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萬, 『新羅 太賢의 唯識思想硏究-成唯識論學記를 中心으로』, 동쪽나라,1989, pp.26~35

 

 

www.youtube.com/watch?v=GDfg_EVATZ4

 

 

新羅 佛敎思想史(신라 불교사상사)에서의 太賢 唯識學(태현 유식학)의 意義(의의)

www.buljahome.com/songchol_file/2_folder/file2_8.htm#%E2%85%A1.%20%E5%A4%AA%E8%B3%A2%EC%9D%98

 

신라 불교사상사에서의 태현 유식학의 의의(1/3)_불자의 홈 www.buljahome.com

   Ⅰ. 서론 본 논문의 목적은 신라의 유식학자(唯識學者)이던 승려 태현(太賢)의 학문적 성향과 그의 학문적 계통에 대한 탐구이다. 사실 태현은 결코 우리에게 그다지 잘 알려진 학자라고는

www.buljahome.com

 

     목 차          _page [ (1/3) | (2/3) | (3/3) ]
       1_p (1/3) 
   Ⅰ. 서론 

  Ⅱ. 太賢(태현)의 저술목록과 그 체계 

  Ⅲ. 相宗(상종)과 性宗(성종)에의 귀속문제
       2_p (2/3) 두 번쩨 페이지 
               중간 ㉮>계속>첫 번째     중간 ㉯>두 번째     중간 ㉰>세 번째
  Ⅳ. 新羅唯識思想史(신라유식사상사)에서의 太賢(태현)의 위치     중간>元曉(원효)는 그의
       3_p (3/3) 세 번째 페이지 
               중간 ①>화엄종의 융성은 ~     중간 ②>서명학파에는 ~     중간 ③>유식론의 대표적 ~
   Ⅴ. 결론

 

 

신라 불교사상사에서의 태현 유식학의 의의(1/3)_불자의 홈 www.buljahome.com

   Ⅰ. 서론 본 논문의 목적은 신라의 유식학자(唯識學者)이던 승려 태현(太賢)의 학문적 성향과 그의 학문적 계통에 대한 탐구이다. 사실 태현은 결코 우리에게 그다지 잘 알려진 학자라고는

www.buljahome.com

 

 

blog.naver.com/mushim0/220624513404

 

유식의 중심사상... 묘주스님(학술논문)

유식학의 중심사상academic.naver.com 유식학의 중심사상 목 차 Ⅰ. 유식사상의 성립1. 유식의 언어적 분석...

blog.naver.com

 

blog.daum.net/ttmijo/212

 

정병조 교수님 유식사상

唯識思想 동국대 정병조 교수 1교시 唯識佛敎 의 歷史 唯識佛敎는 마음의 佛敎라고 할 수 있다. 小宇宙 로서의 人間存在와 心識의 根源을 이해 함으로써 自性成佛의 기틀을 다지는데 그 가르침

blog.daum.net

 

blog.daum.net/gikoship/15783515

 

成唯識論學記 성유식론학기 - 大賢 대현

成唯識論學記 성유식론학기 大賢 대현 해제 1. 종지를 드러내어 체를 나타냄 2. 문장의 뜻을 해석함  1) 가르침을 일으키는 인연에 관한 부분  2) 성인의 가르침을 바르게 설한 부분 解題 해제 『

blog.daum.net

 

成唯識論學記(성유식론학기)

大賢(대현)

 

[해제]

1. 종지를 드러내어 체를 나타냄

2. 문장의 뜻을 해석함

   1) 가르침을 일으키는 인연에 관한 부분

   2) 성인의 가르침을 바르게 설한 부분

 

解題 해제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는 8세기 중반에 활동한 신라 대현(大賢)이 지은 유식사상서이다.

   대현은 자세한 전기는 전하지 않지만『삼국유사』에 전기가 수록될 정도로 큰 역할을 하였던 승려이다.

신라 불교 교학의 융성기인 8세기 중반에 남산의 용장사(茸長寺)를 기반으로 활동하였는데 특히 미륵

신앙에 돈독한 모습을 보였다. 명확한 연대 자료로는 753년(경덕왕 12년)에 궁궐에 들어가 심한 가뭄에

기우제를 지내 우물물을 치솟게 하는 효험을 보았다는 것 뿐이다.(『三國遺事』권4 義解 賢瑜伽海華嚴)

이 기록에서 대현을 유가조(瑜伽祖)로 평가한 데서 보듯이 대현은 신라 유식교학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유식사상가이다.

