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_이위화(離爲火)

 

離利貞(리이정) : <離>는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亨畜牝牛吉(형축빈우길) : 형통하니, 암소를 기르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離麗也(리려야) : <離>는 걸림이니,

日月麗乎天(일월려호천) : 해와 달이 하늘에 걸리며

百穀草木麗乎土(백곡초목려호토) : 백곡과 초목이 땅에 걸리니,

重明以麗乎正(중명이려호정) : 거듭 밝음으로써 바른 데 걸려

乃化成天下(내화성천하) : 이에 천하를 화하여 이루느니라.

柔麗乎中正故亨(유려호중정고형) : 부드러운 것이 中正에 걸린 까닭에 형통하니,

是以畜牝牛吉也(시이축빈우길야) : 이로써 암소를 기르면 길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明兩作離(명량작리) : 밝은 것 둘이 <리>를 지었으니

大人以繼明(대인이계명) : 대인이 이로써 밝은 것을 이어서

照于四方(조우사방) : 사방에 비추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履錯然(리착연) : 밟는 것이 섞이니

敬之无咎(경지무구) : 공경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履錯之敬(이착지경) : '이착지경'은

以避咎也(이피구야) : 허물을 피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黃離元吉(황리원길) : 누런 <離>니 크게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黃離元吉(황리원길) : '황리원길'은

得中道也(득중도야) : 중정을 얻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日仄之離(일측지리) : 해가 기울어져 걸림이니,

不鼓缶而歌(부고부이가) : 장구를 두드리고 노래하지 아니하면

則大耊之嗟凶(즉대질지차흉) : 즉 큰 노인이 슬퍼함이라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日仄之離(일측지리) : '일측지리'가

何可久也(하가구야) : 어찌 가히 오래하리오.

 

九四(구사) : 구사는

突如其來如(돌여기래여) : 돌연히 그 오는 것이라.

焚如死如棄如(분여사여기여) : 불사르니 죽이며 버리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突如其來如(돌여기래여) : '돌여기래여'는

无所容也(무소용야) : 용납할 바가 없느니라.

 

六五(육오) : 육오는

出涕沱若(출체타약) : 눈물 나옴이 물흐르는 듯하며

戚嗟若吉(척차약길) : 슬퍼서 슬퍼하니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五之吉(육오지길) : '육오지길'은

離王公也(리왕공야) : 왕공에 걸림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王用出征有嘉(왕용출정유가) : 왕이 나가서 치면 아름다움이 있으리니,

折首獲匪其醜无咎(절수획비기추무구) :
머리를 끊고 얻는 것이 그 동류가 아니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王用出征(왕용출정) : '왕용출정'은

以正邦也(이정방야) : 나라를 바로 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30이위화離爲火?category=343349 [빈막(賓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