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四願 - 네 가지 원
11.四願
今既自歸依三身佛已하니 與善知識으로 發四弘大願하리라 善知識아 一時에 逐惠能道하라
"이제 이미 스스로 삼신불(三身佛)에 귀의하여 마쳤으니, 선지식들과 더불어 네 가지 넓고 큰 원을 발하리라(發四弘大願).
선지식들아, 다 함께 혜능을 따라 말하라.
衆生無邊誓願度하며
煩惱無邊誓願斷하며
法門無邊誓願學하며
無上佛道誓願成이로다
三唱
무량한 중생 다 제도하기를 서원합니다(衆生無邊誓願度).
무량한 번뇌 다 끊기를 서원합니다(煩惱無邊誓願斷).
무량한 법문 다 배우기를 서원합니다(法門無邊誓願學).
위없는 불도 모두 이루기를 서원합니다(無上佛道誓願成).
三唱
善知識아 衆生無邊誓願度는 不是惠能이 度善知識이라 心中衆生을 各於自身에 自姓自度니라
선지식들아,
무량한 중생을 맹세코 다 제도한다 함은 혜능이 선지식들을 제도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의 중생을 각기 자기의 몸에 있는 자기의 성품으로 스스로 제도하는 것이니라.
何名自姓自度오 自色身中의 邪見煩惱와 愚癡迷(名)妄에 自有本覺性하야 將正見度니라
어떤 것을 자기의 성품으로 스스로 제도한다고 하는가?
자기 육신 속의 삿된 견해와 번뇌와 어리석음과 미망에 본래의 깨달음의 성품을 스스로 가지고 있으므로 바른 생각으로 제도하는 것이니라.
既悟正見 般若之智하야 除却愚癡迷妄하면 衆生의 各各自度라
邪來(見)면 正度하고 迷來면 悟度하며
愚來면 智度하고 惡來면 善度하며
煩惱來菩薩度하나니 如是度者是名眞度니라.
이미 바른 생각인 반야의 지혜(般若智)를 깨쳐서 어리석음과 미망을 없애 버리면 중생들 저마다 스스로 제도한 것이니라. 삿됨(邪)이 오면 바름(正)으로 제도하고 미혹함(迷)이 오면 깨침(悟)으로 제도하고, 어리석음(愚)이 오면 지혜(智)로 제도하고 악함(惡)이 오면 착함(善)으로 제도하며 번뇌(煩惱)가 오면 보리(菩提)로 제도하나니, 이렇게 제도함을 진실한 제도(眞度)라고 하느니라.
煩惱無邊誓願斷은 自心에 除虚妄이요
法門無邊誓願學은 學無上正法이요
무량한 번뇌를 맹세코 다 끊는다 함은 자기의 마음에 있는 허망(虛妄)함을 제거하는 것이다.
무량한 법문을 맹세코 다 배운다 함은 위없는 바른 법(無上正法)을 배우는 것이다.
無上佛道誓願成은 常下心行하야
恭敬一切하야 遠離迷執하야 覺知生般若하야 除却迷妄이니
即自悟佛道成하야 行誓願力이니라
위없는 불도를 맹세코 이룬다 함은 항상 마음을 낮추는 행동(下心行)으로 일체를 공경하며
미혹한 집착을 멀리 여의고, 깨달아 반야가 생겨 미망함을 없애는 것이다.
곧 스스로 깨쳐 불도를 이루어 맹세코 바라는 힘(誓願力)을 행하는 것이니라."
12. 懺悔 - 참회
12.懺悔
今既發四弘誓願訖하니 與善知識으로 無相懺悔하야 [滅]三世罪障케하리라
"지금 이미 사홍서원 세우기를 마쳤으니 선지식들에게 '무상참회(無相懺悔)'를 주어서 삼세(三世)의 죄장(罪障)을 없애게 하리라."
大師言하되
善知識아 前念後念及今念이 [念]念不被愚迷染하야 從前惡行을 一時[永斷]하야 自姓에 若除하면 即是懺悔요 前念後念及今念이 念念[不]被愚癡染하야 除却從前矯誑心하라 永斷名爲自性懺이요 前念後念及[念念]이 念念不被妬(疸疾)染하야 除却從前疾妬(垢)心하라 自性에 若除하면 即是懺이니라 已上三唱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선지식들아, 과거의 생각과 미래의 생각과 현재의 생각이 생각마다 우치와 미혹에 물들지 않고, 지난날의 나쁜 행동을 일시에 영원히 끊어서 자기의 성품에서 없애 버리면 이것이 곧 참회(懺悔)니라. 과거의 생각과 미래의 생각과 현재의 생각이 생각마다 어리석음에 물들지 않고 지난 날의 거짓과 속이는 마음을 없애도록 하라. 영원히 끊음을 이름하여 자성의 참회(自性懺)라고 한다. 과거의 생각, 미래의 생각과 현재의 생각이 생각마다 질투에 물들지 않아서 지난날의 질투하는 마음도 없애도록 하라. 자기의 성품에서 만약 없애 버리면 이것이 곧 참회이니라."