   대현은 일체의 논과 종을 편력하였다고 기록될만큼 불교학의 전 분야를 두루 수학하였다. 원효·경흥과

더불어 신라 3대 저술가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그는 모두 50여 부의 저술을 남겼다.1)

화엄·법화·열반·반야·여래장·중관·계율·정토 등 제방면에 두루 관심을 가졌는데, 특히 유식 관계 저술이

20종으로 가장 많다. 이들은 초기유식을 비롯하여 호법의 유식과 인명 등 현장의 신역 논서에 대한

주석서들이다. 대현은 그의 저술에 주로 고적기(古迹記)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는 자신의 경론 주석이 선학들이 주석한 바를 계승한 것임을 나타낸 것이다.

대현은 원측(圓測)의 유식학을 계승한 도증(道證)의 제자로서 유식은 원측-도증을 따르고

화엄은 법장과 원효를 계승하여 유식과 중관에 대해 각기 그 진리성을 인정하는 공정한 입장에서 학설을

비판하고 계승하여 종합하였다고 평가된다.

처음에는 화엄이나 기신과 같은 성종(性宗) 문헌에 관심을 가졌다는 전승이 있어,

성종에서 점차 유식에 몰두하여 사상을 형성하였으며

원효를 계승한 화쟁의 정신은 유식과 다른 이론을 배타적으로 보지 않고

조화적인 관계로 해석하려 했다고 보기도 한다.2)

또 대현은 이『성유식론학기』에서

원측과 도증을 비판한 혜소(惠沼)의 견해를 무시하고 전편에 걸쳐 규기(窺基)와 원측을

병렬적으로 인용하며 양자의 일체화를 의도하였고,

이는 일본 선주(善珠)의 유식 이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3)

대현은 『기신론내의약탐기』에서는 법장과 원효의 절대적인 영향을 보여주지만,

이 책에서는 원효의 견해를 비판하는 면도 보여 독자적 이해 방향을 가졌던 것임을 말해 준다.

   신라 중대 이래 활발하게 계승되었던 유식학승들의 저술 활동을 바탕으로

여기에 대현의 사상과 신앙이 중심이 되어 경덕왕대에 법상종이 형성되었다.

대현은 유식중도설의 입장에서 성상의 대립을 지양하고 독실한 미륵신앙을 실천하여 교학 연구를 계승하는 유식학승들을 이끄는 법상종의 조사로 추앙받았다. 

대현의 저서로는 55종이 꼽히지만 현재 남아 있는 것은 5종으로서 이『성유식론학기』10권 외에

『약사본원경고적기(藥師本願經古迹記)』2권, 『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3권,

『범망경보살계본종요(梵網經菩薩戒本宗要)』1권,『기신론내의약탐기(起信論內義略探記)』1권이 있다.4)

   대현의 유식사상의 중심을 이루는 것이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성유식론학기』이다.5)

대현은 이 책에서 현종출체문(顯宗出體門)과 제명분별문(題名分別門)과 해석문의문(解釋文義門)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유식학의 주요대본인『성유식론』을 해석하였다.

『성유식론』은 세친(世親)의『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에 대한 문하 10대 논사들의 해석 중

호법(護法)의 학설을 정통으로 하고 다른 이들의 학설을 비판 종합하여 현장(玄奘)이 번역한 책

이다.

제8식을 상세히 설하여 인식 과정을 명백히 하고 실천 수행의 5계위를 밝힌 것이 주요 내용이다.

대현의『성유식론학기』는 현재 남아 있는 우리나라의 유일한『성유식론』 주석서라는 의의가 있다.

대현은 원측 계통의 서명학파 유식을 수용하였지만 이와 대비되는 규기의 학설을 광범위하게 인용하였다.

대현은 서명학파를 계승하면서도 원측과 도증의 견해를 비판하기도 하며 규기의 견해도 수용하는 등

균형적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책에서 인용한 학설은 규기의 학설이 565회로 가장 많고 다음이 원측의 439회, 도증의 146회를 보이고

있는데,6) 이는 대현이 규기와 원측의 학설 사이에서 이론적 종합을 시도하였던 것을 말해 준다.

  『성유식론학기』는 자신이 지은『성유식론본모송(成唯識論本母頌)』1백행과 이에 대한 해석인

『광석본모송(廣釋本母頌)』을 토대로 지은 것이다.

『성유식론학기』의 구성 중 첫째 현종출체문에서 대현은 공유 논쟁의 전말을 상세히 서술하며

그 종지를 밝히고, 이어 규기와 원측의 견해를 비교하며 출체를 서술하였다.

다음 제명분별문에서는 논의 이름과 지은이인 세친과 호법 등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다.

