잃으면 나라를 잃는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是故(시고)로 君子(군자)는 先愼乎德(선신호덕)이니
이런 까닭으로 군자는 먼저 덕을 잃지 않도록 삼가는 것이니
有德(유덕)이면 此有人(차유인)이요 有人(유인)이면 此有土(차유토)요,
덕이 있으면 이에 따르는 사람이 있고, 따르는 사람이 있으면 이에 땅이 있고,
有土(차유토)면 此有財(차유재)요, 有財(유재)면 此有用(차유용)이니라.
땅이 있으면 이에 재물이 있고, 재물이 있으면 이에 쓰임이 있는 것이다.
德者(덕자)는 本也(본야)요 財者(재자)는 末也(말야)니
덕은 근본이요 재물은 말단이니,
外本內末(외본내말)이면
근본을 밖으로 돌리고 말단을 중심으로 여기면
爭民施奪(쟁민시탈)이니라.
백성들을 다투게 하여 서로 빼앗는 짓을 시키는 것이 된다.
是故(시고)로 財聚則民散(재취즉민산)하고
이런 까닭으로 재물이 모이면 (인심을 잃어) 백성들이 흩어지고
財散則民聚(재산즉민취)니라.
재물을 흩어 나누어주면 백성들이 모이게 된다.
是故(시고)로 言悖而出者(언패이출자)는 亦悖而入(역패이입)하고
이런 까닭으로 도리에 벗어나 나간 말은 또한 도리에서 벗어나 들어오고,
貨悖而入者(화패이입자)는 亦悖而出(역패이출)이니라.
도에 어긋나게 들어온 재화는 또한 도에 어긋나게 나가는 것이다.
<康誥>(강고)에 曰(왈) : <강고>에 이르기를
"惟命(유명)은 不于常(불우상)이라"하니
"오직 명(=천명)은 일정하지 않다" 하니
道善則得之(도선즉득지)하고 不善則失之矣(불선즉실지의)니라.
선하면 천명을 얻고 선하지 않으면 천명을 잃는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楚書>(초서)에 曰 (왈) : <초서>(사관이 기록한 초나라의 책서)에 말하기를,
"楚國(초국)은 無以爲寶(무이위보)요 惟善(유선)을 以爲寶(이위보)라"하니라.
"초나라는 특별히 보배로 삼는 것이 없고, 오직 선을 보배로 삼는다" 하였다.
舅犯(구범)이 曰 (왈) : 구범(진나라 문공)이 말하기를,
亡人(망인)은 無以爲寶(무이위보)요, 仁親(인친)을 以爲寶(이위보)라 하니라.
"고국을 떠나 있는 사람은 달리 보배삼을 것이 없고
어버이께 잘해드리는 것을 보배로 삼으라" 하였다.
秦書(진서)에 曰(왈) :
<진서>(주나라의 책 이름)에 말하기를,
若有一介臣(약유일개신)이 斷斷兮(단단혜)요 無他技(무타기)나
"한 사람의 신하가 한결같이 성실하고 다른 재주가 없으나
其心(기심)이 休休焉(휴휴언)한대 其如有容焉(기여유용언)이라
그 마음이 편안하여 남을 용납함이 있어
人之有技(인지유기)를 若己有之(약기유지)하며
남의 재주 있음을 마치 자기가 있는 것 같이 하며,
人之彦聖(인지언성)을 其心好之(기심호지)가
남의 선비다움과 지혜로움을 마음으로 좋게 여김이
不啻若自其口出(불시약자기구출)이면 寔能容之(식능용지)라
입으로 말만 하는 것이 아니라면 진실로 용납할 수 있어
以能保我子孫黎民(이능보아자손여민)이니 尙亦有利哉(상역유리재)인저.
우리 자손과 백성들을 능히 보호할 수 있으니 오히려 유익함이 있을 것이다.
人之有技(인지유기)를 媢疾以惡之(모질이오지)하며
남의 재주 있음을 시기하여 미워하며
人之彦聖(인지언성)을 而違之(이위지)하여 俾不通(비불통)이면 寔不能用(식불능용)이라
남의 선비다움과 지혜로움을 마음에 들지 않게 여겨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한다면
以不能保我子孫黎民(이불능보아자손여민)이니 亦曰殆哉(역왈태재)인저.
우리 자손과 백성들을 보호할 수 없을 것이니 또한 위태롭다고 하겠다.
唯仁人(유인인)이라야 放流之(방유지)하여 迸諸四夷(병제사이)하여
오직 어진 사람이라야 그런 사람을 내쫓아 사방의 오랑캐 지역 밖으로 물리쳐서
不與同中國(불여동중국)하나니
나라 안에 함께 살지 못하게 할 수 있으니
此謂仁人(차위인인)이라야 爲能愛人(위능애인)하며 能惡人(능오인)이니라.