善知識아 何名懺悔오
[懺]者는 終身不作이요 悔者는 知於前非니 惡業을 恒不離心하면 諸佛前에 口説無益이라 我此法門中엔 永斷不作이 名爲懺悔니라
"선지식들아, 무엇을 이름하여 참회(懺悔)라고 하는가?
참(懺)이라고 하는 것은 종신토록 잘못을 짓지 않는 것이요, 회(悔)라고 하는 것은 과거의 잘못을 아는 것이다. 나쁜 죄업을 항상 마음에서 버리지 않으면 모든 부처님 앞에서 입으로 말하여도 이익이 없느니라. 나의 이 법문 가운데는 영원히 끊어서 짓지 않음을 이름하여 참회라 하느니라."
13. 三歸 - 세 가지 귀의
13.三 歸
今既懺悔已하니 與善知識으로 授(受)無相三歸依戒케하리라
"지금 이미 참회하기를 마쳤으니 선지식들을 위하여 '무상삼귀의계(無相三歸依戒)'를 주리라."
大師言하되 善智識아 歸依(衣)覺兩足尊하며 歸依(衣)正離欲[尊]하며 歸依(衣)淨衆中尊하라
從今已後로는 稱佛爲師하야 更不歸依(衣)餘邪迷(名)外道하노니 願自[性]三寶는 慈悲證(燈)明(名)하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선지식들아, '깨달음의 양족존(覺兩足尊)께 귀의하오며, 바름의 이욕존(正離欲尊)께 귀의하오며, 깨끗함의 중중존(淨衆中尊)께 귀의합니다.
지금 이후로는 부처님을 스승으로 삼고 다시는 삿되고 미혹한 외도에게 귀의하지 않겠사오니, 바라건대 자성(自性)의 삼보께서는 자비로써 증명하소서'하라.
善知識아 惠能이 勸善善知識하야 歸依(衣)[自性]三寶하노리 佛者는 覺也요 法者는 正也요 僧者는 淨也니라
선지식들아, 혜능이 선지식들에게 권하여 자성의 삼보에게 귀의하게 하나니, 부처란 깨달음(覺)이요 법이란 바름(正)이며 승이란 깨끗함(淨)이니라.
自心이 歸依覺하야 邪迷(名)不生하며 少欲知足하야 離財離色이 名兩足尊이요 自心이 歸正하야 念念無邪故로 即無愛著이니 以無愛著이 名離欲尊이요 自心이 歸淨하야 一切塵勞妄念이 雖在自姓이나 自姓이 不染著이 名衆中尊이니라
자기의 마음이 깨달음에 귀의하여 삿되고 미혹이 나지 않고, 적은 욕심으로 넉넉한 줄을 알아(小欲知足) 재물(財)을 떠나고 색(色)을 떠나는 것을 양족존(兩足尊)이라고 한다. 자기의 마음이 바름으로 돌아가 생각마다 삿되지 않으므로 곧 애착이 없나니, 애착이 없는 것을 이욕존(離欲尊)이라고 한다. 자기의 마음이 깨끗함으로 돌아가 모든 번뇌와 망념이 비록 자성에 있어도 자성이 그것에 물들지 않는 것을 중중존(衆中尊)이라고 하느니라.
凡夫는 [不]解하고 從日至日하야 受三歸依(衣)戒하나니 若言歸佛인댄 佛在何處며 若不見佛하면 即無所歸니 既無所歸면 言却是妄이니라
범부는 이것을 알지 못하고 날이면 날마다 삼귀의계를 받는다. 그러나 만약 부처님에게 귀의한다고 말한다면 부처가 어느 곳에 있으며 만약 부처를 보지 못한다면 곧 귀의할 바가 없느니라. 이미 귀의할 바가 없으면 그 말이란 도리어 허망될 뿐이니라.
善知識아 各自觀察하야 莫錯用意하라 經中에 只即言自歸依佛이요 (不言歸他佛) 自姓에 不歸하면 無所[歸]處니라
선지식들아, 각각 스스로 관찰하여 그릇되게 마음을 쓰지 말라. 경의 말씀 가운데 '오직 스스로의 부처님께 귀의한다(只卽言自歸依佛:화엄경 정행품)'하였고 다른 부처에게 귀의한다고 말하지 않았으니, 자기의 성품에 귀의하지 아니하면 돌아갈 바가 없느니라."