셋째 해석문의문은 귀경송의 송과 문장으로 이루어진 서분에 관한 주해인 교기인연분(敎起因緣分)과,

다음 유식 30송을 풀이하는 정종분에 대한 주해인 성교정설분(聖敎正說分)에서

유식의 경계와 행(行)과 과(果)를 해설하였고,

마지막 회향송의 유통분에 대한 주해인 결명회시분(結名廻施分)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7)

이 책에서는 현종출체문(顯宗出體門)과 해석문의문(解釋文義門) 중의 교기인연분(敎起因緣分)과

성교정설분(聖敎定說分) 중의 처음 1송과 2송 전반의 내용을 해석한

현종출체문(顯宗出體門) 부분에 대한 해석을 소개하였다.

 

1. 顯宗出體門     1) 顯宗                    ◦

                         2) 出體

2. 題名分別門

3. 解釋文義門  1) 敎起因緣分             ◦

                    2) 聖敎正說分

                       (1) 唯識境 1~25송   ◊

                       (2) 唯識行 26~29송

                       (3) 唯識果 30송

                 3) 結名廻施分     

3. 문장의 뜻을 해석함[解釋文義]

    1) 가르침을 일으키는 인연에 관한 부분[敎起因緣分]

        (1) 標造釋意 ◦

        (2) 明世親造論意 爲令生解斷障得果 ◦

                           斷執證空悟唯識相 ◦

                           破諸邪執生如實解 ◦

                           出四計            ◦

                           廣結異執          ◦

   2) 성인의 가르침을 바르게 설한 부분[聖敎正說分]

       (1) 唯識境 1~25송

           顯宗出體門 1.5송   ◦

           以問徵起            ◦

           頌正答       頌 釋難顯宗 ◦

                             略出體性            ◦

                         釋 通難標宗 ◦

                            出能變相 ◦

          廣釋唯識門

          明三能變

          明唯識義

          釋通外難

          結釋外難門

    (2) 唯識行 26~29송

    (3) 唯識果 30송

3) 결론적으로 이름 붙여 회향하여 베푸는 부분[結名廻施分]   

 

참고문헌

•金南允, 1984「新羅 中代 法相宗의 成立과 信仰」『韓國史論』11, 서울대 國史學科

• 金煐泰, 1975「太賢의 菩薩藏阿毘達摩古迹合集과 成唯識論古迹記에 대하여」『동국사

  상』8, 東國大學校佛敎大學

• 方仁, 1992「新羅 佛敎思想史에서의 太賢 唯識學의 意義」『白蓮佛敎論集』2, 海印寺 白蓮佛敎   文化財團

•방인, 1993「成唯識論學記를 통해 본 太賢의 勝論哲學 이해」『哲學』39, 한국철학회

•方仁, 1995「太賢의 唯識哲學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李萬, 1986「日本 法相關係 諸疏에 引用된 太賢法師의 唯識思想」『佛敎學報』23, 東國

  大學校 佛敎文化硏究院

•李萬, 1986「成唯識論學記에 引用된 本母釋의 內容」『韓國佛敎學』11, 韓國佛敎學會

• 李萬, 1986「見登의 『大乘起信論同異略探記』에 인용된 太賢의 唯識思想」『韓國佛敎

  學』 12, 韓國佛敎學會

•李萬, 1989 『新羅 太賢의 唯識思想硏究-成唯識論學記를 中心으로』, 동쪽나라

• 蔡仁幻, 1983·1984·1985「新羅 太賢法師硏究」1·2·3, 『佛敎學報』20·21·22, 東國大

  學校 佛敎文化硏究院

•허남진 외, 2005『삼국과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 吉津宜英, 1992「太賢の『成唯識論學記』をめぐって」『印度學佛敎學硏究』41-1, 日本

  印度學佛敎學會

• 吉津宜英, 1993「太賢の『成唯識論學記』「顯宗」段の註釋的硏究」『韓基斗博士華甲紀

  念 韓國宗敎思想의 再照明』 상, 圓光大學校出版部

 

 

www.buljahome.com/songchol_file/2_folder/file2_8.htm

 

신라 불교사상사에서의 태현 유식학의 의의(1/3)_불자의 홈 www.buljahome.com

   Ⅰ. 서론 본 논문의 목적은 신라의 유식학자(唯識學者)이던 승려 태현(太賢)의 학문적 성향과 그의 학문적 계통에 대한 탐구이다. 사실 태현은 결코 우리에게 그다지 잘 알려진 학자라고는

www.buljahom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