이것이 어진 사람이라야 능히 사람을 사랑할 수 있으며
능히 사람을 미워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見賢而不能擧(견현이불능거)하며 擧而不能先(거이불능선)이 命也(명야)요
어진 이를 보고도 기용할 수 없으며 기용하고서도 앞세울 수 없음이 태만함이고,
見不善而不能退(견불선이불능퇴)하며 退而不能遠(퇴이불능원)이 過也(과야)니라.
선하지 못함을 보고도 물리치지 못하며 물리치고도 멀지하지 못함이 과오이다.
好人之所惡(호인지소오)하며 惡人之所好(악인지소호)를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를 좋아하며 사람들이 좋아하는 바를 싫어하는 것을
是謂拂人之性(시위불인지성)이라 災必逮夫身(재필체부신)이니라.
이른바 불인지성(사람의 본성에 거슬리는 것)이라고 하는데, 반드시 재앙이 미칠 것이다.
是故(시고)로 君子有大道(군자유대도)하니
이런 까닭으로 군자에게는 대도(먼저 자신을 수양하고서 남을 다스리는 도)가 있으니,
必忠信以得之(필충신이득지)하고 驕泰以失之(교태이실지)니라.
반드시 충직과 신의로써 대도를 얻고 교만과 방자함으로써 잃게 된다.
生財有大道(생재유대도)하니 生之者衆(생지자중)하고 食之者寡(식지자과)하며
재화를 생산하는데 큰 도가 있으니 생산하는 사람은 많고 소비하는 자는 적으며,
爲之者疾(위지자질)하고 用之者舒(용지자서)하면 則財恒足矣(즉재항족의)리라.
일하는 자는 빠르고 소비하는 자는 느리다면 재화는 항상 풍족할 것이다.
仁者(인자)는 以財發身(이재발신)하고 不仁者(불인자)는 以身發財(이신발재)니라.
어진 이는 재물을 흩어 몸을 일으키고 어질지 못한 이는 몸을 망쳐 재물을 모은다.
未有上好仁而 下不好義者也(미유상호인이하불호의자야)니
임금이 인을 좋아하는데 의를 좋아하지 않는 신하는 없으니,
未有好義 其事不終者也(미유호의 기사불종자야)며
의를 좋아하면서 맡은 일을 끝까지 해내지 않는 신하가 없으며,
未有府庫財 非其財者也(미유부고재 비기재자야)니라.
나라 창고의 재물을 자기 재물처럼 아끼지 않는 신하가 없는 법이다.
孟獻子 曰(맹헌자 왈) : 맹헌자(노나라의 어진 대부)가 말하기를,
“畜馬乘(축마승)은 不察於鷄豚(불찰어계돈)하고
"말을 길러 수레를 타고 다니는 대부는 닭이나 돼지를 살피지 아니하고
伐氷之家(벌빙지가)는 不畜牛羊(불축우양)하고
벌빙지가(제사에 얼음을 쓰는 경대부 이상의 계급)는 소나 양을 기르지 아니하고
百乘之家(백승지가)는 不畜聚斂之臣(불축치렴지신)하나니
백승지가는 취렴지신(백성의 재물을 빼앗아 윗 사람에게 아첨하는 신하)을 두지 않나니,
與其有聚斂之臣(여기유취렴지신)으론 寧有盜臣(영유도신)이라"하니
취렴지신을 둘 바에는 차라리 도둑질하는 신하를 둘 것이다" 하니
此謂國(차위국)은 不以利爲利(불이리위리)요 以義爲利也(이의위리야)니라.
이것은 나라는 이익으로써 이로움을 삼지 말고 의리로써 이로움을 삼아야 함을 말한 것이다.
長國家而務財用者(장국가이무재용자)는 必自小人矣(필자소인의)니
국가의 임금으로서 재물을 쓰는데 힘쓰는 것은
반드시 소인배같은 신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니
小人之使爲國家(소인지사이국가)면 災害幷至(재해병지)라
소인에게 국가를 다스리게 한다면 여러 가지 재해가 아울러 닥치게 된다.
雖有善者(수유선자)나 亦無如之何矣(역무여지하의)니
비록 선한 사람이 있다 해도 (너무 늦어) 또한 어찌할 수 없을 것이다.
此謂爲國(차위위국)은 不以利爲利(불이리위리)요
이것은 국가는 이익으로써 이로움을 삼아서는 안 되고,
以義爲利也(이의위리야)니라.
의리로써 이로움을 삼아야 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중국고전 > 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장구(大學章句), 전일장(傳1章) ↔ 전십장(傳10章) (0) | 2022.12.13 |
---|---|
<大學> 전문3장(傳文三章) '석지어지선(釋止於至善)' (0) | 2022.12.13 |
대학, 9.齊家治國 (0) | 2021.01.22 |
대학, 7.正心脩身 (0) | 2021.01.22 |
大學, 6. 誠意 (0) | 2021.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