14. 性空 - 성품이 빔
14. 性空(성품이 빔)
今既自歸依(衣)三寶하니 總各各至心이라 與善知識으로 説摩訶般若波羅蜜法하리라
"지금 이미 삼보에게 스스로 귀의하여 모두들 지극한 마음들일 것이니 선지식들을 위하여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하리라.
善知識아雖念이나 不解라 惠能與説하리니 各各聽하라
선지식들아, 비록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생각은 하나 알지 못하므로 혜능이 설명하여 주리니, 각각 잘 들어라.
摩訶般若波羅蜜者는 西國梵語니 唐言에 大智惠彼岸到라 此法은 須行이요 不在口[念]인 口念不行하면 如[幻]如化요 修行者는 法身과 與佛로 等也로다.
마하반야바라밀이란 서쪽 나라의 범어이다. 당나라 말로는 '큰 지혜로 저 언덕에 이른다(大智惠彼岸到)'는 뜻이니라. 이 법은 모름지기 실행할 것이요, 입으로 외는 데 있지 않다. 입으로 외고 실행하지 않으면 꼭두각시와 같고 허깨비와 같으나, 닦고 행하는 이는 법신과 부처와 같으니라.
何名摩訶오 摩訶者는 是大니 心量이 廣大하야 猶如虚空하나 莫空(定)心坐(座)하라 即落無記(既)空이니라 [虚空]이 能含日月星辰과 大地山河와 一切草木과 惡人善人과 惡法善法과 天堂地獄하야 盡在空中하나니 世人性空도 亦復如是니라
어떤 것을 마하라고 하는가?
마하(摩訶)란 큰 것이다. 마음의 한량이 넓고 커서 허공과 같으나 빈 마음으로 앉아 있지 말라. 곧 무기공(無記空)에 떨어지느니라.
허공은 능히 일월성신(一月星辰)과 산하대지(山河大地)와 모든 초목과 악한 사람과 착한 사람과 악한 법과 착한 법과 천당과 지옥을 그 안에 다 포함하고 있다. 세상 사람의 자성이 빈 것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性含萬法이 是大니 萬法이 盡是自姓이라 見一切人及非人과 惡之(知)與善과 惡法善法하되 盡皆不捨하며 不可染著하야 猶(由)如虚空하야 名之爲大니 此是摩訶行이라
자성이 만법(萬法)을 포함하는 것이 곧 큰 것이며 만법 모두가 다 자성인 것이다. 모든 사람과 사람 아닌 것과 악함과 착함과 악한 법과 착한 법을 보되, 모두 다 버리지도 않고 그에 물들지도 아니하여 마치 허공과 같으므로 크다고 하나니, 이것이 곧 큰 실행(摩訶行)이니라.
迷人은 口念하고 智者는 心[行]하니라. 又有迷(名)人하야 空心不思를 名之爲大하니 此亦不是로다
미혹한 사람은 입으로 외고 지혜 있는 이는 마음으로 행하느니라. 또 미혹한 사람은 마음을 비워 생각하지 않는 것을 크다고 하나, 이도 또한 옳지 않으니라.
心量이 [廣]大어늘 不行하면 是小(少)라 莫口空説하고 不修此行하라 非我弟子니라
마음의 한량이 넓고 크다고 하여도, 행하지 않으면 곧 작은 것이다. 입으로만 공연히 말하면서 이 행을 닦지 아니하면 나의 제자가 아니니라."
15. 般若 - 반야
15.般若
何名般若오 般若는 是智惠니 一[切]時中에 念念不愚하야 常行智惠가 即名般若行이라 一念愚하면 即般若絶하고 一念智하면 即般若生이어늘 心中常愚하되 [自言]我修로다
"어떤 것을 반야(般若)라고 하는가?
반야는 지혜이다. 모든 때에 있어서 생각마다 어리석지 않고 항상 지혜를 행하는 것을 곧 반야행(般若行)이라고 하느니라.
한 생각이 어리석으면 곧 반야가 끊기고 한 생각이 지혜로우면 곧 반야가 나거늘, 마음속은 항상 어리석으면서 '나는 닦는다'고 스스로 말하느니라.
般若는 無形相이니 智惠性이 即是라 何名波羅蜜고 此是西國梵音이 言彼岸到라
반야는 형상이 없나니, 지혜의 성품이 바로 그것이니라.
어떤 것을 바라밀(波羅密)이라고 하는가?
이는 서쪽 나라의 범음으로 '저 언덕에 이른다(彼岸到)'는 뜻이니라.
解義하면 離生滅이니 著境(竟)하면 生滅起(去)하야 如水有波浪하니 即是於此岸이요 離境하면 無生滅하야 如水承長流하니 故即名到彼岸일새 故名波羅蜜이니라
뜻을 알면 생멸을 떠난다. 경계에 집착하면 생멸이 일어나서 물에 파랑이 있음과 같나니, 이는 곧 이 언덕(此岸)이요, 경계를 떠나면 생멸이 없어서 물이 끊이지 않고 항상 흐름과 같나니, 곧 저 억덕(彼岸)에 이른다고 이름하며, 그러므로 바라밀이라고 이름하느니라.
迷人은 口念하고 智者는 心行하나니 當念時有妄하면 有妄은 即非眞有요 念念若行이 是名眞有니라 悟此法者는 悟般若法이며 修般若行이니 不修即凡이요 一念修行하면 法身과 等佛이니라
미혹한 사람은 입으로 외고 지혜로운 이는 마음으로 행한다. 생각할 때 망상이 있으면 그 망상이 있는 것은 곧 진실로 있는 것이 아니다.
생각 생각마다 행한다면 이것을 진실이 있다고 하느니라.
이 법을 깨친 이는 반야의 법을 깨친 것이며 반야의 행을 닦는 것이다. 닦지 않으면 곧 범부요 한 생각 수행하면 법신과 부처와 같으니라.
善知識아 即煩惱是菩提니 捉前念이 迷即凡이요 後念이 悟即佛이니라
선지식들아, 번뇌가 곧 보리니(卽煩惱是菩提), 앞생각을 붙잡아 미혹하면 곧 범부요 뒷생각에 깨달으면 곧 부처이니라.
善知識아 摩訶般若波羅蜜은 最尊最上第一이라 無住無去無來하야 三世諸佛이 從中出하야 將大知惠到彼岸하야 打破五陰煩惱塵勞하니 最尊最上第一이니라
선지식들아, 마하반야바라밀은 가장 높고 가장 으뜸이며 제일이라, 머무름도 없고 가고 옴도 없다. 삼세의 모든 부처님이 이 가운데로부터 나와 큰 지혜로써 저 언덕에 이르러 오음(五陰)의 번뇌와 진로(塵勞)를 쳐부수나니, 가장 높고 가장 으뜸이며 제일이니라.
讃最上하야 最上乘法을 修行하면 定成佛하야 無去無住無來往하나니 是는 定惠等하야 不染一切法일새 三世諸佛이 從中變三毒하야 爲戒定惠니라.
가장 으뜸임을 찬탄하여 최상승 법을 수행하면 결정코 성불하여, 감도 없고 머무름도 없으며 내왕 또한 없나니, 이는 정(定)과 혜(慧)가 함께 하여 일체법에 물들지 않음이다. 삼세의 모든 부처님이 이 가운데서 삼독을 변하게 하여 계․정․혜(戒定惠)로 삼느니라.
善知識아 我此法門은 從八萬四千智惠하나니 何以故오
선지식들아, 나의 이 법문은 팔만 사천의 지혜를 좇느니라. 무엇 때문인가?
爲世有八萬四千塵勞니 若無塵勞면 般若常在하야 不離自姓하니라 悟此法者는 即是無念이라 無億無著하야 莫起(去)誑(誰)妄하면 即自是眞如姓이라 用智(知)惠觀照하야 於一切法에 不取不捨하나니 即見姓成佛道니라
세상에 팔만 사천의 진로(塵勞)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진로가 없으면 반야가 항상 있어서 자성을 떠나지 않느니라. 이 법을 깨친 이는 곧 무념(無念)이니라. 기억과 집착이 없어서 거짓되고 허망함을 일으키지 않나니 이것이 곧 진여(眞如)의 성품이다. 지혜로써 보고 비추어 모든 법을 취하지도 아니하고 버리지도 않나니, 곧 자성을 보아 부처님 도를 이루느니라."
'불교 불경 >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祖 惠能, 돈황본 육조단경(六祖壇經) 21.西方~26.參請/ 성철 國譯 (2) | 2021.03.10 |
---|---|
六祖 惠能, 돈황본 육조단경(六祖壇經) 16,根機~20.功德 성철 國譯 (0) | 2021.03.10 |
六祖 惠能, 돈황본 육조단경(六祖壇經) 6.受法~10.三身/ 성철 國譯 (0) | 2021.03.08 |
六祖 惠能, 돈황본 육조단경(六祖壇經) 1.序言~5.呈偈/ 성철 國譯 (0) | 2021.03.08 |
종범, 육조단경 강해 26-32강 (0) | 2021.03.07 |